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南시설 철거하라는 北 "금강산, 생태관광 위한 자연 훌륭히 보존"

뉴시스

입력 2019.11.03 17:46

수정 2019.11.03 17:46

"생태관광개발 위한 법률적 담보 확고히 보장" "생태관광 지속적이며 넓은 전망 가지고 있어"
【서울=뉴시스】북한 조선금강산국제여행사는 홈페이지 '금강산'에 지난 30일 '생태관광전망이 좋은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라는 제목의 '연속기행기'를 올렸다. 2019.11.03. (사진=금강산 홈페이지 캡처)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북한 조선금강산국제여행사는 홈페이지 '금강산'에 지난 30일 '생태관광전망이 좋은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라는 제목의 '연속기행기'를 올렸다. 2019.11.03. (사진=금강산 홈페이지 캡처)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성진 기자 = 북한이 금강산 남측 자산 철거를 요구한 가운데 북한의 한 여행사 홈페이지가 원산갈마 해안 관광지구와 금강산을 연결해 생태관광을 홍보해 눈길을 끈다.

북한 조선금강산국제여행사는 홈페이지 '금강산'에 지난 30일 '생태관광전망이 좋은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라는 제목의 '연속기행기'를 올렸다.

조선금강산국제여행사는 올해 들어 거의 매주 5편 이상의 금강산 지명유래, 주요 특산상품, 동식물 등을 소개하는 글을 짤막하게 홈페이지에 써서 올리고 있다.

기행기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명승지를 보호관리하는 데서 중요한 것은 명승지의 생태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원상대로 보존하는 것"이라고 했다며, "생태관광은 관광객들이 생태계를 체험하면서 생태환경보호에 이바지하게 하는 관광"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에는 생태관광을 위한 자연지리적 조건과 환경이 천연상태 그대로 훌륭히 보존돼 있다"며 "이 관광지대는 고산지대, 벌방지대(평야), 해안지대, 내륙지대를 다 가지고 있으며 거기에 잘 적응되고 어울리는 각종 동식물들을 비롯한 생태관광자원들과 동물보호구, 식물보호구들이 있는 전망성 있는 생태환경관광지"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김성진 기자 =북한 금강산 호텔 외관 전경. 2019.2.13. ksj87@newsis.com
【서울=뉴시스】김성진 기자 =북한 금강산 호텔 외관 전경. 2019.2.13. ksj87@newsis.com
그러면서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에는 각종 경제개발구관련 법규, 환경보호관련 법규와 세칙들이 제정돼 생태관광개발과 운영을 위한 법률적담보가 확고히 보장되고 있으며 원산농업대학, 원산수산대학, 정준택원산경제대학을 모체로 해 생태관광을 위한 교육과학적 토대가 훌륭히 수립돼 있다"고 밝혔다.

기행기는 "원산-금강산국제관광지대는 이밖에도 다양한 주제의 생태관광을 조직운영할 수 있는 생태관광의 지속적이며 넓은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이명박 정권 당시 남북관계가 냉각되는 가운데 2008년 7월 남한 관광객이 피격되면서 금강산 관광 사업이 중단되자, 2011년 5월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을 채택해 남한의 금강산관광 참여를 배제하고, 조선금강산국제여행사를 설립해 외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금강산사업을 진행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25일 대남 통지문을 통해 "금강산지구에 국제관광문화지구를 새로 건설할 것"이라며 "합의되는 날짜에 금강산지구에 들어와 당국과 민간기업이 설치한 시설을 철거해 가기 바람"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고성(강원)=뉴시스】사진공동취재단 = 고성 GP에서 바라본 북한 금강산 비로봉과 외금강산 자락. 2019.02.14. photo@newsis.com
【고성(강원)=뉴시스】사진공동취재단 = 고성 GP에서 바라본 북한 금강산 비로봉과 외금강산 자락. 2019.02.14. photo@newsis.com
이에 정부는 지난달 28일 대북 통지문을 통해 '편리한 시기'에 금강산에서 실무회담을 하자고 역제안했으나 북한은 하루 만인 지난달 29일 "실무적인 문제들은 문서교환 방식으로 합의하면 된다"며 실무회담 거부 의사를 보내왔다.

정부는 현재 대면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 아래 금강산관광지구에 투자한 현대아산 등 민간 기업의 재산권 보호, 사업권 확보에 우선순위를 두고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르면 다음주 실무회담 등을 재차 촉구하는 2차 대북통지문을 보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ksj8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