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도시와 농촌이 윈윈하는 ‘로컬푸드’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1.18 17:20

수정 2018.11.18 17:20

[차관칼럼] 도시와 농촌이 윈윈하는 ‘로컬푸드’

지난 14일, 전남 나주의 빛가람 혁신도시에서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지역의 상생·균형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로컬푸드(Local Food)를 적극 소비하겠다는 협약을 맺은 것이다. 14개 공공기관은 구내식당 식재료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 기념품, 명절 선물 등에 로컬푸드 사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로컬푸드 공급에 필요한 생산·가공·유통시설 등을 지원하고, 전라남도와 나주시는 식재료의 품질관리와 공급안정성을 보장하기로 약속했다.

이는 공공급식을 매개체로 '지역생산'과 '지역소비'를 엮어 먹거리 선순환체계를 만드는 첫걸음이다.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가 중요해진 지금이지만, 값싸게 얻을 수 있는 풍요로운 식생활의 이면에 누가 어떻게 생산했는지 모르는 소비불안을 감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농업인의 사정은 어떨까. 인근 지역에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원거리 도매시장에 물건을 출하한다. 이 때문에 제값을 받기가 어렵고, 내가 생산한 농산물을 누가 먹을지 짐작하기도 어려워졌다. 복잡하고 긴 유통거리만큼이나 생산자와 소비자의 물리적·심리적 거리도 멀어졌다.

농업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로컬푸드 확산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파머스마켓(농민시장) 형태로 로컬푸드 소비가 확산됐으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시는 식재료 수입 의존성을 줄이고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급식에 지역 농식품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덴마크는 농약으로 인한 저수지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교식당 등의 식재료를 지역 유기농 농산물로 전환하고 제철 채소와 과일을 늘리는 등 정부와 지자체가 환경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전북 완주를 시작으로 여러 지자체에서 로컬푸드 활성화 정책을 추진, 현재 전국에 188개 로컬푸드 매장이 영업 중이다. 개별 판매장 형태로 시작한 로컬푸드는 이제 여러 기관과 지자체가 함께 참여하는 지역 중심의 먹거리 공급시스템인 '푸드플랜'으로 진화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 7월 지역 내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단을 구성하고, 전남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에 선도 모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로컬푸드 1번지'로 꼽히는 완주군의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들이 나주에 상주하면서 농가 교육 및 품목별 조직화, 물류체계 확충, 수요 확보 등 신선하고 안전한 지역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10개 공공기관이 구내식당 식재료로 로컬푸드를 공급받고 있으며, 추가로 4개 기관이 나주시와 협의 중이다.

나주시는 이 과정에서 전국 최초로 먹거리의 지역 내 생산·유통·소비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담 부서로 '먹거리계획과'를 신설했으며 '나주시 지역농산물 공공급식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공공급식에 지역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농식품부는 나주의 선도모델을 다른 혁신도시와 지자체로 확산해나갈 계획이다.
올해는 표준 운영매뉴얼을 제공하고, 내년부터 공공급식 등을 중심으로 한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희망하는 지자체와 협약을 체결해 산지유통·가공시설, 저온 저장고 및 수송차량 등 관련 정부재정을 연계해 일괄 지원할 예정이다.

신선하고 더 맛있는 식사, 이웃과 함께여서 더 행복한 삶을 위해 지금이야말로 지역 중심 먹거리 선순환체계가 만들어져야 할 시점이다.
국민의 건강한 밥상과 지속 가능한 농업, 활력 있는 지역경제를 동시에 도모하는 순환과 공생의 지역 만들기에 지자체장과 지역 주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 드린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