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북 아파트값 '77주간의 질주' 멈췄다… 대세냐 반짝이냐 [집값 상승 둔화]

최용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02 17:55

수정 2021.12.02 17:55

지난주 서울 강북구 상승률 0%
수도권 8주째 상승폭 '주춤'
전망 놓고는 정부-시장 온도차
노형욱, 연일 집값 조정론 주장
전문가는 "장기적 추세 봐야"
강북 아파트값 '77주간의 질주' 멈췄다… 대세냐 반짝이냐 [집값 상승 둔화]
77주간 질주를 이어오던 서울 강북구 아파트값 상승세가 멈췄다. 전국 집값 향방을 주도하는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값도 각각 6주, 8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되면서 확실한 매수우위세로 돌아선 모습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가계대출 강화와 금리인상의 단기 영향이 큰 서울 중저가 아파트 지역들이 매수세 위축으로 가격 하방성을 보이는 반면, 고가 단지의 신고가 거래도 여전해 대세 하락을 예단하긴 섣부르다는 지적이다.

■강북구 보합·동두천 하락…둔화 뚜렷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5주(29일) 서울 강북구 아파트값 주간 상승폭이 0%를 기록했다. 강북구 상승폭이 0%을 기록한 건 지난해 6월 2주(8일) 이후 77주 만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 주간 아파트값 상승폭이 보합세를 보인 건 지난해 11월 3주(23일) 강남구와 서초구 이후 54주 만이다.


11월 5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동안 0.10% 올라 전주(0.11%)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값은 10월 3주부터 6주 연속(0.17%→0.16%→0.15%→0.14%→0.13%→0.11%→0.10%) 상승폭이 줄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가계대출 관리 강화와 금리인상으로 매수심리 및 거래활동 위축세가 지속되고, 그간 매물 부족 현상을 겪던 일부 지역도 매물이 소폭 증가하며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 전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된 지역은 동대문구, 도봉구, 양천구 3곳뿐이다. 나머지 22개 지역은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거나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국·수도권·지방 아파트값 상승폭도 전주보다 일제히 하락했다. 전국은 0.17%에서 0.14%로, 수도권은 0.18%에서 0.16%로, 지방은 0.16%에서 0.13%로 각각 폭이 줄었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폭은 9월 3주부터 8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됐다. 인천(0.25%→0.22%)과 경기(0.21%→0.17%)도 모두 상승폭이 줄었다. 공급과잉을 겪는 대구는 0.03% 하락하며 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집값이 가장 많이 올랐던 세종은 아파트값이 0.26% 급락하며 18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민간 통계에서는 올 들어 경기도에서 주간 기준 첫 하락 지역이 나왔다. KB부동산 주간KB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11월 29일 기준 동두천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28일 -0.19% 이후 11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는 서울·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올해 첫 하락이다.

KB부동산 관계자는 "동두천은 경기도 내에서도 집값이 저렴하고, 다른 곳들이 오를 때도 집값 변동폭이 크지 않던 곳"이라며 "하락폭이 크지 않아 집갑 하락의 전조로 예단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조정기 진입" vs "장기 추세 봐야"

최근 뚜렷한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를 놓고 정부와 민간 전문가들의 온도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시장의 객관적인 지표라든지 앞으로의 전망이 하방 압력이 굉장히 강하다"며 집값 조정론을 연일 부각시키고 있다.
반면,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세 둔화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강북구 등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에서 대출규제 등이 매수에 영향을 준 것 같다"며 "다만, 안정기라고 하기에는 서울에서 15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는 재건축 등으로 최고가 경신이 여전히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주간변동률이 시세와 향후 추이를 반영하긴 어렵다"며 "상승폭은 대출규제 등으로 일시적 수요가 억눌린 영향이고, 이후 상황에 따라 다시 상승세로 올라갈 수 있어 장기적인 추세를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김동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