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철강사 실적 2분기부터 타격… 고부가 제품 늘리고 설비과잉 해결해야" [코로나19 대진단 산업지형이 바뀐다]

이병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5.11 17:32

수정 2020.05.11 19:02

전문가 3인 진단
전방산업인 車·가전 공장
셧다운 영향으로
수요부진 더 심각해질 것
경기부양에도
수요 바로 회복되진 않을 것
한국기업 4분기께 전망
특정고객 의존도 낮추고
재고 관리 철저히 해
코로나사태 극복을
"철강사 실적 2분기부터 타격… 고부가 제품 늘리고 설비과잉 해결해야" [코로나19 대진단 산업지형이 바뀐다]
"철강사 실적 2분기부터 타격… 고부가 제품 늘리고 설비과잉 해결해야" [코로나19 대진단 산업지형이 바뀐다]
"철강사 실적 2분기부터 타격… 고부가 제품 늘리고 설비과잉 해결해야" [코로나19 대진단 산업지형이 바뀐다]
철강산업 전문가들은 철강경기가 올해 2·4분기 바닥을 찍고 늦어도 4·4분기에는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1·4분기 국내 철강사 실적에는 코로나19 영향이 제한적으로 반영됐지만 2·4분기부터는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전방산업인 자동차·가전 공장 등이 1·4분기 셧다운된 영향이 2·4분기에 본격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내 철강사들도 이번 기회를 통해 체질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문도 있었다.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확대해야 하며 장기 수요침체를 대비해 설비과잉 문제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재고관리를 철저히 해 비용부담을 줄이고 고객 다변화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가 국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이재윤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철강산업은 공급보다는 수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업종이다. 지난해부터 수요부진이 심각했는데 이번 코로나19로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다만 아직까지 실적에 반영이 되지 않았다. 1·4분기에 수출이 소폭 하락했지만 철강은 장기생산 계획을 갖고 움직이기 때문에 2·4분기 통계에 하락분이 반영될 것이다.

▲강정화 한국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자동차, 가전 등 주요 전방산업의 생산중단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이는 철강수요 감소로 이어진다. 소비감소는 철강재고 확대로 이어지고, 이는 철강재 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중국의 철강재고는 2490만t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2·4분기 철강산업의 수요절벽을 예상하고 있는데 바닥을 어디까지로 보나.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코로나19가 중국에서도 2월이 돼야 본격화됐고, 3월에 한국이 영향을 받았다. 이 때문에 2·4분기부터 판매가 본격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2·4분기는 판매 성수기다. 포스코는 분기 판매량이 900만t 안팎이다. 이번에는 150만~200만t 빠질 것으로 예상한다. 2·4분기 이후에는 각국에서 경제활동 재개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예상돼 전방산업의 공장이 돌아가고, 조금씩 수요가 회복될 것이다. 다만 바로 정상화가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다.

▲강 연구원=지난해 전 세계 철강소비량은 17억t이었고, 절반이 중국이다. 유럽과 미국이 15%,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이 20%, 그 외 지역이 7%가량을 차지한다. 코로나19 사태로 미국 및 유럽의 2·4분기 수요는 전년 대비 20%가량 급감할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도 10%가량 줄어들 것이다. 또 4월부터 중국 철강사들이 가동률을 높이고 있어 국내 철강사들의 수출은 두자릿수 감소할 것이다.

―수요회복 시점은.

▲강 연구원=올해 3·4분기 이후 인프라 투자 등 글로벌 경기부양이 이뤄지면서 철강수요가 회복세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나 중국의 철강 재고물량 소진 시까지 철강재 가격 회복은 지연될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 기업의 실적회복은 오는 4·4분기에나 가능할 것이다.

▲변 연구원=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충격 회복은 서서히 진행될 것이다. 2·4분기 바닥을 찍고 전방산업 공장들이 가동되기 시작하면 점진적으로 코로나19로 사라진 수요는 회복될 것이다. 다만 코로나19 이전에도 경기침체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완전한 수요 회복은 어려워 보인다.

―우리 철강사들이 코로나19 사태를 잘 극복하고 이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 위원=코로나19를 계기로 중국은 철강시장 점유율을 더욱 높여 시장 영향력을 강화하려 하고 있다. 일본은 장기 수요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설비 구조조정에 나섰다. 우리 역시 체질강화를 해야 한다. 과잉설비인 부분은 과감하게 구조조정해야 한다. 품목 고도화 역시 필요하다.

▲강 연구원=스마트팩토리를 이용한 비용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및 특수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사업 재편 등 철강산업 고도화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변화된 글로벌 철강산업에 대응해야 한다.

▲변 연구원=철강산업은 수요처가 정해져 있고, 설비 가동률 조정에서도 자유롭지 않다.
그만큼 구조조정이 어려운 곳이다. 다만 앞으로 특정 고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재고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