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fn선임기자의 경제노트] '신남방정책' 핵심 對아세안 투자 탄력 받는다

김성원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3.29 10:42

수정 2019.03.29 10:56

정부 선언후 1년만에 신규법인 14.1%·투자액 16.7% 증가
소비시장 투자, 스마트 ICT 등 고부가가치 중심 전략 필요
두달째 공석 신남방특위위원장, '컨트롤 타워' 부재 지적도
 
[fn선임기자의 경제노트] '신남방정책' 핵심 對아세안 투자 탄력 받는다

최근 우리 기업들의 아세안 국가에 대한 투자가 중국 투자를 상회하면서 아세안의 전략적인 가치가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 중 하나인 신남방정책 발표 후 1년만인 2018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아세안 투자는 신규법인 1291개, 투자액은 61억 3000만 달러로 동기간 대비 각각 14.1%, 16.7% 증가했다.

이는 한국의 최대 투자대상국인 미국에 대한 투자가 전년대비 28.9% 감소한 것과 대비되는 성과이다.

하지만 신남방 정책을 맡는 대통령 직속 신남방특별위원회 수장의 공백이 길어지는 등 현실은 그리 만만하지 않은 실정이다. 수출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떠오른 아세안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가 주목하는 지역"이라며 "하지만 한국은 동남아 지역전문가가 부족하고 신남방 정책의 비전과 구체적 전략·실행 계획도 미흡하다"라고 지적했다.

■ 금융보험·도소매업 등 서비스업 비중 증가
29일 정부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에 따르면 아세안 지역은 지난 2018년 말 기준 한국의 누적 투자액 619억 달러, 법인 수 1만 4680개에 달하는 4대 투자 대상지이며, 2017년 말 신남방정책 발표를 기점으로 이들 국가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투자 진출이 크게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여전히 제조업 중심의 투자구조(41.0%)를 유지하고 있으나, 금융·보험(19.2 → 25.1%)·도소매업(7.1 → 8.8%) 등 서비스업의 비중이 다소 증가했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비중이 71.4 → 64.4%로 감소한 반면 개인의 투자 비중이 2.9 → 4.7%로 증가했다.

한국의 아세안 국별 투자는 주요 투자국인 베트남, 싱가포르에 대한 투자규모가 크게 증가한 반면 인도네시아 투자규모가 대폭 감소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국의 아세안 국별 투자는 최대 투자대상국인 베트남이 51.5%의 비중을 차지하며 싱가포르(25.6%), 인도네시아(8.1%)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의 베트남 투자는 약 31억 6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0.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비중은 감소하고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했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개인의 투자 비중이 증가했다.

한국의 싱가포르 투자 또한 신남방정책 발표 후 전년대비 48% 증가했으며, 업종별로는 최대 투자업종인 금융보험·도소매 등 서비스업이 크게 증가했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비중이 다소 감소한 반면 개인 및 기타 부문의 투자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인도네시아 투자는 전년대비 48%의 감소세를 기록했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농림업 부문의 투자는 증가했으나, 금융·보험 부문에 대한 투자가 크게 감소하면서 투자 감소세를 주도하기도 했다.

신남방정책 발표 후 양적인 아세안 투자진출 증가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의 투자업종 다각화 및 현지 수요를 감안한 아세안 소비시장 투자, 스마트 ICT와 같은 고부가가치 신성장동력에 대한 투자 진출 등 중장기적 전략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신남방특위 위원장도 없이 아세안 찾은 문대통령
문재인 정부는 신남방정책을 통해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안보 차원에선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아세안과의 북핵 대응 공조와 협력을 이끈다는 구상이다.

아세안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주목하는 신흥개발 국가들의 집합지역이다. 우리보다 훨씬 앞서 일본은 장기적 관점에서 세심하게 아세안 전 지역을 파고드는 전략을 실행중이다. 비록 미국과의 무역 갈등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는 중국 입장에서도 아세안은 놓칠 수 없는 거대 시장이다. 알리바바·화웨이 같은 중국 대기업과 자본이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배경이기도 하다. 미국은 아세안이 중국 견제를 위한 핵심 전략 지역이라는 차원에서서라도 경시할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은 올들어 신남방정책의 중요성을 부쩍 강조하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 뿐 아니라 새로운 경제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신남방특위 위원장조차 임명하지 못하고 있다. 김현철 전 신남방특위 위원장이 설화로 지난 1월 29일 사표를 제출한 이후 2개월이나 지났다. 이 기간 내 문 대통령은 신남방특위 위원장을 대동하지 못한 채 아세안 3개국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을 방문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신남방특위 위원장은 청와대 경제보좌관이 겸직해왔다. 신남방특위 내규에도 청와대 경제보좌관이 위원장을 겸임하게 돼 있다. 청와대는 지난 18일 주형철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를 경제보좌관으로 임명했지만, 신남방특위 위원장 겸직 여부는 발표하지 않았다. 주 보좌관은 IT와 투자 부문 전문가로 신남방정책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만약 주 보좌관이 아닌 다른 인사를 기용할 경우 특위 내규를 개정할 시간도 필요하다.
또 지금 당장 신남방특별위원장을 새로 임명하게 되더라도 검증 과정에서 최소 1개월 이상 시간이 소요된다. 신임 위원장 역시 업무 파악에만 수개월이 더 걸릴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신남방정책의 컨트롤 타워가 없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다"면서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아세안 국가들 문제에 정통한 인사를 찾는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산업·경제 선임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