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경제성장률 일제히 2.0%대 뒷걸음질... 내수 부진에 추락하는 한국경제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0.09 16:42

수정 2018.10.09 16:42

한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 우려가 갈수록 짙어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경제 기관들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2.0%대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여기에 설비투자 부진과 고용상황 악화 등 대내 위험요인과 미·중 무역전쟁 등 대외 불안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면서 불확실성마저 커지고 있다. '내우외환'이다. 그럼에도 정부 경제팀은 올 하반기 소득주도성장의 성과가 나올 것이라는 낙관론을 여전히 견지하고 있다.

■추락 하는 韓 경제, 경제 성장률 2.0%대 뒷걸음질
9일 국내외 경제기관들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 하반기 국내외 경제기관들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일제히 2.0%대로 하향 조정했다.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3.0% 대로 전망하던 것과 대조적이다.

IMF는 이날 '세계경제전망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 역시 0.3%포인트(p) 내린 2.6%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IMF는 무역 갈등 고조,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등을 세계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향후 글로벌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음을 경고한 것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는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달 OECD도 '2018년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하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7%로 대폭 낮췄다. 내년 전망치 역시 0.2%p 내린 2.8%로 내다봤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지난달 '2018 아시아 역내 경제전망 수정'에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을 3.0%에서 2.9%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도 2.9%에서 2.8%로 내렸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수출 감소를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을 비롯한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도 한국 경제 성장률을 2.0%대로 낮췄다. 당초 올해 성장 목표치를 3.0%를 고수한 정부는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2.9%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은행도 오는 18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전망치를 기존보다 0.1%p 낮춘 2.8%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최근 기존 2.9%에서 더 낮춰야 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럴 경우 한은은 3개월만에 다시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게 된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 성장률을 2.9%로 예상했고, 민간연구원인 한국경제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LG경제연구원은 모두 2.8% 경제성장률을 예상했다. 골드만삭스, 노무라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도 각각 2.7%, 2.8%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내수 부진 악화 추세.. 경제지표 개선 글쎄(?)
국내외 경제기관들의 경제 성장률을 일제히 낮춰 잡은 것은 글로벌 무역 환경이 악화되는 가운데 내수 부진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향후 전망도 밝지 않아 경제 상황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 들어 재난 수준의 '고용쇼크'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올 초부터 10만명 안팎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폭은 지난 7월 5000명, 8월 3000명으로 추락했다.

이런 이유로 오는 12일 발표를 앞둔 올해 9월 취업자수는 기저 효과로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국회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9월 취업자 수가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국민에게 면목 없고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 경제를 이끈 반도체의 부진은 향후 경기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지난 8월 설비 투자는 1달 전보다 1.4% 감소했는데, 이는 반도체 설비 투자가 지난 3~4월께 마무리되면서 투자 지표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투자 설비는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이는 외환 위기 당시인 1997년 9월부터 1998년 6월까지 10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약 20년만에 최장 기간이다.

제조업체가 만든 물건이 팔리지 않은 채 재고가 쌓이고 있고, 공장의 생산 능력도 점차 떨어지는 등 제조업의 위기론도 확산되고 있다.

대내외적 경제 상황이 악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정부 안팎에서는 '경제 정책 수정론'이 제기된다. 하지만 당정청은 "올 하반기부터 소득주도성장의 성과가 나올 것"이라며 이를 일축했다.


2개월여 남은 연말까지 뚜렷한 경제 지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정부내 경제팀 경질론이 다시 고개를 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