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연준, 이달중 금리인하 시사…파월 "필요한 조처 취할 것"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3.01 14:30

수정 2020.03.01 14:30

[파이낸셜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금리인하를 예고했다. 시장에서는 이달 17~18일(이하 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소 0.25%포인트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가능성은 낮지만 이르면 회의가 열리기까지 2주 동안 전화회의 등을 통해 전격적인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도 예상된다.

18일 0.25%포인트 금리인하 나서나
지난달 28일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주식시장이 마감되기 전 성명을 통해 필요할 경우 금리인하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충격이 연일 고조되면서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공급·수요 충격이 예고되는 가운데 나온 긴급성명이다.

파월 의장은 "연준이 (코로나19) 상황전개와 (바이러스가) 경제전망에 미치는 시사점들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연준이 갖고 있는 정책수단들과 적절한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리인하를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파월은 앞서 지난해 미국과 중국간 무역전쟁 충격이 전세계 경제성장에 먹구름을 드리우던 당시에도 필요한 조처를 약속하고 곧바로 금리인하에 나선 바 있다.

파월은 지난해 6월 필요할 경우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고, 그 뒤 연준은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인 연방기금(FF) 금리를 내려 목표치를 1.5~1.75%로 낮췄다.

시장은 지난주 초까지는 이르면 6월께 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날 파월 발언 뒤에는 이달 17~18일 FOMC에서 최소 0.25%포인트 인하를 결정할 것으로 금리인하 예상시기를 앞당겼다. 이번주나 다음주 중 전격적인 금리인하 가능성도 일부에서는 내다보고 있고, 금리인하 폭도 0.25%포인트보다 더 클 가능성도 시장은 예상하고 있다.

주가 폭락은 성장률에 금리인상과 같은 충격
2월 하순만 해도 금리인하에 부정적이었던 연준이 급속히 금리인하로 돌아선 것은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첫 사망자가 나오고, 지역감염 가능성이 우려되는 가운데 연일 주가가 폭락하고 있는 것이 경제주체들의 심리를 크게 위축시키고, 결국 미 경제성장률에도 충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연준의 무게중심 이동을 부른 것으로 보인다.

주가 폭락은 경제에 금리인상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있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주가 누적 하락폭이 17% 수준이면 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것과 비슷한 충격을 받는다.

IHS 마킷은 이번 주가폭락으로 올해 미 소비자 지출 증가율이 당초 예상한 2.5%를 밑도는 2.0%에 그칠 것으로 수정했다. 또 소비지출 증가세 둔화로 인해 미 GDP성장률은 0.2%포인트 낮은 1.8%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경제적 위협을 너무 오래 방관하거나, 그렇다고 금리인상을 지나치게 서둘러 시장심리를 악화시키지 않도록 하는 외줄타기 끝에 금리인하로 무게 중심을 옮겼다.

금리인하한다면 이는 선제적 조처
연준은 통상 자연재해 등을 경제에 충격을 미치는 '일시적' 요인으로 보고 정책대응에는 나서지 않는다. 그러나 코로나19 충격은 얼마나 오래, 얼마나 깊이 미칠지 불확실한데다 이에따른 기업 실적, 지출, 고용에 얼마나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지도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는 불확실성 덩어리다.

이때문에 전문가들은 유례없는 대유행병 앞에서 파월 의장이 공급·수요 충격을 완화하고, 이후 경기회복을 빠르게 하기 위한 선제적인 금리인하 카드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금리인하는 공급충격을 막는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공급충격의 원인이 방역에 따른 노동력 감소인 상황에서 연준이 노동력을 공급해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리인하는 공급충격이 기업들의 투자·지출연기나 소비자들의 소비지연으로 이어져 수요충격으로까지 번지는 연결고리를 끊을 수는 있다.

다만 연준이 선제적인 금리인하에 나선다 해도 운신의 폭은 매우 좁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에는 금리인하 반대표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추가 인하 여지가 크지 않은데다, 통화정책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국제 공조도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이나 일본은행(BOJ)은 이미 마이너스(-) 금리 상태여서 충격이 가시화하기 전에는 금리인하에 소극적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연준은 2001년 9·11 테러 공격 당시 9월 13일과 17일 전화회의를 통해 전격적인 금리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