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日 아베 총리 文정부가 내민 손 맞잡길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24 17:06

수정 2019.10.24 17:06

나루히토 일왕 즉위행사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이낙연 국무총리가 24일 아베 신조 총리를 만났다.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양국 최고위급 대화였다. 이 총리는 이날 한·일 관계의 개선을 희망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도 전했다. 이번 회동이 무역마찰에다 북핵 문제와 관련한 안보공조 균열 등 악화일로인 양국 관계를 복원하는 모멘텀이 되기를 기대한다.

사실 불과 20여분의 짧은 면담으로 한·일 관계가 술술 풀릴 것으로 낙관하긴 어렵다. 강제징용 배상판결이 아베 정부의 대한 수출규제 조치와 문재인정부의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선언으로 이어지면서 양국 관계는 꼬일 대로 꼬인 상태여서다.
그러나 두 총리가 "양국이 중요한 이웃 국가로서 한·일 관계의 어려운 상태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조세영 외교부 1차관)고 했다니, 다행스럽다. 이 총리가 이날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상을 앞으로도 존중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등 돌린 양국이 다시 소통할 레일을 깔았다는 점에서다.

그렇다면 정상 간 후속 대화가 중요하다. 이날 이 총리가 아베에게 건넨 문 대통령의 친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강제징용 판결이 도화선이 돼 양국 간 감정적 대치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친서는 그 자체로 관계 개선의 시그널이다. 문 대통령이 내민 손을 가까운 시일 내에 아베 총리가 맞잡기를 바란다.

물론 두 정상이 만나더라도 강제징용 배상, 수출규제, 지소미아 파기 등 현안을 일거에 해결하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과거사에 얽매여 미래를 놓치면 피차 큰 손실이다. 이미 양국 기업들이 크고 작은 피해를 입고 있다.
다음 달 지소미아가 종료되고 연내에 강제징용 일본 기업의 압류자산 현금화가 진행되면 양국 관계는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들게 된다. 한국 정부가 취한 갈등해소 이니셔티브에 양국의 불행한 과거사에 큰 책임이 있는 일본이 화답할 차례다.
동북아의 경제·안보 지형이 요동치는 지금 양국 모두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실용적 자세가 필요함은 더 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