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은행권 혁신금융 이번엔 '반짝' 아니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6.18 17:19

수정 2019.06.18 17:19

우리금융지주가 혁신금융에 앞으로 5년간 총 33조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17일 손태승 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 주재로 열린 혁신금융추진위원회 1차 회의에서 내린 결정이다. 앞서 KB·신한·하나금융도 혁신금융 지원계획을 밝혔다. 한국 금융을 이끄는 빅4 금융지주사가 혁신금융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사실 시중은행이 혁신금융에 전력투구하기는 쉽지 않다. 은행은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다.
고객 돈을 함부로 써선 안 되기 때문이다. 반면 혁신금융엔 늘 리스크가 따른다. 그래서 여태껏 은행들은 혁신금융에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었다. 과거 은행들은 철강·조선·석유화학과 같은 중후장대형 제조업을 후방에서 지원하는 역할에 충실했다. 그 덕에 한국 경제가 여기까지 왔다. 하지만 21세기는 첨단 혁신산업이 이끌어 가는 시대다. 그에 맞춰 은행의 역할도 바뀌어야 한다. 손태승 회장은 "우리금융그룹은 지난 120년간 경제발전에 기여해 왔다"며 "경제의 돌파구인 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조력자 역할을 선도적으로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올바른 방향이다.

다만 우리는 금융지주사에 두가지를 주문하고자 한다. 먼저 혁신금융이 이명박정부의 녹색금융 또는 박근혜정부의 창조금융과 같은 길을 걸어선 안 된다. 금융당국이 팔을 비틀어서 나온 녹색·창조금융은 정권과 운명을 같이했다. 행여 혁신금융 프로젝트가 문재인정부의 혁신성장과 장단을 맞추는 사업이라면 아예 시작하지 않는 게 낫다.

혁신금융의 진정성은 인력 충원을 보면 알 수 있다.
은행 스스로 어떤 기술이 유망한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기술금융에 담보를 요구하는 모순이 빚어진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봄 '국내 기술금융 현황과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기술신용 대출에서 담보·보증 비중이 2017년 6월 기준 71.7%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은행들이 이를 반면교사 삼아 지속가능한 혁신금융의 모범을 보이길 기대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