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헝다 위기보다 强달러가 더 부담… 원·달러 1200원 갈수도" [G2發 금융리스크 고조]

김민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9.23 18:27

수정 2021.09.23 18:27

증시·외환시장 전문가 진단
美 테이퍼링發 변동성 확대
헝다 디폴트는 장기 리스크
원화 추가절하 가능성도 제기
2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2.93p(0.41%) 하락한 3127.58을 나타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5원 오른 1175.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사진=김범석 기자
2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12.93p(0.41%) 하락한 3127.58을 나타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5원 오른 1175.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사진=김범석 기자
'헝다그룹발 위기는 중장기적, 미국 조기 테이퍼링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등이 더 큰 부담.'

추석연휴 기간 미국과 중국 등 'G2'에서 날아온 리스크에 대한 국내 전문가들의 평가다. 전문가들은 주식 투자자들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헝다그룹발 위기는 중장기적으로 미 연준의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시행에 따른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가 더 큰 부담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증시에서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2.93p(0.41%) 하락한 3127.58에 마감했다. 추석연휴 동안 중국 헝다그룹 파산위기로 인한 급락 우려가 컸지만 리먼사태 같은 후폭풍은 없을 것이란 관측에 소폭 하락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헝다그룹 디폴트 우려가 장기적으로 국내 증시에 리스크가 누적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 파산으로까지 이어질지는 모르겠지만 이번 사태가 중국 경제발전의 축소판인 만큼 부채를 통한 외형성장 모델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점을 보여줬다는 판단이다.

결국 올해 4·4분기 이후 중국 경제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외국인들이 국내를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 투자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헝다그룹의 경우 단기적 유동성 리스크가 아니라 중국 경기둔화가 가속화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신용리스크로 확산될 것이냐, 중국 경기가 분화될 것이냐가 이슈인데 다수의 지적처럼 신용위기나 금융위기로 가지는 않아도 당분간은 안 좋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오히려 단기적으로 조기 테이퍼링 시행 가능성이 3·4분기 국내 증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는 시장 기대를 벗어나지 않아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지만 11월 FOMC에서 테이퍼링이 공식화돼 시작한다고 하면 그 안에 담기는 내용에 따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 본부장은 "FOMC가 테이퍼링을 빠르게 진행한다거나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는 등의 변수를 봐야 한다"면서 "시기의 불안정성은 줄어들었지만 테이퍼링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국내 증시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테이퍼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미국 금리가 더 올라 달러는 강세가 강화될 것이고, 원화는 중국 내 리스크를 반영하면서 추가 절하될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다.

윤지호 이베스트 리서치본부장은 "원·달러 환율이 1200원까지 갈 수도 있다"면서 "원자재, 인건비, 세금 등 관련 인플레이션 때문에 수출기업들에는 악재가 될 것이고 향후 국내 증시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반면 중국 정부의 대외부채 비중이 GDP 대비 16% 수준으로 낮고 올해 이후 중국 정부의 위안화 안정 스탠스를 감안할 때 원·달러, 위안·달러 상승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효진 KB증권 연구원은 "연말 원·달러 환율은 1110원대로 하락할 것"이라며 "본격적인 하락 안정 시점은 11월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리오프닝, 소비 관련주에 투자하라고 조언한다.
테크 업종의 경우 네이버, 카카오 등은 규제 이슈 때문에 예전만 못하지만 미국 테크업체들은 보유하고 있다면 계속 가지고 있어도 좋다는 분석이다.

kmk@fnnews.com 김민기 연지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