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현장클릭] 세계 최초 5G 상용화의 현주소

서영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2.03 13:57

수정 2018.12.03 13:57

[현장클릭] 세계 최초 5G 상용화의 현주소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일을 기점으로 5세대(5G) 통신 상용 서비스에 들어갔다. 서비스 대상 지역은 서울,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6대 광역시가 우선적으로 선정됐다. 이통3사는 향후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전국 커버리지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통3사가 5G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확보한 1호 고객은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AI) 로봇, 원격제어 트랙터 등이다. SK텔레콤은 자동차 부품기업 명화공업에 5G-AI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했다. KT의 1호 5G 고객은 AI 로봇 '로타'가 차지했다.
LG유플러스는 LS엠트론과 5G 원격제어 트랙터를 선보였다. 이들은 모두 기업고객이라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이통3사가 5G 상용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확보한 기업고객은 세계 최초 5G의 현주소를 냉정하게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통3사가 5G 전파를 쏘면서 팡파레를 울렸지만 정작 일반 국민들은 5G 서비스를 전혀 체감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목표로 잡고 있는 내년 3월 5G 스마트폰 출시 역시 일반 국민들이 진정한 5G 서비스를 경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 국민들이 5G 서비스를 제대로 체감하지 못한다는 것은 이통3사가 자신있게 제시할 서비스, 즉 비즈니스 모델이 부재함을 의미한다. 단순히 5G 스마트폰이 출시된다고 해서 서비스까지 담보되는 것은 아니다. 이 지점이 현재 이통3사가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자 풀어야할 숙제로 꼽힌다. 세계 최초 타이틀에 목을 맬 것이 아니라 진정한 5G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일반 국민들이 5G로 인한 변화상을 눈으로 목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기업의 역할이다.

정부 역시 지원할 부분이 있다. 5G 시대에 각광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율주행차, 드론, 원격의료 등의 서비스는 각종 규제에 묶여 있는 상태다. 정부가 테스크포스(TF)까지 만들어 5G 시대를 대비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관련 서비스가 등장해 자리잡을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주는 일이 정부의 역할이다. 세계 최초라는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정부부터 제대로된 역할을 해줘야 5G 시대에 한국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국민이 몸소 체감할 수 있는 5G 시대는 202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은 이제 막 5G 전파를 쏘고 걸음마를 뗐다. 전 세계에서도 시기가 가장 빨랐다는 점은 인정한다.
하지만 걸음마를 갓 뗀 아기가 운동장을 달리기까지는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 입장에서 노력은 5G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며, 정부 입장에서는 꽉 막힌 규제를 풀어주는 일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5G 시대에 전 세계를 선도할 수는 시간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