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北, 中과 '새로운 길' 논의하나…회담 내용에 주목

뉴스1

입력 2019.06.18 14:06

수정 2019.06.18 14:06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부터).© News1 DB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부터).© News1 DB


김정은, 中과 향후 비핵화 협상 전략 논의할 가능성
中 대미 '견제 및 눈치' 행보 필요…대화판 '균열'은 내지 않을 듯

(서울=뉴스1) 서재준 기자 = 북한과 중국이 비핵화 협상 국면의 고비에서 또 한 번 정상회담으로 돌파구를 찾는 모양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집권 후 첫 방북(20∼21일)은 북미 간 교착과 남북 간 대화 단절이라는 현재 국면에서 북중 간 밀착 강화 행보다. 북한은 지난해 비핵화 협상이 본격화되기 직전 중국을 찾아 시 주석과 만난데 이어 주요 고비마다 중국과의 밀착을 통해 우군 확보 행보를 이어갔다.

이번 역시 큰 틀에서는 이와 같은 행보로 보인다. 거꾸로 말하면 북한이 대화 재개를 앞두고 다시 한번 '뒷배'를 봐줄 지원군을 든든히 하는 셈이다.

북한의 관점으로만 보면 손을 내민 3국(남·미·중) 가운데 가장 먼저 중국의 손을 잡은 셈이다.
그간 남북, 북미는 각기 물밑 접촉을 통해 대화 재개를 위한 논의를 진행해 온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6월 남북 정상회담'을 상정하며 북한을 대화판으로 유도했다.

그러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제각기 차등을 두며 메시지를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 주석에는 '만나자'라는 뜻의 방북 초청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는 '관리' 차원의 친서를 보냈으나 우리 측에는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북한이 현시점에서 중국을 비핵화 협상에 있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상대'로 인식했음을 보여 준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이 비핵화 협상의 '새로운 길'에 대한 논의를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새로운 길'은 김정은 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처음 언급한 것이다. 북미 간 협상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을 경우 새로운 노선을 구상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

다만 김 위원장은 '새로운 길'이 무엇이 될지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이 시 주석과 이 같은 내용을 논의한다면 북한의 정상외교 국면에서 처음으로 새로운 길에 대한 논의가 외부와 공유되는 셈이다.

특히 북한의 입장에서 미국과 관계가 틀어질 경우 의지할 곳은 중국밖에 없다는 점에서 '새로운 길'은 중국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개될 수밖에 없는 측면도 있다.

중국의 입장에서도 김 위원장의 내밀한 구상을 청취하는 것 자체가 북중 밀착, 대북 영향력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번 정상회담에 임하는 중국의 입장이 복합적인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이번 회담의 결과는 상당한 톤 조절을 거쳐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펼치는 중국이 최근 '화웨이 사건'과 관세 폭탄 위기를 맞고 있어 수세에 몰린 상황이기 때문이다.

비핵화 협상에 있어 북한을 끼고 미국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경우 미국은 즉각 중국에 무역 보복을 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이 방북길에 오르는 것 자체가 미국을 견제하는 차원의 북중 밀착을 위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북한을 미국과의 협상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 우세한 이유다.

따라서 이번 북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대해 중국이 제공할 수 있는 카드를 제시하며 협상의 재개를 추동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미국에도 '중국을 활용해야 대화가 풀린다'라는 메시지를 주면서 무역 전쟁의 돌파구를 찾으려 들 수 있다.

다만 내밀한 논의를 통해 향후 북한에 대한 우군의 역할을 약속하면서 북한의 신뢰도 공고히 하는 전략이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정상회담 결과 발표에는 비핵화에 대한 원칙적인 입장과 북중 우호 외에 현 비핵화 대화 국면에 '균열'을 내는 메시지는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애타는 것은 정부다. 정부는 지난 2월 하노이 정상회담의 결렬 이후 한미 공조 강화 외에 대북, 대중 관계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미국에 의존해 비핵화 협상을 풀어가야 하는 정부의 수세적 입장 때문에 일각에서는 하반기 비핵화 협상 국면에 '한미 대 북중'의 구도로 흘러갈 수도 있다는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