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미래를 꿈꾸는 해양경찰

이보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2.02 16:51

수정 2018.12.02 16:51

[차관칼럼] 미래를 꿈꾸는 해양경찰

해양경찰은 2014년 세월호 사고 당시 미흡한 대처와 구조실패로 조직이 해체되는 뼈아픈 아픔을 겪었다. 그동안 해양경찰은 '처음부터 다시 뜯어고친다'는 재조해경(再造海警)의 마음자세로 구조 역량을 강화하고, 인력과 장비를 확충하는 등 조직을 가다듬으며 새로운 출발을 준비했다.

지난해 7월 해양경찰청으로 재출범한 데 이어 올해 11월에는 인천을 떠난 지 2년3개월 만에 바다 내음 가득한 인천으로 돌아왔다. 인천 이전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인 '해경 부활, 인천 환원'의 완성 의미와 '바다의 치안을 든든히 지켜달라'는 국민의 염원을 실현하기 위한 해양경찰의 의지를 담고 있다.

돌이켜보면 해양경찰은 1953년 부산에서 시작해 1979년 인천으로 이전할 당시 전체 인력 2600여명, 함정 55척에 불과한 열악한 조직이었다. 이후 1996년 해양수산부 외청 독립, 2005년 차관급 조직으로 승격되며 2018년 현재 1만3000여명의 인력과 300여척의 함정을 보유한 조직으로 성장했다.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가지로 부족함에도 해양경찰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믿고 기다려준 국민들 덕분이다.

우리 해양경찰은 막중한 사명감을 갖고 5년, 10년 더 먼 훗날을 내다보며 국민의 해양안전을 책임지고 신뢰받는 해양경찰이 되기 위해 해양안전·경비·치안·환경과 조직운영 등 다양한 분야의 미래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바다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지키는 것이 바로 해양경찰 존재의 이유이기 때문이다.

먼저 국민이 원하는 해양경찰상을 실현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기술력으로 해양안전문화 네트워크를 조성하고자 한다. 세계 최고 수색구조 전문기관을 목표로 장비기술 등 종합적 구조역량을 강화하고, 기술 중심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해양 정보력을 기반으로 바다를 미래 삶의 터전으로 창조하겠다는 포부도 갖고 있다. 해양정보 수집 등 관리역량을 고도화하면서 전략적 해양공간관리체계를 구축한다면 최근 해양관할권 확보를 위한 주변국 간의 갈등도 잘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바다의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경찰로서 수사 전문화 밑그림도 빼놓을 수 없다. 과학적인 수사와 글로벌 치안을 통해 바다에서 정의의 상징으로 도약할 것이다.

생명이 살아 숨 쉬는 풍요로운 청정 바다를 만드는 해양환경 전문가로도 성장할 것이다. 신기후체계 등 국제 해양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해양환경관리 역량을 다변화하고, 대형·복합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양환경·재난관리 체계를 점차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자율과 책임 그리고 창의적이며 자기주도적 근무 문화를 조성해 신뢰받는 해양경찰을 완성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 눈높이와 환경 변화에 맞춘 연구개발(R&D) 기능과 장비기술 인프라 첨단화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여기에 법과 제도를 정비해 '존중, 정의, 소통, 공감'을 가치로 삼는 조직문화가 더해진다면 '국민의 해경'으로 거듭나라는 국민의 명령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다.

해양경찰청의 인천 환원은 보금자리로 돌아왔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전의 터전이라 생각하고 있다.
국민의 신뢰를 되찾고 안전하고 깨끗한 희망의 바다를 만들기 위해 초심을 잊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오늘도 세계 최고의 해양경찰기관을 만들겠다는 꿈을 꾼다.
그리고 이곳 인천에서 국민과 함께 반드시 실현해 나갈 것이다.

조현배 해양경찰청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