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게임 개발자들 "질병 지정, 게임지식조차 없는 편견 연구"

뉴스1

입력 2019.06.10 11:57

수정 2019.06.10 11:57

지난 제72차 세계보건기구(WHO) 총회에서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지정하면서 우리 정부가 게임질병코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공동대책준비위원회를 출범했다. 2019.5.29/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지난 제72차 세계보건기구(WHO) 총회에서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지정하면서 우리 정부가 게임질병코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공동대책준비위원회를 출범했다. 2019.5.29/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게임이용패턴 전문 연구 결여…사회과학·심리학 등 연계 필요
정신보건 재정확대 위해 게임을 정신병 유발물질로 매도

"게임 중독이 질병이라고 손가락질하기 전에, 게임에 왜 중독되는지는 연구나 해보셨나요?"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이용장애(중독)를 질병코드로 지정하면서 게임업계 반발이 거센가운데, 게임 개발자와 종사자들이 공동으로 성명서를 내고 게임중독 질병코드 도입 반대 입장을 밝혔다.

개발자들은 성명서에서 "정신의학에 대해서는 전문지식이 없지만, 게임에 대해선 전문가"라면서 "게임은 장르, 플랫폼, 이용 대상에 따라 다양한 게임플레이 패턴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이용 형태도 다양한 특성의 분류가 있는데, 이번 질병코드 지정과 관련된 논문에선 이런 게임 이용행태에 대한 연구가 전혀 수반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게임중독이 정신건강이나 뇌에 영향을 미치는지 의학적 연구도 필요하지만, 이것이 질병의 원인으로 규명되려면 실제 게임을 이용하는 사람의 이용 패턴이나 행동, 인지능력 등에 대한 연구가 함께 규명되고 근거로 작용해야 한다. 그러나 WHO의 질병코드 지정 관련 논문에서는 이런 근거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 개발자들의 목소리다.


개발자들은 "게임업계도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 등을 연구하고 건전한 이용을 위해 함께 기여해야 한다는 점은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는 게임의 특성이나 이용패턴에 대한 내용은 전혀 알지 못한채 '게임은 나쁜것'이라는 의학계 편견이 고스란히 담긴채로 연구가 진행돼 왜곡된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개발자들은 정신의학계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지정하도록 강하게 주장한 것이 정신보건 재정 확대를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국내 정신건강관련 예산은 복지부 예산의 1.5%, 1713억원에 그쳐 이를 확대하기 위한 일환으로 게임중독을 정신보건예산에 반영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런 재정적 결핍을 이유로 인해 게임중독이라는 가상의 질병을 만드는 것은 과잉 의료이며 불순한 의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게임전문가와 정신의학 전문가, 사회과학 및 심리학계까지 모두 모여 게임중독으로 인한 폐혜를 연구하고 이를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수단을 만들어야 한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개발자들은 "게임 하나를 마녀사냥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면서 "의학계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심리학 등 관련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학계의 포괄적 지지부터 이끌어내달라"고 호소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