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中나홀로 경제 회복 '속도'...코로나 이전 성장궤도 복귀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0.20 07:27

수정 2020.10.20 07:27

그래픽
그래픽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이 2분기 연속 'V자형' 경제성장률을 나홀로 이어갔다. 3·4분기는 전분기를 대폭 상회하며 회복의 속도를 더했다. 이 덕분에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정상적인 경제성장 코스로 진입한 최초의 국가가 됐다.

■소비 열리며 경제성장 견인
중국 국가통계국은 3·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중국 경제는 1·4분기 -6.8%에서 2·4분기 3.2%로 플러스 전환한 뒤 회복세를 굳히게 됐다. 다만 시장 전망치 5.2~5.5%에 비교해선 0.3~0.6%p 밑돌았다.


중국 경제가 성장세를 이어간 것은 생산, 투자, 수출, 고용 등이 모두 호조를 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지부진했던 소비도 두 달 연속 되살아나고 있다.

1·4분기~3·4분기 GDP도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했다. 이는 중국 경제가 상반기 손실을 회복해 플러스 반등에 성공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중국이 신속한 코로나19 통제와 효과적인 경기 부양 정책 덕분에 코로나19 이전의 성장 코스로 돌아온 첫 국가가 됐다고 평가했다.

중국이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었던 원동력은 강도 높은 통제로 코로나19 우려에서 일정부분 벗어난 점이 꼽힌다. 중국은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 코로나19가 발병한 이후 도시 전체를 봉쇄하는 등 지방 곳곳에서 바이러스가 재발할 때마다 차단과 봉쇄, 대규모 전수조사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후 국가운영의 포인트를 방역에서 '경제' 및 '방역' 투트랙으로 변경했다. 코로나19 방역과 별개로 고향으로 돌아갔던 농민공을 불러들였고, 공장도 다시 가동했다. 생산과 수출, 투자, 고용 등 대다수 경제지표가 점차 회복 추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소비는 여전히 중국의 발목을 잡았다. 코로나19 감염 우려와 실직자 증가 등으로 소비자들은 지갑을 열지 않았다. 실제 소매판매는 코로나19 충격에 올해 초부터 7개월 동안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다가 지난달에 겨우 0.5% 확대되며 플러스로 전환했다. 중국에서 소비는 지난해 기준 경제성장 기여도가 57.8%, 국내총생산(GDP) 비중이 55.4%에 달할 정도로 중요하다.

중국 정부는 여름휴가철과 10월 국경절 연휴기간에 국내여행을 권고하고, 소비쿠폰을 발행하는 등 전투적인 소비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정책은 효과를 발휘해 9월 소매판매가 1년 전에 비해 3.3% 늘었다. 전월과 견줄 경우 2.8%포인트 상승했다. 소매판매는 백화점과 슈퍼마켓, 전자상거래 등의 매출액을 합친 것으로, 소비활동이 얼마나 활발한지 보여주는 척도다.

제조업과 광업 등 업종 동향을 보여주는 같은 달 산업생산도 전년보다 6.9% 증가했다. 올해 들어 최고 수준이며 6개월 연속 증가세다. 중국 산업생산은 정부의 경제 재가동 정책에 힘입어 7월 4.8%, 8월 5.6% 등 점차 회복 속도를 높이고 있다. 1~9월 산업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1.2% 늘었다.

인프라 시설, 부동산, 기계장비 투자 동향을 보여주는 1~9월 고정자산투자는 0.8% 증가하며 플러스로 돌아섰다. 1~8월 증가율은 -0.3%였다.

고용지표는 안정적 수준을 이어갔다. 9월 도시 실업률은 5.4%로 전달 5.6%와 비교했을 때 0.2%포인트 개선됐다. 그러나 중국의 도시 실업률은 농촌 출신 도시 노동자인 농민공 실업률은 정확히 반영되지 않았다.

■中 GDP총량 10년 내 세계 1위
미국이 코로나19 터널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사이 중국이 미국의 GDP총량을 따라잡는 날이 2030년 초반께로 기존보다 앞당겨질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왕타오 UBS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10년 후인 2030년 미국과 중국의 GDP가 각각 26조6000억달러, 26조8000억달러가 된다"면서 "GDP총량 기준에서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경제대국 자리에 올라설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의 중국 압박이 계속되고, 내수만으로 경제성장을 이끌어 나가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미국 대선, 코로나19 팬데믹, 중국 내 빈부격차, 가계·기업 부채 증가 등 불확실 요소 역시 존재한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jjw@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