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달러당 7위안'도 위협.. 中정부, 환율방어 뭉칫돈 쏠까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0.16 17:23

수정 2018.10.16 21:08

암묵적 환율 저지선인데 한때 역외시장서 무너져.. 시장은 위안 하락에 베팅
7위안 방어 못할땐 환율조작국 지정될수도
'달러당 7위안'도 위협.. 中정부, 환율방어 뭉칫돈 쏠까

중국 정부와 시장 간에 '달러당 7위안' 고지를 놓고 공방전이 가열되고 있다. 시장은 위안 하락에 베팅하는 반면 중국 정부는 자본유출과 미국의 압력을 우려해 7위안 밑으로 추락은 용인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시간) 2007년 이후 처음으로 '달러당 7위안' 선이 무너질지를 두고 시장과 중국 정부 간에 힘겨루기가 본격화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위안은 현재 달러당 6.9270위안 수준으로 심리적 저항선인 7위안보다 1%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1년 뒤 거래가 실행되는 1년물 선도계약에서 위안은 지난주 장중 한때 달러당 7위안 선이 무너지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역외시장 7위안 무너져

'7위안'에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2016년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PBOC)이 이 환율을 방어선으로 설정하면서 암묵적인 중국 당국의 환율저지선으로 자리매김했을 뿐이다. 중국 경제성장세가 둔화되고, 미국과 무역전쟁으로 투자심리가 급랭하면서 위안 자산 매각이 늘어나는 상황이어서 시장에 맡겨두면 달러당 7위안은 무너질 것으로 보인다.

7위안 선이 무너지는 위안 가치 하락은 미.중 무역전쟁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국 제품 관세를 상쇄할 수 있는 카드이기는 하다. 위안 하락으로 미국 수출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고, 덕분에 관세가 더해지더라도 가격 상승폭을 줄일 수 있다. 또 수출대금을 국내로 들여오면 수출업체들은 환차익까지 거두게 돼 이중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무역전쟁으로 어려움에 처한 중국 기업들에는 '가뭄의 단비'가 된다.

그러나 중국으로서는 치러야 할 대가가 커 시장에 맞서 위안 방어에 나설 수밖에 없다. 우선 자본이탈이다. 중국 돈값이 떨어지면 위안 자산을 보유하는 데 따른 비용이 높아지게 되고 위안을 팔아 안정적인 달러자산 등으로 투자자들이 갈아탈 가능성이 높다. 자본 이탈은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주게 된다. 앞서 2015년 PBOC의 위안 평가절하 뒤 뭉칫돈이 중국에서 빠져나가기 시작했고, 이를 막기 위해 중앙은행은 외환보유액 가운데 약 1조달러를 풀어 위안을 사들이는 환율방어에 나서야만 했다.

■하락방치 조작국 지정 위험

위안 하락을 방치할 경우 미국으로부터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위험도 높아지게 되는 점 역시 환율방어가 필요한 주된 배경이다. 이강 PBOC 총재는 지난주 말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미국의 관세 충격을 상쇄하기 위한 인위적인 위안 평가절하에 나서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렇지만 이전과 달리 이번에는 7위안 방어가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중국은 경기부양을 위해 통화완화에 나서야 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금리차는 자본이탈, 통화가치 하락의 주된 배경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양국 통화정책이 반대 방향으로 가면서 국채 수익률 격차를 나타내는 스프레드는 좁혀지고 있다.

중국과 미국 국채 기준물인 10년만기채 수익률 격차는 지난해 말 1.7%포인트에서 지금은 0.5%포인트로 좁아졌다. 특히 통화정책 분화가 지속되는 흐름이라 그 격차는 더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고, 자칫 미 국채 수익률이 중국 국채 수익률을 웃도는 역전까지 가능해졌다.

미 국채 수익률 상승은 미국 내 시중금리 상승을 의미하고, 미 금리가 중국 금리보다 높아지는 상황이 되면 자금은 자연스럽게 중국에서 미국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안 가치 하락을 예고하는 시나리오다.


중국은 지난주 역외 은행간금리 시장에서 인위적으로 금리를 끌어올려 위안 차입 비용을 높이는 방법으로 시장에 개입했지만 시장의 위안 하락 베팅을 막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보인다.

한 시장지표에 따르면 중국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위안 약세 전망은 강화되는 흐름이다.
MSCI의 중국 지수 편입 비중이 확대된 덕에 중국 증시 유입자금이 늘었고, 아직까지는 중국 당국의 자본통제 역시 잘 먹혀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과 힘겨루기 속에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되고 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