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KDI, "스마트공장 생산·사무직 줄고, 공정관리 유지... 성패는 인사 관리"

김서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1.20 12:00

수정 2019.11.20 12:00

KDI, "스마트공장 생산·사무직 줄고, 공정관리 유지... 성패는 인사 관리"

[파이낸셜뉴스]한국개발연구원(KDI)이 공장의 자동화는 일자리 감소 가능성이 있지만 스마트화는 직종별로 영향이 다르다는 진단을 내놨다. 생산·사무직은 감소하지만 공정 관리는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스마트공장의 성패는 경영자의 관심도와 금전적 보상, 승진 등 직원 인센티브 등이 잘 조합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KDI는 20일 KDI 포커스에 실린 '공장의 스마트화를 위한 스마트한 정책 방안' 보고서에서 "자동화 수준 향상을 계획한 기업들은 모든 직종에서 고용 감소를 예측한 반면 스마트화를 계획한 기업들은 생산·사무직 감소를 예측하면서도 공정관리 기술직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7년을 기준으로 향후 2년간 기업이 계획하는 스마트화 및 자동화 수준에 따른 직종별 노동수요 변화를 분석한 결과다.

스마트공장은 제조 전 과정을 정보통신기술(ICT)로 통합해 생산성 및 에너지효율 강화, 제품 불량률 감소 등 생산시스템을 최적화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2014년부터 스마트공장 육성을 추진해 지난해까지 5년간 4136억원을 투입했다. 올해는 보급 사업 포함 관련 총예산은 1조원으로 정부의 가장 중요한 산업 정책중 하나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22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KDI는 공장의 스마트화는 공정 뿐 아니라 전사적 스마트화를 계획하는 기업은 모든 직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는 부문간 연결성 강화로 거래처 증가 등 기업의 성과 향상을 기대해 노동 수요를 유지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다만, KDI는 공장의 스마트화를 통해 고용 감소를 전망하는 기업들은 대응 수준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스마트화 수준이 높은 사업체는 고용이 감소하는 직군, 특히 생산직에 대한 재교육 및 재배치 계획과 사내 교육프로그램을 갖고 있는 확률이 높았다"며 "반면 스마트화 수준이 낮은 사업체는 재배치 계획이 없을 확률이 높고, 교육은 협력 대기업이나 전문 공급 사업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결국 기업들이 스마트화를 추구할 때 효과적인 재교육 및 재배치 프로그램을 제공하느냐가 일자리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KDI는 또 스마트공장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술 도입의 효과는 공장 경영 방식에 따라 차이가 크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인사 관리 수준이 낮은 하위 20% 공장 그룹에서는 기술 도입의 효과가 없었지만 관리 수준이 높아질 수록 스마트화 수준 향상 효과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즉, 스마트공장의 성패는 직원에 대한 금전적 보상, 승진 등 인센티브와 경영자의 관심도 등이 잘 조합돼야한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기업은 기술 도입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변화가 근로자의 인센티브와 일치하도록 경영 방식을 바꿔야 한다"며 "정부는 충분한 경영교육과 컨설팅, 기술적 준비 등 기업이 선행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