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차장 칼럼]비트코인 10년, 뒤처진 한국

김성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9.27 16:34

수정 2018.09.27 16:34

[차장 칼럼]비트코인 10년, 뒤처진 한국


비트코인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2008년 10월 31일 개발자 나카모토 사토시가 암호학 전문가들에게 자신의 논문 파일을 첨부한 e메일을 보낸다. '비트코인, 개인간 전자화폐 시스템'이라는 9쪽짜리 자료다. 논문은 블록을 체인으로 연결한 전자장부의 개념을 설명했다. 블록체인 장부를 여러 사람이 복사해 가지는 개념이다. 블록을 추가하려면 컴퓨터로 복잡한 암호를 푸는 고생을 해야 한다. 공짜로 고생해줄 사람은 없다.
그래서 보상이 필요하다. 암호를 풀어 블록을 더하면 받는 화폐가 바로 비트코인이다.

비트코인은 다음달이면 탄생 10주년이 된다. 하지만 겨우 10년 된 기술은 아니다. 암호화폐의 개념이 나온지는 훨씬 오래 전이다. 암호학자 데이비드 차움은 1980년대부터 암호화폐 관련 논문을 여러건 썼다. 1990년에는 '디지캐시'라는 회사를 차리고 E캐시라는 암호화폐를 만들었지만 시장을 만드는데는 실패했다. 암호화폐는 사실상 비트코인이 나오기까지 약 40년간 인큐베이팅 기간을 거친 셈이다.

국내에선 올해가 암호화폐 사업 태동기다. 특히 삼성 SDS, LG CNS, SK㈜ C&C 등 정보기술(IT) 서비스업체들이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를 적극 개발중이다. 삼성 SDS는 관세청이 추진중인 수출물류통관서비스를 블록체인으로 구축하기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국조폐공사가 추진중인 지역상품권 서비스 사업은 LG CNS가 개발한 '모나체인'으로 플랫폼을 만들어나갈 예정이다. SK C&C는 블록체인 전문기업과 손잡고 금융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을 준비중이다. 네이버, 카카오 등 포털업체들도 신사업 모델 중 하나로 블록체인을 선택했다.

하지만 국내 상황은 녹록지 않다. 정부가 암호화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어서다. 특히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해 바라보는 발상이 국내 개발업체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지난 20일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블록체인 민관 입법협의체 출범식 및 토론회'에 참석한 한 법무부 관계자는 "암호화폐는 투기 수단에 불과하다"고 발언했다.

하지만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을 키우는 혈액이다. 적절한 보상체계가 있어야 블록체인의 규모를 키우고 신뢰성을 구축할수 있단 얘기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오는 2025년까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가 블록체인에 의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채이배 바른미래당 의원은 "암호화폐는 나쁜 것, 없애야할 것으로 꼽고 블록체인만 육성 대상으로 보는데 암호화폐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이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할 때다.

ksh@fnnews.com 김성환 정보미디어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