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한국의 생체신호 인증기술 국제표준 됐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1 15:08

수정 2019.02.11 15:08

생체신호 핀테크 기술. 사진=게티이미지
생체신호 핀테크 기술. 사진=게티이미지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생체신호를 활용 모바일 기기에서 핀테크 인증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돼 전세계에서 사용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연연구기관인 국립전파연구원은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SG17' 국제회의에서 한국 주도로 개발한 텔레바이오인식 보안인증기술 1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밝혔다.

이번 SG17 국제회의에서 국제표준으로 사전 채택된 텔레바이오인식 인증기술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미국·스페인 등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세계최초로 개발한 기술이다. 사전 채택된 표준은 4주간 회원국 및 부문회원의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최종 채택된다.

텔레바이오인식 인증기술은 스마트시계와 스마트밴드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근전도, 심전도, 뇌파, 심박수 등 생체신호정보를 획득, 위변조에 강한 차세대 인증수단을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또한 건강정보 분석까지 가능해 건강관리분야에도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이와함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 기술 등 사이버 보안 권고안 2건은 국제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

이번 회의에서 채택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의 보안 서비스' 국제 표준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방화벽, 침해사고 대응장비 등 다양한 네트워크 관련 장비들의 보안 위협, 대응 시나리오 및 보안 서비스 활용사례를 제공한다. 이 표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네트워크 보안기술 표준화 과제로 2014년부터 주도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최근 5G 코어네트워크,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블록체인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그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구조화된 사이버 위협 정보 표현 규격에 대한 활용사례' 국제 표준은 악성코드, 취약점, 공격패턴 등의 구조화된 사이버 위협 정보를 국가 간 또는 보안기관 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이 표준은 ETRI와 순천향대가 2017년부터 공동 개발한 기술로 최근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위협인 랜섬웨어, 가상화폐거래소 해킹 등에 대한 활용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정보보호 유관기관 및 산업계에서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는 '5G 통신 시스템의 보안 가이드라인'과 '데이터 비식별 보증 요구사항' 등 신규 표준화 과제 2건을 제안해 표준화 과제로 승인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5G 통신 시스템의 보안 가이드라인' 표준화 과제는 순천향대학교를 중심으로 작업이 진행 중이며 5G 통신 시스템의 주요 요소 및 기능을 식별 후, 각 요소에 대한 주요 위협 및 보안 능력을 제시하는 표준을 개발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