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기재부 '그린북' 韓경제 경고장 "생산·고용·투자·수출 부진 4중고… 반도체 두 달째 우려대상"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5 17:35

수정 2019.02.15 17:35

작년 12월 기준 全산업생산 감소, 취업자 증가 두 달 연속 한자릿수
투자·수출은 연속 마이너스 기록..KDI "2월에도 생산·소비 둔화"
기재부 '그린북' 韓경제 경고장 "생산·고용·투자·수출 부진 4중고… 반도체 두 달째 우려대상"


우리 경제 진단지표인 생산과 소비, 고용, 투자, 수출 가운데 소비를 제외한 4가지 지표가 부진과 함께 조정을 받았다는 진단을 정부가 내놨다. 반도체는 두 달 연속 우려 대상에 포함되며 수출 둔화를 이끌었다.

또 미·중 무역갈등과 반도체 업황에 이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뜻하는 브렉시트가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을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새롭게 추가됐다.

기획재정부는 15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12월 생산은 전월 대비 조정을 받았지만 전년동월 대비 증가세를 유지했다"면서 "투자와 수출은 조정을 받는 모습이며 고용은 한 자릿수 취업자 증가에 그쳤다"고 총평했다.

기재부는 또 "미·중 무역갈등, 브렉시트, 반도체 업황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며 "고용상황이 미흡한 가운데 세계경제 성장 둔화,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 등 위험요인이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그린북은 기재부가 국내외 경제동향을 분석해 매월 발표하는 보고서다.
단순한 수치 나열을 넘어 경기상황에 대한 진단·평가까지 담기 때문에 정부가 현재 경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공식 입장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비슷한 시기에 전반적인 한국 경기에 대한 평가를 내놓는데, 통상 기재부의 보고서가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KDI는 2월 경제동향에서 생산과 수요 등 양측면에서 경기둔화 추세가 지속된다고 밝힌 반면 그린북은 소비의 경우 '견실한 흐름'을, 생산은 '조정을 받지만 증가세 유지'로 주장했다.

기재부는 지난달 고용과 투자, 수출에 이어 생산을 조정 대상으로 추가했다. 경기 평가지표인 생산, 소비, 고용, 투자, 수출에서 소비를 뺀 4개가 부진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정부가 판단한다는 의미다. 정부가 그린북에서 생산을 조정으로 표현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이다.

그린북을 보면 우선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6%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도 1.4% 줄어들었다.

광공업 생산은 전기·가스업에서 증가했으나 자동차(-5.9%), 반도체(-4.5%), 금속가공(-4.3%) 등 제조업 등에서 감소한 영향이다.

생산은 10월까지 증가세(0.8%)였다. 그러나 11월(-0.7%) 마이너스로 전환한 뒤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 등은 확대된 반면 정보통신·부동산 등이 위축된 영향을 받아 전달과 같이 0.3% 줄었다.

고용은 취업자 증가 수가 2개월 연속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1월 취업자 수는 2623만2000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1만9000명 늘었고 실업자는 20만4000명 증가했다. 실업률 역시 4.5%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12월 설비투자는 전월에 견줘 운송장비 투자가 증가했지만 기계류 투자가 줄며 전체 0.4% 감소했다. 여기에 건설투자의 경우 건축과 토목 공사실적이 모두 늘어나며 2.4% 증가세 전환했다.

1월 수출은 5.3% 감소하며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자동차·철강·일반기계 등이 증가했지만, 무선통신기기·컴퓨터·반도체 등이 영향을 받았다. 기재부 관계자는 "반도체 우려 요소가 아직 살아있다"고 말했다.

1월 주택시장 매매가격은 수도권, 지방 모두 하락하며 전월 대비 하락(-0.15%)했다. 전셋값 역시 0.22% 낮아졌다

반면 소비자 물가는 석유류 가격 하락,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 등 덕분에 12개월 만에 최저 수준인 0.8% 상승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미래 경기를 전망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동행지수는 8개월째, 선행지수는 7개월째 내리막이다.


기재부는 "일자리 창출 대책 및 2019년 경제정책방향 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수출활력 제고 대책을 마련하는 등 경제 역동성·포용성 강화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