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삼성 폴더블폰 '퍼스트 무버' 새 장 열길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1.09 16:49

수정 2018.11.09 16:49

내년에 본격화할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이 벌써 달아오를 조짐이다. 삼성전자가 7일(헌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폴더블폰용 화면과 사용자환경(UI)을 선공개하면서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인 더 버지는 "폴더블폰의 미래가 여기 있다"고 평가했다. 영국 BBC 방송은 한술 더 떠 "마침내 흥미로운 혁신이 나타났다"고 했다. 그렇다고 이런 찬사에만 취해 있을 때일까. 우리는 국내 기업이 차세대 스마트폰 경쟁에서 한발 앞서게 됐다는 목전의 평가보다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내려는 의욕을 주목하고자 한다.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시장은 지금 침체일로다.
이 병목을 뚫을 카드로 화면을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폴더블폰이 거론된 지는 오래다. 다만 기술은 개발됐으나 상용화까지 난관이 한두 가지가 아니란 게 문제다. 두께·무게를 줄이는 소재·디자인 기술과 소프트웨어·콘텐츠 역량을 융합하는 게 어디 보통 일인가. 중국 스타트업 로욜이 지난달 세계 최초로 폴더블폰 완제품을 내놨을 때 시장의 반응이 냉랭했던 배경이다.

폴더블폰 시장을 선점하려는 삼성의 의욕은 '퍼스트 무버' 전략을 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스티브 잡스의 애플이 아이폰을 선보인 이래 유지해온 '패스트 팔로어' 위상에서 탈피하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물론 모험에는 상응하는 큰 위험이 따르기 십상이다. 하지만 삼성은 1980년대 초 그 열악한 국내 경제환경에서 반도체 생산이란 결단을 내리지 않았나. 현 시점에서 돌아보면 한국 경제에는 '신의 한 수' 같은 선택이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은 IT강국으로 우뚝 섰고, 세찬 보호무역주의 조류로 뒤덮인 올해도 반도체가 효자 수출품목이었으니 말이다.

더욱이 내년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전체가 레드오션으로 진입할 참이다. 반도체 시장과 화웨이 등이 뛰어들 폴더블폰 시장에서 중국과의 한판 승부를 내다봤을 때 그렇다.
심지어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내후년엔 ICT산업이 역성장할 가능성까지 점쳤다. 이런 마당에 스마트폰 생산과 소비패턴을 함께 바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인가.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 개척을 선도하려면 삼성·LG 등 기업들이 연구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건 기본이고, 동시에 기업의 발목을 잡은 규제장벽도 허물어야 한다.
기업과 정부가 글로벌 기술 전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함께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