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숨고르기 들어간 한일 갈등, 변곡점은 8.15…정상 메시지 주목

뉴스1

입력 2019.08.12 12:19

수정 2019.08.12 12:19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013년 12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 AFP=뉴스1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013년 12월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했다. © AFP=뉴스1

(서울=뉴스1) 최종일 기자 = 일본의 보복성 수출 규제로 격화된 한일 갈등이 이번 주 변곡점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숨고르기에 들어간 듯한 양국 간 대치는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패전일인 오는 15일 양국 정상이 어떤 메시지를 발신하느냐에 따라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비롯한 일본 각료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강행은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다. 야스쿠니 신사는 도조 히데키 등 제2차 세계대전 당시 'A급 전범' 14명을 비롯해 일본이 벌인 각종 전쟁에서 사망한 군인과 민간인 등 246만여명의 위패가 안치돼 있어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는 정권 복귀 1주년을 맞았던 2013년 12월, 일본 최대 규모의 신사로 도쿄 지요다구에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해 한국과 중국으로부터 강한 비난을 받았다. 미국은 "실망스럽다"는 입장을 냈다. 이후로는 공물(신사제단 제구)만 보내고 있다.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가 강한 반발을 낳은 이유는 A급 전범이 합사돼 있는 곳을 참배해 과거의 침략전쟁을 미화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간과해선 안 되는 부분이 있다. 야스쿠니 신사 설립 배경 역시 한반도와 연관돼 있다.

야스쿠니 신사의 본래 명칭은 조슈 신사였다. 초대 조선통감이자 한반도 식민지화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 등 조슈(야마구치의 옛 이름) 출신 인물들이 1869년 세우고 요시다 쇼인(1830~1859) 등의 위패를 가져다 놓았다. 10년 뒤, 메이지 일왕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요시다 쇼인은 조선을 침략하고 합병시켜야 한다는 강하게 주장했던 일물이다. 그의 제자들은 스승의 '정한론(征韓論)'을 주요 정책으로 발전시켰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이끈 야마가타 아리토모, 명성황후 시해 배후인 이노우에 가오루, 명성황후 시해 주범 미우라 고로,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 등이 모두 제자이다. 아베 총리는 야마구치 출신이며, "쇼인 선생을 존경한다"고 공공연히 말해왔다.

아베 총리는 올해 종전일에도 공물만 낼 것으로 보인다. 한일 관계 악화를 우려해서가 아니다. 내년 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 방일을 앞두고 중일 관계를 배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패전일에 측근을 통해 "오늘 참배를 가지 못해 죄송하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막판 손질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비서관급과 수석급 참모들이 각각 참여하는 연설문 독회(讀會)가 현재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일 관계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만큼 마지막까지 수정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베 총리는 지난 6일 "한국이 국교 정상화의 기반이 된 국제조약(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깼다”고 비판하더니 7일엔 반도체 핵심 3대 수출규제 품목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의 수출을 승인하며 한국에 대한 강온 양면 전술을 펼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일본을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배제하는 전략물자수출입 고시 개정안을 검토했지만, 논의 끝에 일단 유보하기로 하면서 외견상 한일은 숨고르기에 들어간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양국 정상의 8.15 메시지를 통해 오는 24일 효력 만료일을 맞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존속 여부도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