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화학연구원이 개발한 잔디제초제 美시장 진출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1.06 09:51

수정 2020.01.06 09:51

한국화학연구원·㈜목우연구소, 메티오졸린 공동 개발
국산 농약 최초 美 환경청 등록… 연간 500억원 매출 기대
맨 오른쪽 잔디밭을 보면 메티오졸린이 기존 제초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잡초(새포아풀)를 완전히 제거했다. 화학연구원 제공
맨 오른쪽 잔디밭을 보면 메티오졸린이 기존 제초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잡초(새포아풀)를 완전히 제거했다. 화학연구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잔디 제초제가 전 세계 1위 미국 시장에 진출한다. 농약 수입국인 한국이 전 세계 잔디 제초제 시장의 70%를 차지하는 미국에 신농약을 수출하는 건 처음이다.

한국화학연구원은 ㈜목우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잔디 제초제 '메티오졸린'이 지난달 미국 환경청으로부터 상용화 승인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미국 환경청에 농약을 등록하는 건 미국 식약청(FDA)의 신약 등록에 준하는 일이다.


메티오졸린은 이미 2010년 농촌진흥청 농약으로 등록된 후 '포아박사'라는 상품명으로 지금까지 국내에서만 150억원의 누적 매출을 기록했다.

2016년 일본 농림수산성에 등록 및 출시된 데 이어, 2020년 미국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연내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상용화되며, 점차 캐나다와 유럽으로도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판매가 정상 궤도에 오르면 글로벌 시장에서만 연간 5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화학연구원 김형래·(故)유응걸 박사팀이 2002년 메티오졸린을 벼 제초제로 개발했으나 상용화되진 않았었다. 그러다 2007년 ㈜목우연구소로 기술이 이전된 후 잔디 제초제로서의 용도가 밝혀졌다. 이후 한국화학연구원 고영관 박사팀과 ㈜목우연구소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메티오졸린의 대량생산공정을 공동으로 개발, 현재 국내·외 6개국에 관련 공정특허를 등록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이혁 본부장은 "출연연과 산업체가 공동연구로 세계적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가진 신농약을 개발해 선진국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국내 신물질 R&D의 위상을 한층 강화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메티오졸린이 처리된 골프장으로, 잔디에는 피해를 주지 않고 잡초(새포아풀)만을 서서히 고사시키는 모습(노란색: 새포아풀). 메티오졸린 처리 후 색상은 변하지만 잔디와 섞여 있다가 새포아풀만 사라지고 그 자리를 잔디가 채우게 된다. 화학연구원 제공
메티오졸린이 처리된 골프장으로, 잔디에는 피해를 주지 않고 잡초(새포아풀)만을 서서히 고사시키는 모습(노란색: 새포아풀). 메티오졸린 처리 후 색상은 변하지만 잔디와 섞여 있다가 새포아풀만 사라지고 그 자리를 잔디가 채우게 된다. 화학연구원 제공
메티오졸린은 골프장과 스포츠 필드, 가정정원 등 잔디조성지에 쓰이는 제초제로, 잡초인 새포아풀만 방제해 제초효과가 탁월하다. 새포아풀은 열대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하는 잔디와 비슷한 잡초다. 골프장에서 방제하기 가장 까다로운 잡초로 꼽힌다.

메티오졸린은 독창적 화학구조로 기존 제초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새포아풀뿐 아니라, 한지형 잔디에서도 새포아풀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초효과가 매우 느리게 일어나 골프장 등 잔디조성지의 미관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메티오졸린 살포 후 2주간 잔디조성지의 외관상 변화 없이 새포아풀의 생장만 저해하다가 4~6주 후에는 잔디가 차 들어오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양잔디로 불리는 한지형 잔디와 새포아풀은 거의 같은 식물 계통이어서 기존에는 한지형 잔디 내에서 새포아풀을 선택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가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보통 한국 잔디라 불리는 난지형 잔디에서 새포아풀을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는 있으나, 최근 새포아풀에 이들 기존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발생해 난지형 잔디에서 새포아풀 방제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