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자국민 인종청소" "패권추구 말라"… 美·中 또 티격태격 [美·中, 안보리서 충돌]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5.09 18:10

수정 2021.05.09 18:10

블링컨, 인권탄압·영유권 분쟁 비판
왕이, 다자주의 실행 기여하라 반격
러시아 외무장관도 美 공격에 가세
한미일 정보기관장 회동 일정 조율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사진)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대면 회의에서 설전을 벌였다. 로이터뉴스1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사진)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대면 회의에서 설전을 벌였다. 로이터뉴스1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사진)은 지난 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대면 회의에서 설전을 벌였다. 로이터뉴스1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사진)은 지난 8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대면 회의에서 설전을 벌였다. 로이터뉴스1
【파이낸셜뉴스 베이징·도쿄=정지우 조은효 특파원】 미국과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인권 문제와 패권주의를 상호 비판하며 격렬한 신경전을 벌였다. 중국의 우호국인 러시아는 중국 편에서 미국 공격에 가세했다.
이들 강대국 간의 힘겨루기가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한국·미국·일본의 3개국 정보기관장이 바이든 미 행정부 들어 처음으로 회동을 갖기로 하는 등 글로벌 외교시계가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8일 원격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린 유엔 안보리 공개토의에서 중국이나 러시아 등 구체적인 나라 이름을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이들을 명백히 겨냥한 것으로 보이는 연설로 긴장을 고조시켰다.

그는 "유엔 회원국, 특히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규칙을 어기고 국제법을 위반한 자들에 대한 책임 추궁을 방해한다면 그것은 다른 나라들에 벌을 받지 않고 규칙을 위반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의 신장웨이우얼자치구 소수민족 탄압을 겨냥, "국내에 사법 관할권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어떤 나라에도 자국민을 노예화하고 고문하며 사라지게 만들고 인종청소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들의 인권을 침해하는 행동에 '백지수표'를 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무력을 사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고 협박함으로써 영유권 분쟁을 해결하려고 하는 나라가 있다"며 사실상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관련 조치들을 비판했다.

반면 5월 안보리 순회의장국을 맡은 중국의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약자 괴롭히기나 패권이 아닌 공정과 정의를 추구할 것"을 촉구하며 미국을 간접 겨냥했다. 또 "전 세계 모든 나라는 미국이 경로를 변경해 다자주의 실행에 진정으로 기여하기를 바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반격했다.

그는 "세계를 이념에 따라 나누는 것은 다자주의 정신에 위배된다"면서 "제로섬 게임보다는 모두가 승자가 되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미국 공세에 가담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 계획을 가리켜 "이데올로기적 기준에 따른 새로운 특수이익집단을 세우겠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미국과 중국·러시아의 충돌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국 중심의 주요 7개국(G7)은 지난 4~5일 외교·개발장관 회의에서도 중국과 러시아의 국제질서 위협과 인권침해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코뮈니케)을 발표했다.

반면 중국은 G7을 향해 미국의 꼬임에 빠져 중국과 러시아에 대항하지 말라며 반발했다. 관영 환구시보와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공동 사설을 내고 "무리를 지어 중국과 러시아에 맞서는 것은 미국과 서방 국가들에 악몽이 될 것"이라며 "미국과 서방 국가들이 개별 국가를 향해 중국·러시아에 대항하도록 부추기는 것은 해당 국가를 해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한·미·일 3국 정보기관장이 일본에서 회동하는 방향으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일본TBS 계열의 민영방송 네트워크 JNN이 이날 보도했다. 만남이 성사되면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한·미·일 3국 정보기관장 간 첫 회동이 된다.
3국 정보기관장 회의에서는 미국의 새 대북정책, 북한정보 공유 등이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jjw@fnnews.com 정지우 조은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