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사계절 불청객이 된 '산불'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7 17:07

수정 2019.02.17 17:07

[차관칼럼] 사계절 불청객이 된 '산불'

언제부턴가 겨울에 흰 눈을 보기가 어렵다. 언덕배기 내리막을 넘어지지 않으려고 한발 한발 조심스럽게 내려오다 넘어져 엉덩이에 잔뜩 얼음덩이를 묻히고 귀가하던 어린 시절이 가끔 그립다.

눈으로 덮여야 할 겨울 산에 눈이 없다보니 전국에서 산불이 유례없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올 새해 첫날부터 양양에서 큰 산불이 이틀간이나 이어지더니, 1월에만 104건이 일어나 최근 10년 중 1월 산불이 가장 많았던 2009년의 64건 기록을 훌쩍 넘어섰다.

봄부터 가을까지 5개월간 운영되는 산불조심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봄철 산불예방을 위해 입산을 통제하는데 산불조심기간을 연장하게 되면 산을 좋아하는 국민들에게 불편을 줄까 걱정이 된다.


산불은 강우 등 기상에 따라 좌우되지만 원인은 사람에 의한 것이 절대적이다. 산에 담배꽁초를 버린다든가, 취사를 위해 불을 피운다든가, 농사를 짓기 위해 논밭두렁이나 쓰레기를 태우는 등 일상 속 한순간의 잘못이 산불로 번지는 경우가 많다.

산불은 매년 500여건 발생하는데 봄철인 3~5월 사이 60%가 일어나고, 피해면적의 85%가 집중된다. 가을철인 10~11월은 입산자 실화가 증가하는 시기로 연간 건수의 10% 정도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여름철 마른장마와 폭염으로 인한 산불도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7~8월에도 산불이 61건이나 발생했다는 통계는 놀랄 만한 사실이다. 전국적으로 비가 오면 산불은 좀 쉬어갈 텐데 그런 날은 이제 손에 꼽을 정도다. 뚜렷해지는 산불 연중화에 대비하기 위한 대응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도시화로 건축물과 산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점도 위험요인 중 하나다. 주택화재나 공장화재가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가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건축물 안전관리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지난해 2월 삼척시 노곡면에서 발생한 산불도 펜션 화재가 강풍을 타고 산으로 번지면서 대형산불로 확산된 경우다. 특히 주택화재로 인한 산불이 야간에 많이 일어나 산불대응에 애를 많이 먹고 피해도 커지면서 내화수림 조성이나 안전공간 확보 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산림청은 산불 연중화에 대비하기 위해 겨울철 산불방지 특별대책을 수립하고, 재난의 사전대비를 강화하고 있다. 또 인력 확충과 산불조심기간 연장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이런 정책 추진과는 별도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의 재난에 대한 안전의식이다. 산불은 예방이 최선의 대책으로 산에 갈 때 화기물 소지나 흡연, 불법소각 금지는 기본 소양이다.
이런 안전수칙을 나부터 지키고 주변 사람에게 확산시키는 자세가 필요하다.

어느덧 봄을 알리는 입춘이 지났다.
이번 봄철에는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고 고통받는 국민이 없기를 바라면서 전국에서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해 애쓰는 산불감시원과 산불진화대원, 산림공무원들에게 고마움과 안전에 유의해 활동에 임할 것을 당부드린다.

김재현 산림청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