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홍남기 "공매도 규제등 총동원"...이주열 "필요시 통화정책"(종합)

뉴스1

입력 2019.08.07 10:27

수정 2019.08.07 22:06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 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등 참석자들과 함께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헌 금감원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홍남기 부총리, 최종구 금융위원장. (기획재정부 제공) 2019.8.7/뉴스1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 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등 참석자들과 함께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헌 금감원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홍남기 부총리, 최종구 금융위원장. (기획재정부 제공) 2019.8.7/뉴스1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2019.8.7/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 2019.8.7/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박주평 기자,서영빈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경제·금융 수장들이 금융·외환 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시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수단으로는 공매도 규제 강화와 외환시장 적극 개입, 통화정책(기준금리 인하) 대응 등이 언급됐다.
또 일각에서 불거진 일본계 투자자금 이탈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작고, 현실화되더라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홍남기 부총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최종구 금융위원장,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7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일본의 대(對) 한국 2차 경제보복,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폭으로 요동친 금융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홍 부총리는 금융·외환시장에 적극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홍 부총리는 "과도한 쏠림 등에 의해 외환시장 불안이 발생할 경우 선제적이고 단호하게 시장안정조치를 할 것"이라며 "정부는 앞으로의 상황을 냉철하게 주시하면서 시장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글로벌 경기둔화, 미국의 대(對)중국 추가 관세부과,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위안화 약세 등을 주요 대외 리스크로 꼽은 뒤 "국내에서는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및 투자 부진, 일본의 수출규제 등으로 어려움이 더 커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우리경제의 대외건전성은 과거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획기적으로 개선됐다"면서 "철저히 대응해나갈 계획이니 과도한 불안심리를 가질 필요는 없다"고 당부했다.

홍 부총리가 밝힌 시장 안정조치는 Δ공매도 규제강화 Δ자사주 매입규제 완화 Δ증시 수급안정 방안 등이다. 그는 "정부는 상황을 냉철하게 주시하며 시장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이미 준비해 놓은 컨틴전시 플랜에 기초해 증시 수급안정방안·자사주 매입규제 완화·공매도 규제강화 등 가용수단을 통해 시장상황에 따라 적기에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컨티전시 플랜과 관련해 단계별 조치를 내부적으로 점검하고 오늘 회의에서도 공유했다"며 "어떤 단계에 어떤 조치를 말하긴 어렵지만 공매도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선 검토를 충분히 마쳤고 언제든지 시행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시행 시기에 대해선 아직 논의가 필요하다며 밝히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시장 상황에 따라 필요성이 더 큰 것도 있고, 부작용이 더 클 때도 있다"며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거시 리스크 확대로 경기 악화가 지속될 경우 통화정책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고 했다. 이는 필요시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대한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상황변화에 따라 필요하다면 통화 정책적 대응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 정책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언급한 것에서 변화가 없다"며 "아직은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하며 이 자리에서 추가 인하 여부를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국내외 경기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기존 연 1.75%에서 연 1.50%로 0.25%p 전격 인하한 바 있다.

홍 부총리는 환율 안정을 위해 정부가 직접 개입할 수 있다는 의지도 강하게 내비쳤다. 홍 부총리는 "최근에 환율 변동성이 확대된 것은 사실"이라며 "환율 시장에 대해 과도한 쏠림 현상이 있어서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면 준비된 계획에 따라 불안 심리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을 적극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환율시장은 기본적으로 시장 원리로 작동된다"며 "다만 환율시장이 한 방향으로 급격하게 쏠림현상 있을 때는 파인튜닝(미세조정) 차원에서 정책당국이 개입하는 것이 국제적으로 용인된다"고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들 수장은 일본 자금 이탈 가능성에 대해서도 영향이 크지 않아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최근 일본의 수출 제한조치와 관련해 일본계 자금 유출 가능성을 언급하는 단계까지는 가지 않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라며 "그와 같은 상황이 혹시나 오더라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했다"고 말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일본계 자금 이탈 가능성은 작고,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고 해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