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은행

"빅테크 금융 등장에 은행 ‘전업’ 의미 사라져"

이병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02 18:03

수정 2021.12.02 18:03

은행연합회 ‘금융 겸업’ 세미나
"금융사 지속적인 성장 위해
금융업에 비금융업 겸업 허용을"
"시중은행이 빅테크 금융의 등장을 계기로 금융업 전업주의에서 벗어나 겸업주의로 전환돼야한다."

이는 은행연합회가 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디지털 시대의 금융 겸업주의'를 주제로 개최된 세미나에서 나온 금융전문가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김광수 은행연합회 회장은 "금융업내에서는 엄격한 전업주의 원칙으로 종합자산관리에 한계가 있고 고객 맞춤형 원스톱 금융 서비스도 어렵다"며 "테크기업은 가능하지만 기존 전통 금융사는 생활밀착형 금융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렵다"고 밝혔다.

이날 첫 번째 강연을 한 중앙대학교 여은정 교수는 디지털 시대에 금융업의 전업주의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은행은 다른 금융사와 달리 거래계좌를 발행하고 유동성의 원천이 되며 통화정책의 전달 경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동성 원천을 뺀 다른 역할은 타 금융사들도 모두 할 수 있게 시대가 변했다.
특히 빅테크 금융이 등장하면서 전업주의가 유지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여 교수는 "네이버, 카카오가 플랫폼을 통해 기존 금융회사가 하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실상 유니버설 뱅킹을 구현하고 있다"며 "금융에서의 전업주의가 사실상 퇴색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현 신한금융 부사장과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도 금융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금융지주회사 계열사간 정보공유 확대, 금융업의 비금융업 겸업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부사장은 금융지주 내 계열사간 데이터 교류는 3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시너지를 창출한다고 밝혔다. 빠르게 변화고 개인화되는 고객들에게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신사업 진출에 엔진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또 데이터 개방을 통해 ESG 첨병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 부사장은 "계열사간 정보 공유를 기존 경영관리 목적에서 마케팅으로 확대하고 고객들에게 사후 거부권을 줘 고객의 정보 보호도 함께 고려하면 된다"고 밝혔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은 금융정책 변화를 주문했다.
정 소장은 "최근 몇 년간 인터넷전문은행, 마이데이터,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등은 기존 금융법제를 최소한으로 건드리면서 새로운 산업 육성을 위해 만들어졌다"며 "이제는 규제의 형평성, 금융환경의 변화 등으로 전향적인 정책 기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