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빅데이터와 인재정책

정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2.05 17:42

수정 2019.12.05 17:42

[특별기고] 빅데이터와 인재정책
과학기술 인재양성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기술발전과 사회변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단발성 인력양성 정책으로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미래사회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할 이공계 인재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력양성 정책이 실행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가시적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미래를 예측해 정책을 수립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문제로 인재정책 수립의 근거가 되는 과학적 증거기반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다각적 노력을 기울여 교육, 노동, 연구개발, 해외유출입 등 여러 조사와 통계가 양적으로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조사 대상이 제한적이고 내용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지 않아 활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공계 인재가 분야별로 어떻게 분포하고 이동하는지에 대한 수치마저 혼선을 빚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모든 것이 그렇지만 정확한 데이터가 정책적 판단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책 입안의 첫걸음은 데이터 관리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책 수립 및 수행에 근거가 될 과학적 증거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먼저 이공계 연구인력의 전주기 통계기반 확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공계 인재의 경력개발 과정은 양성에서 활용으로의 '단선적 경로'가 아닌 성장과 변화의 '동적 경로'로 확장되고 있다. 인재정책 또한 단기적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생애주기 경력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 따라서 이공계 인재의 양성, 노동시장 진입, 재직, 퇴직에 이르는 경력개발 경로 및 수급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추적할 수 있는 통계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해야 정확하고 올바른 인재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기존 부처별로 이뤄진 조사에는 부처 간 연계와 협력이 요구된다. 현재 교육부는 대학과 대학원 교육 및 졸업 현황, 노동부는 노동시장, 과기부는 연구개발 인력, 산업부는 산업기술 인력 등 부처별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조사 결과들의 연계 활동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를 극복하고 개인의 전생애주기 경력개발 경로조사로 연계해야 한다. 범부처적 협력을 통해 조사항목을 공동으로 설계하고, 전국 이공계 대학원생 등을 대상으로 현황조사와 추적조사 등을 해야 한다. 그래야 범부처 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미국 과학기술통계데이터시스템(SESTAT)을 예로 들어보자. 미국은 이 시스템을 통해 1970년대부터 격년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해 대졸 이상 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교육, 고용, 인구통계 정보를 조사하고 있다. 이 데이터를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미국 국가통계위원회, 인구통계국,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등 전방위적 협력 때문에 가능하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과학기술인의 경력개발 현황 및 애로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과학기술인 경력개발 지표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 내년부터는 이를 활용한 경력개발 실태조사를 할 계획이다.
재분석 보고서를 발간해 기존 유용한 통계를 경력개발 관점에 맞춰 분석함으로써 정책 입안에 활용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인은 기술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갈 우리 사회의 보물이다.
이들의 전생애주기 경력개발을 적시에 지원할 수 있는'올바른 정책'은 바로 '올바른 데이터'에 그 답이 있다.

이봉락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본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