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600조원 해외 원전 건설·해체 시장 잡는다…정부 추진전략 발표

뉴스1

입력 2019.09.19 11:01

수정 2019.09.19 11:01

한국이 처음 해외에 수출한 원자력발전소인 UAE 바라카 원전(한국전력 제공) © News1
한국이 처음 해외에 수출한 원자력발전소인 UAE 바라카 원전(한국전력 제공) © News1


원전 수출활성화 추진 전략. (산업부 제공) © 뉴스1
원전 수출활성화 추진 전략. (산업부 제공) © 뉴스1


(세종=뉴스1) 한종수 기자 = 정부가 영국·사우디아라비아·체코 등 해외 원자력발전소 수주와 해체 시장 진출을 위해 연구개발(R&D), 특별보증·투자펀드 등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탈(脫)원전을 핵심으로 한 에너지전환 정책을 시행 중인 상황에서도 향후 20년간 120조원이 넘는 신규 원전 건설시장과 100년간 549조원에 달하는 원전해체 산업 진출을 위해 세계 경쟁력을 갖춘 우리 원전기술을 묵힐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원전수출전략협의회'를 열고 신규 원전 건설 시장과 운영·정비 및 해체 산업 공략을 위한 추진 전략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원전 공기업인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PS, 한전기술 등이 참석하고 두산중공업, 수산ENS, 하나원자력기술 등 원전 관련 기업과 원전수출산업협회 등 민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협의회 개최 전 산업부가 배포한 '원전 전(全)주기 수출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원전 수출 세부 추진방안으로 Δ주기별·국가별 맞춤형 수출 전략 구사 Δ개별 기업의 글로벌 수출 강소기업화 Δ상시적, 제도적 인프라로 지원 환경 혁신 등을 제시했다.

산업부가 추산한 신규 원전 건설 시장은 향후 20년간 1000억~1200억달러에 이른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원전 158기가 신규 발주된 가운데 77기는 자체건설, 58기는 해외 사업자 선정이 완료된 상태다. 23기는 아직 사업자를 정하지 못했다.

사업자 미지정 국가는 영국(7기), 폴란드(6), 사우디·체코·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방글라데시(각 2기) 등이다. 현재 우리 정부는 사우디, 체코 등에 원전 수출을 타진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수주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산업부는 사업자가 정해지지 않은 23기 원전 건설 규모만 120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 원전 정비 산업엔 매년 약 40조원, 원전 수명연장 시장은 10년간 60조원, 해체산업은 향후 100년간 549조원으로 내다봤다.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 원전 기술을 무기로 이 거대한 시장을 놓치지 않겠다는 것이 이번 수출활성화 방안의 핵심이다. 이미 우리 독자기술로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에 수출한 경험이 있는 만큼 '글로벌 원전수출 강국'을 비전으로 제2의 바라카 재현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것이다.

우선 '글로벌 원전수출 강국' 실현을 목표로 원전 공기업과 중소·중견 협력업체의 해외 동반진출을 위한 원팀(팀코리아)을 조직하고 전방위적인 해외마케팅을 강화한다. 구체적인 방안은 연내 발표할 '원전수출 확산 및 동반진출지원 전략'을 통해 제시된다.

한수원 등 원전공기업을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 원전기술 지원도 확대한다. 연간 827억원 규모인 연구개발(R&D) 예산을 1415억원으로 확대하고 한수원 중앙연구원, 한전기술 등이 참여하는 '기술지원단'도 발족한다.

맞춤형 자금지원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올해 하반기 안에 민관 합동 '금융실무그룹'을 신설해 원전수출 특별보증과 민관합동 투자펀드 등을 만들어 수출 활성화를 돕는다.

이날 협의회에서 한전, 한수원, 무역보험공사, 수출입은행, 원전수출협회 등 5개 기관은 원전 수출분야 금융지원 활성화를 위해 대형원전사업 정보 및 전략협력 등을 담은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성윤모 장관은 "해외 원전 선진국들이 자국 내 신규건설 수요의 감소 속에서도 서비스시장 진출, 시장다양화 전략 등으로 지속 성장해온 바와 같이, 우리 원전수출산업도 원전 전주기,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