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유니언타운" 검색결과는 4건 입니다.
-
[fn마켓워치] 코람코, 부동산펀드로 도시재생 앞장…‘유니언타운’ 오픈
코람코자산운용(이하 ‘코람코’)이 부동산펀드를 통해 노후 오피스빌딩을 매입해 청년 복합 공유공간으로 리모델링한 ‘유니언타운’이 5일 오픈했다.
앞서 코람코는 지난해 5월 ‘코람코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신탁 제80호’를 통해 지하철 2, 9호선 환승역인 당산역 초역세권에 위치한 동화빌딩을 약 160억 원에 매입했다. 이후 청년 및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주거·업무·리테일 등이 결합된 복합 공유공간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해왔다.
매입 전 동화빌딩은 입지와 교통면에서 높은 값어치가 있으나 심한 노후화로 인해 임차인 유치가 불안정한 저평가 빌딩이었다.
코람코는 동화빌딩의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하고 빌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유공간 기획사 유니언플레이스와 함께 청년 복합생활공간인 ‘유니언타운’을 기획했다.
유니언타운은 유니언플레이스의 복합생활공간 브랜드로서 주거(Live), 업무(Work), 숙박(Stay), 놀이(Play)가 결합된 복합 공유공간이다.
빌딩의 지하 및 저층부는 지역민들을 위한 피트니스센터, 영어 카페 등 리테일을 설치하고 중층부는 청년창업가를 위한 공유주방과 공유오피스, 상층부는 청년 주거안정화를 위한 쉐어하우스를 구성해 주거·업무·리테일 등 모든 기능이 건물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니언타운은 편리한 교통과 효율적 시설활용이 기반이 된 공유 플랫폼으로 대학생, 청년 사업가, 외국인 등의 수요가 기대된다. 또한 이들 수요층을 지역으로 유입시켜 상권 활성화를 통한 도시재생 기능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코람코는 유니언플레이스의 10년 장기 임차계약을 바탕으로 펀드를 운용하고 펀드설정일로부터 36개월간 매각차익 제외 연 6.5%의 수익을 투자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박형석 코람코자산운용 대표는 “당산동 유니언타운은 노후 빌딩 가치 극대화와 더불어 주변상권 활성화라는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을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낙후된 업무지구나 구도심 등에서 청년 중심 도시재생사업 등에 적극 참여해 투자와 지역경제 활성화가 공존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2019-04-05 09:07
-
네이처리퍼블릭 뉴욕에 4번째 매장 오픈
네이처리퍼블릭은 미국 뉴욕에 뉴욕 4번째 매장을 오픈했다고 27일 밝혔다. 뉴욕 퀸스의 최대규모 쇼핑센터인 퀸스센터몰에 한국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입점한 퀸즈센터점은 매장 면적이 165㎡다. 네이처리퍼블릭은 그동안 플러싱과 맨해튼의 코리아타운, 유니언스퀘어 등 뉴욕에만 3개 매장을 운영해 왔다. 이들 매장은 모두 유동인구가 많은 노른자위 상권으로 하루 방문객이 수 천명을 넘는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특히 이번에 오픈한 퀸스센터몰은 미국 4대 쇼핑몰 그룹인 마세리치(macerich)가 운영하는 쇼핑몰 중 가장 큰 규모이면서 동부 매장 중 독보적인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박신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2016-10-27 17:25
-
네이처리퍼블릭, 미국 뉴욕 4번째 매장 오픈
네이처리퍼블릭은 미국 뉴욕에 뉴욕 4번째 매장을 오픈했다고 27일 밝혔다.
뉴욕 퀸스의 최대규모 쇼핑센터인 퀸스센터몰에 한국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입점한 퀸즈센터점은 매장 면적이 165㎡다.
네이처리퍼블릭은 그동안 플러싱과 맨해튼의 코리아타운, 유니언스퀘어 등 뉴욕에만 3개 매장을 운영해 왔다.
