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정책

DID로 진료기록 관리… 블록체인 이용 ‘비대면 의료’ 확대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15 17:40

수정 2020.07.15 18:31

디지털 뉴딜 핵심과제 선정
내년 진료기록 증명작업 구체화
정보 위변조 블록체인으로 차단
모바일 의료문서 플랫폼도 구축
정부가 코로나19대응을 위해 비대면(언택트) 의료서비스를 확대한다.

'디지털 뉴딜' 핵심과제로 비대면 의료 제도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특히 환자 신원식별과 진료기록 등 중요 데이터 보호를 위해 모바일 전자증명(DID) 등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의료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을 사전 차단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DID로 진료기록 관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장·차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뉴딜, 코로나 이후 디지털 대전환 선도’ 관련 브리핑을 통해 지능형(AI) 정부 등 주요 과제를 발표했다.

전날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부문에서 4대 분야 12개 추진과제로 구성된 ‘디지털 뉴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부각된 비대면 의료·교육 분야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DID 등 블록체인과 생체인식 등 맞춤형 기술을 사용키로 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앞서 발표된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에는 비대면 진료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을 반영해 비대면 의료 부문이 추가됐다"며 "블록체인 DID(신원식별) 기반 진료기록 증명작업이 내년에 구체화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의료정보 유출 우려 차단


원격 진료 등 비대면 의료는 의료계 우려와 반발이 큰 부분이다.

이에 정부는 "감염병 대응과 국민 편의를 위해 의료계 등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보완 장치를 포함하는 비대면 의료 제도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환자가 집에서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충분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주기적인 점검 및 관리를 제공하는 등 ‘재택의료 건강보험 수가 시범사업’도 지속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즉 비대면 의료가 불가피한 만큼, 환자 및 진료 데이터 위변조 등 의료계가 우려하는 부분은 블록체인 등 ICT 기술로 풀어나가겠다는 게 정부 의지다.


과기정통부는 블록체인 민간 분야 시범사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개인 중심 모바일 의료전자문서 플랫폼 구축사업’도 진행 중이다.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플랫폼 업체 메디블록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참여기관은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 있다.
메디블록 컨소시엄은 진단서, 처방전, 입원 확인서 등 의료기관에서 발행하는 모든 문서를 전자문서화하는 방안 등을 추진 중이다

한편 정부는 행정 디지털화 등 공공 서비스도 비대면으로 전환하면서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공무원증과 운전면허증을 도입하고, 온·오프라인에서 함께 쓸 수 있는 디지털 신원증명체계도 구축한다는 목표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