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신용대출 막아봤자..2030 부동산 '영끌'은 사상 최대

김동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1.20 06:00

수정 2021.01.20 12:17

시중은행들 지난달 신용대출 금지에도
지난달 30대 이하 아파트 매입 역대 최고
전문가들 "내 집 마련 불안과 부모 찬스 영향"

전국적인 집값 급등과 전세난이 겹치면서 지난해 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년에 비해 100조원을 넘어섰다. 사상 최대 증가폭이다. 지난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2020년 은행 가계대출은 전년에 비해 100조5000억원 늘어나며 지난 2004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사상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사진은 15일 서울시내의 시중은행 대출창구. 사진=뉴스1
전국적인 집값 급등과 전세난이 겹치면서 지난해 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이 전년에 비해 100조원을 넘어섰다. 사상 최대 증가폭이다. 지난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2020년 은행 가계대출은 전년에 비해 100조5000억원 늘어나며 지난 2004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사상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사진은 15일 서울시내의 시중은행 대출창구.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주택매입 과열을 막기위해 신용대출까지 금지했지만 30대 이하의 '영끌'과 '패닉바잉'을 막아서는 데 실패했다. 지난달 30대 이하 아파트 매입건수가 3만6000건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30대 이하의 아파트 매입은 '더 오르면 집을 사지 못한다'는 불안감이 작용했다고 풀이하면서도, 자산축적 기간이 짧아 부모들의 직·간접 증여도 한 몫을 했다는 평가다.

20일 한국부동산원 월별 매입자연령대별 아파트매매 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30대 이하 아파트 매입 건수는 3만6177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대 이하가 7098건, 30대는 2만9079건으로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9년 1월 이래 각각 최고치를 경신했다. 총 거래 10만6027건 중 34.06%의 비중을 차지해, 아파트를 산 10명 중 3명이 30대 이하로 나타났다.

30대의 아파트 매입 건수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대 매입 건수를 추월했다. 40대 매입건수도 2만8824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30대 매입 증가 폭에는 못미쳤다.

특히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서울에서도 30대 이사 매입자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총 매입 8764건 중 30대 이하 매입이 3850건(43.93%)이다. 아파트 매입 10건 중 4건 이상이 30대 이하가 사들인 것이다.

자산 축적 기간이 짧은 30대 이하의 아파트 매입 건수 폭증에 대해 전문가들은 증여가 한 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증여건수는 9898건으로 10월 6775건, 11월 9619건보다 늘어났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30대 이하는 경제활동을 통한 자산 축적 기간이 짧아 사실상 부모들이 직·간접 증여를 통해 집을 마련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다만 최근 자금조달계획서 의무화로 어느정도는 증여에 대한 투명성이 담보됐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30대 이하의 아파트 매입 건수의 폭증은 시중은행에서 신용대출을 금지한 기간과 맞물려 충격을 더하고 있다. 실제 지난달 15일부터 연말까지 모든 신용대출을 막은 시중은행들이 대다수였다. 신용대출을 통한 주택매입이 늘었다는 판단에서 대출을 옥죄었지만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치는 소소한 자금 부족을 막기 위한 유통처였을 뿐, 주택담보대출은 여전히 풀려 있어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발표한 '2020년 12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6조3000억원이 급증한 721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매년 12월 기준 증가액으로는 지난 2004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주택담보대출은 최근 5개월째 매달 6조원씩 불어나는 추세다.


이에 대해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예전에는 40대, 50대가 부동산 매매 시장을 주도했지만 최근에는 2030세대가 더 적극적"이라며 "근로소득에 대한 증가분보다 자산소득의 증가분이 더 크고 빠르다는 판단과, 지금이 아니면 집을 살 수 없다는 불안감이 함께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