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달러당 7위안대 마지노선 놓고 미중 양국 샅바싸움.

조창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0.09 15:46

수정 2018.10.09 15:46

주식 시세 전광판 바라보는 중국 투자자 /사진=연합뉴스
주식 시세 전광판 바라보는 중국 투자자 /사진=연합뉴스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미국과 중국간 무역전쟁이 고조되면서 중국 위안화 환율의 향후 변동성이 주목받고 있다.

달러당 위안화 환율이 최근 급등세를 이어가면서 달러당 7위안에 바짝 접근했다. 달러당 7위안은 여러 면에서 의미가 크다. 우선 미국 정부가 다음주 펴낼 반기 환율보고서를 통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최대 근거가 될 수 있다. 반면 중국은 미국 정부의 환율조직국 지정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 7위안 아래로 관리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美 압박수위 높이나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몰아치기식 대중압박 스타일과 중국 위안화 흐름에서 찾을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대규모 관세부과 행보를 보이며 대중국 압박강도를 높이고 있다. 중간선거를 앞두고 미국내 지지층과 소비자들의 불만이 표이탈로 이어질 위험을 감내하며 관세부과를 통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왔다. 그러나 중국 당국이 관세부과에 따른 중국기업의 경쟁력이 악화될 것을 우려해 위안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면 중국기업의 수출경쟁력이 높아진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부과로 압박했던 효과가 반감되는 일이 벌어지는 셈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중국이 통화를 조작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국의 환율정책에 노골적인 불만을 터뜨리며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을 흘리며 중국을 압박해왔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 4월 반기 환율보고서를 내면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이 아닌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中 위안화 관리 딜레마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며 으름장을 놓는 가운데 중국도 위안화 변동성을 놓고 깊은 고심에 빠졌다.

우선 글로벌 금융시장 흐름과 달리 중국 당국의 기조가 엇박자가 나는 형국이다. 미국 경기가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 기준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 반면 위안화를 비롯한 신흥국 화폐가치는 하락추세가 뚜렷해주는 추세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의 9월 실업률이 3.7%로 1969년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내는 등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강한 호조세를 보이면서 미국 국고채 10년물 수익률이 3.2%를 돌파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한차례 요동쳤다.

이같은 미국 금리 인상기에 신흥국이 환율을 안정시키고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선 기준금리를 올려야 정상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경기성장 추세가 꺾이는 상황인 데다 내수침체와 미중 무역전쟁이라는 악재까지 겹치면서 유동성 공급 정책으로 선회하는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을 추가로 인하해 유동성공급을 늘리고 있다.

이와 달리 미국의 의혹제기처럼 중국 당국이 적극적 위안화 가치 절하에 나설 수도 없는 처지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정부가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려 미국의 고율관세에 대응하려 한다는 시간을 기저에 깔고 있다. 실제로 위안화 가치 하락이 중국 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게 사실이지만 무작정 이를 용인할 수도 없는 게 중국의 입장이다.
만약 과도한 위안화 가치 하락이 이뤄질 경우 중국내 해외 자본이 대규모로 이탈하는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이는 중국 증시폭락을 낳는 초대형 악재로 이어져 오히려 중국 기업의 유동성에 발목을 잡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에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부담을 피하기 위해 보유중인 달러매각 등을 통해 달러당 7위안 사수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jjack3@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