이들 매장은 모두 유동인구가 많은 노른자위 상권으로 하루 방문객이 수 천명을 넘는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특히 이번에 오픈한 퀸스센터몰은 미국 4대 쇼핑몰 그룹인 마세리치(macerich)가 운영하는 쇼핑몰 중 가장 큰 규모이면서 동부 매장 중 독보적인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1973년에 오픈해 퀸스 지역을 대표하는 쇼핑몰로 자리잡은 이 곳은 메이시스와 제이시페니 백화점, 유명 글로벌 브랜드들과 레스토랑 등이 입점해 있어 다양한 연령대와 다국적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지난해 골드만삭스가 미국 전역 쇼핑몰들을 대상으로 매출과 방문객 수 등 8개 요인을 종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퀸스센터몰이 면적당 수익성이 높은 쇼핑몰 10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네이처리퍼블릭 관계자는 "퀸스센터점 오픈은 미국 4대 쇼핑몰 입점 등 현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경쟁을 한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미국 전용 제품 개발 등 현지화 전략으로 지속적 성장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padet80@fnnews.com 박신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2016-10-27 11:02
-
[fn시론] 중국의 역사적 한계/김동률 KDI 연구위원
미국에서 대도시간 가장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동수단은 항공편도, 자동차도, 암트랙으로 불리는 열차편도 아니다. 정답은 차이나타운에 가서 푹신한 전세버스에 몸을 맡기면 된다. 실제로 뉴욕에서 워싱턴에 오갈 때 가장 인기 있는 교통수단은 중국인 밀집지역을 오가는 이름하여 ‘차이나타운 고속버스’다. 로스앤젤레스, 애틀랜타, 시카고 등등 웬만한 도시는 물론이고 캐나다 주요 도시까지 연결돼 있어 편리하기 그지 없다. 경비 또한 다른 교통수단과는 비교가 안될 만큼 저렴하다. 차이나타운이 그만큼 미 전역에 폭넓게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된다. 아메리카 차이나타운, 구세대에게는 백설희가 부른 흘러간 노래 제목으로, 신세대에게는 기름진 중국음식을 먹을 수 있는 동네쯤으로 인식하기에는 지독하게도 슬프고 잔혹한 역사가 있다. 남북전쟁 전후 미국 경제발전의 절대적인 원동력은 철도였다. 그래서 이 시기를 철도의 시대라고 부른다. 철도 시대는 1862년 남북전쟁 중 유니언 퍼시픽과 센트럴 퍼시픽이 대륙 횡단철도 건설을 시도하면서 시작된다. 그러나 시에라 네바다 산맥과 로키산맥을 뚫는 것은 당시 토목기술로는 불가능에 가까웠다. 모든 것을 사람 손으로 하다 보니 인부로 들어오는 사람보다 죽어 실려 나가는 사람이 더 많았다. 서너 명의 인부 구하기가 빈대 서말 모으기보다 어렵던 시대, 그러나 이 같은 난공사를 가능케 한 것은 중국인들이었다. 몰락해 가는 왕조를 등지고 신대륙에 온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오직 육체노동, 쿠리로 불리는 수만 명의 중국인들이 폭발사고로, 아니면 백인 감독들의 채찍질에 죽어 나갔다. 그래서 철도 침목 하나에 한 명의 쿠리가 깔려 있다는 슬픈 말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더욱 우울한 사실은 정작 준공식 때에는 단 한 명의 쿠리도 초대받지 못했으며 오히려 전원 해고되었다는 것이다. 홍콩배우 성룡이 등장하는 ‘상하이 눈’ ‘상하이 나이츠’를 본 사람은 백인들의 학대에 고통스럽게 죽어가는 중국인들을 쉽게 떠올릴 수 있겠다. 공사가 끝난 뒤 잔류 중국인들의 불만이 심상치 않자 미국 연방정부가 보상하는 차원에서 최소한의 자치권을 부여하면서 내놓은 작품이 바로 오늘날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등지의 차이나타운이다. 그래서 차이나타운에는 중국인들의 슬픔과 분노가 녹아 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이 어떤 나라인가. 중국인은 예로부터 자신들만이 세상의 중심이자 유일한 문명국가로 자신들의 황제가 온 세상을 지배한다고 믿어왔다. 2000년 전 진나라가 대륙을 통일한 그날부터 중국은 주변국들과 대등하고 호혜적인 관계를 유지해 온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자발적인 복속과 굴종이 아니면 창칼을 앞세운 무력 정복을 통해 자신들의 발 밑에 꿇게 해 왔다. 이것이 중화주의의 요체다. 그러나 1842년 아편전쟁에 져 홍콩을 영국에 넘긴 순간부터 1945년 2차대전이 끝나 일본이 물러가는 그 순간까지 중국은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한 치욕의 역사를 겪게 된다. 특히 그동안 존재감조차 인정치 않았던 조그만 섬나라 일본에 무릎을 꿇은 사실에 절대다수의 중국인들은 부르르 떤다. 그런 중국인에게 상처 입은 지난 이백년은 자신들의 역사에서 지우고 싶은 시대에 다름 아니다. 얼마나 분했으면 “칼날의 빛을 애써 감추고 어둠 속에서 힘을 기르자”는 도광양회(韜光養晦)를 되새기며 절치부심해 왔을까. 그래서 올림픽을 위해 100년을 기다렸고 7년을 준비했다는 중국 정부의 말에 고개를 끄떡이게 되고 올림픽을 통해 자신들의 과거를 보상받으려는 중국인들의 태도는 일면 이해가 되기도 하다. 하지만 그들이 한발 더 나아가 ‘강한성당(强漢盛唐)’의 추억과 열망을 되새기는 대목에서, 니오차오 경기장에 울려 퍼지는 천지를 진동하는 북소리에서, 한나라와 당나라에 사라져간 고조선, 고구려, 백제를 생각하며 우리도 그들만큼 고통스러운 과거를 떠올리게 된다. 상처받은 자존심을 치유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남의 상처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과도한 중심국가론 주장은 유라시아 반도의 조그만 나라 한반도 이웃국민에게 또 다른 상처를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을 중국인들은 모르고 있다. 중국의 한계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파이낸셜뉴스
2008-09-07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