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무역분쟁 이어 환율전쟁 조짐.."정부 선제적 대응 나서야" [위기감 커지는 글로벌경제]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5.24 17:51

수정 2019.05.24 21:17

정부·금융 역할 정책심포지엄
전문가, 경기둔화 선제대응 주문..중국 성장둔화·금융위기 가능성
국내 가계빚·금리 등 금융리스크..실물경제 전이되지 않도록 해야
2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글로벌금융학회·한국금융연구원 정책심포지엄 및 학술대회'에서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왼쪽)과 정성호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2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글로벌금융학회·한국금융연구원 정책심포지엄 및 학술대회'에서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왼쪽)과 정성호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윤종원 청와대 경제수석이 국내 성장률이 2·4분기부터 개선될 것이라며 낙관적 전망을 내놨지만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기둔화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글로벌 경제가 지난 2017년 회복세, 2018년 견조한 성장세를 거쳐 올해 하방 리스크가 커질 전망이어서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의 경기둔화 및 금융불안 등 '중국발 리스크'에 취약한 우리나라로선 더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글로벌 경기 하방압력·변동성 우려

글로벌금융학회·한국금융연구원은 2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최근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정부 및 금융의 역할'을 주제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발제 연설에서 "미·중 통상갈등 심화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브렉시트 문제와 중국 및 신흥국의 경제불안 등이 글로벌 경기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한다"고 진단했다. 유 부원장은 "가계·자영업자·기업 부채, 금리·환율 등 금융부문의 리스크가 실물경제로 전이되지 않도록 불안요인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워 무역분쟁을 벌인 데 이어 환율전쟁 카드를 꺼내 들자 글로벌 리스크가 연초와 달리 확산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위 최훈 금융정책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절하에 개입하며 상계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며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이어 환율까지 직간접적으로 한국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글로벌 성장둔화에 대처하기 위해선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데 앞서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차상균 서울대 교수는 "미국이 4차 산업혁명에서 앞서 있지만 관련산업 비중은 아직 10% 수준에 머문다"며 "앞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지배하면 산업을 지배할 수 있는데, 우리에게도 아직 기회가 있다"고 밝혔다.

■"중국 금융불안·경기위축 가능성"

또 이날 한국국제금융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이 '중국경제의 위기 가능성 진단과 우리 경제'를 주제로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정책심포지엄에선 중국발 위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 연구분석실 이치훈 중국팀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중국의 외환 및 금융위기가 단기간에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면서도 "하지만 중국의 금융불안과 경기위축 여지는 상당하다"고 전망했다.


이 팀장은 "향후 금융개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장변동성과 외화 수급불균형이 금융 및 실물부문의 잠재 위험요인과 맞물려 중국 경제 리스크가 증폭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기회요인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차세대 산업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확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중국의 성장동력인 소비 및 낙후지역 개발, 환경 등 기존 요인에 미·중 분쟁으로 인한 자본시장 개방 확대를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