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구미형 일자리 결실… 전국으로 확산되길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7.25 17:29

수정 2019.07.25 21:23

文대통령 참석하에 협약식.. 사회적 대타협 살려나가야
노·사·민·정이 경북 구미시에서 다시 손을 맞잡았다. 구미시는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LG화학과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공장을 짓는 '구미형 일자리' 사업 투자협약을 맺었다. 문 대통령은 "구미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이어 사회적 대타협이 열매를 맺은 두 번째 사례다.

이 사업은 경상북도와 구미시가 LG화학에 국가산업단지 내 부지 6만㎡를 무상임대한다. 500억원 규모의 투자 보조금과 세제 혜택도 제공한다.
LG화학은 2021년까지 4000억∼50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공장이 완공되면 1000여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꺼져가는 지역 제조업에 부활의 불씨를 댕긴 구미시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구미시는 과거 산업화 시대에 정부의 수출산업 육성 전략을 배경으로 한국 전자산업 거점도시로 급성장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 이후 전통 제조업이 붕괴되면서 한국판 러스트벨트로 변해가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매년 세계 전기차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신성장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LG화학은 이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기업이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의 4대 소재(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액) 가운데 원가 비중이 가장 높은 핵심 소재다. 구미시가 이런 공장을 유치한 것은 쇠락하는 지역 제조업에 재기의 새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나라 전체의 산업적 측면에서도 의미가 깊다. 한국 제조업은 기업들의 국내투자 기피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극심한 노사분규, 인건비 상승, 규제 등으로 점점 기업하기 힘든 나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사가 자율협약을 통해 상생의 길을 열었다. 노동계와 지역사회는 요구 수준을 대폭 낮추고,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세금을 깎아주고 규제를 푸는 등으로 친기업 환경을 만들었다. 지난 2월 성사된 현대차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이어 또 하나의 상생 모델을 만들었다.

한국 전통 제조업 몰락은 구미시뿐만이 아니다.
성동조선과 STX 부실화,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의 구조조정,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등이 이어지고 있다. 그 결과 창원·울산·거제·목포·군산 등의 지역경제가 대량실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주형과 구미형에 이어 군산, 거제 등에도 상생형 일자리 사업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