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주류가 된 민노총, 책임 있는 행동 기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2.26 17:19

수정 2019.12.26 17:19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제1노총의 지위를 확보했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내놓은 '2018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에 따르면 민노총 조합원 수는 96만8035명으로 한국노총(93만2991명)보다 3만5000여명 많았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민노총 조합원 수가 31만여명 늘어나는 사이 한노총은 9만여명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양대 노조의 지위가 역전됐다. 민노총이 조합원 수에서 한노총을 앞지른 것은 지난 1995년 민노총 창립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민노총이 제1노총 자리를 꿰찬 데 대한 사회각계의 반응은 기대보다 우려 쪽에 쏠려 있다. 민노총이 사회적 타협보다는 강성 일변도의 투쟁노선을 견지하면서 '거리의 정치'를 해온 까닭이다.
당장 재계는 "기울어진 운동장이 더 기울어질 것"이라면서 향후 노사관계가 더욱 악화되지 않을까 우려한다. 민노총이 참여를 거부해온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도 민노총의 편향적 태도와 독단적 행태를 경계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런 점에서 민노총이 정부에 직접대화를 요구하며 공세적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은 결코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실제로 민노총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정부는 제1노총이 된 민노총과 노정관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 내 각종 위원회 위원 수 조정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제1노총 지위를 등에 업은 민노총의 요구가 더욱 거세지면 그동안 사회적 대화 창구 역할을 해왔던 경사노위의 위상마저도 위태로워질 수 있는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근로자의 날을 맞아 "노동계도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로 함께 해주길 바란다"며 "과거 노동이 투쟁으로 존중을 찾았다면, 앞으로의 세상에서 노동은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해 11월 임종석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은 "민노총은 이제 더 이상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라며 "민노총이 책임 있는 자세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민노총이 지금처럼 자신들의 이익에만 매몰돼 투쟁 위주의 비타협적 노선을 지속한다면 국민의 지지를 얻기는 어려울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