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PLS, 농업의 공익적 가치 높인다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04 17:03

수정 2018.09.04 17:03

[특별기고] PLS, 농업의 공익적 가치 높인다

지난해 계란의 살충제 파동은 우리 먹거리 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제도와 대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이중 PLS(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는 허용 기준이 없는 농약에 대해 불검출 수준(0.01ppm)으로 엄격하게 관리하는 제도다.

FTA(자유무역협정) 확대 등으로 쏟아지는 외국 농축산물로 우리 밥상은 불안해지고 있다. 우리 농산물에 대한 기대치는 높아졌지만 지난해 살충제 계란 사태로 인해 큰 사회적 혼란을 겪었다. 결국 정부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국민들의 식품 안전 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 수준은 더욱 높아지는 계기가 됐다.

이런 시점에서 혁신적인 농산물의 안전 관리를 위해 PLS 제도가 도입된다.
그동안 우려하던 농산물의 농약에 소비자 불안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은 PLS제도가 2006년부터, 대만에서는 2008년부터 시행됐다. 미국.캐나다.호주 등은 이보다 엄격한 '불검출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다소 늦었지만 결국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세상이 바뀌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FTA 확대로 한국이 글로벌 식품산업의 한 축을 맡기 위해선 적극적인 PLS 제도 시행이 필수불가결한 시기다. 농산물 안전 관리의 중요성 때문이다.

사실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많은 우리나라 농촌 현실에서 엄격한 농약관리 제도는 그동안의 관행 농법에 익숙한 농업인들에게 큰 불편이 될 수 있다.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제도라는 생산자 측의 볼멘소리도 높다. 하지만 단계적 시행을 통해 한걸음씩 나아가는 것이 한국 식품산업 글로벌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이제 안전한 농산물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닌 인류의 요구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터닝 포인트다. 시기적으로 유예하는 것은 시간적인 여유만 생길 뿐, 장기적 안목에서는 오히려 후퇴하는 것이다. 소비자에게 가장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겠다는 의지 하나가 바로 구매력을 행사하는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 우리 농업의 가치는 사회적 가치로 전환될 것이다.


소비자로 하여금 우리 농산물에 대한 소중한 인식을 갖고, 식량 안보적 측면에서 우리 생산자들이 생산한 우리 농산물에 대한 가치를 더욱 높여 지속적인 소비촉진으로 연결돼야 한다. 그래야만 안전성이 강화된 우리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믿음은 곧 안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런 결과는 우리 농업 기반의 격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김연화 (사)소비자공익 네트워크 회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