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
유럽증시, 트럼프 "미중 합의 가깝다" 트윗에 상승 마감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12일(현지시간)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중 무역 합의가 매우 가깝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장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이날 영국 FTSE 100지수는 전날보다 57.22포인트(0.79%) 상승한 7273.47에 거래를 마쳤다. 프랑스 CAC 40지수는 23.38포인트(0.40%) 오른 5884.26메 장을 닫았다. 독일 DAX지수는 74.90포인트(0.57%) 뛴 1만3221.64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트위터에서 "중국과의 빅딜(BIG DEAL)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 그들은 이를 원하고 우리도 그렇다!"고 밝혔다. 미국은 오는 15일 1560억 달러(약 185조 4800억 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정돼 있다. 일부 외신들은 미국이 15일 관세 부과 연기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12일 크리스틴 라가르드 신임 총재 취임 이후 처음으로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정책 금리를 현행으로 동결하고 통화 정책 역시 기존 기조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전날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또 내년에도 현재의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3 02:39:52
-
트럼프 "中과 '빅 딜' 매우 가까워"...무역 합의 임박 주장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중국과의 무역 협상 합의가 매우 가깝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서 "중국과의 빅딜(BIG DEAL)에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 그들은 이를 원하고 우리도 그렇다!"고 밝혔다. 오는 15일은 미국이 1560억 달러(약 185조 4800억 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정한 날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앞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단이 오는 15일 미국의 새로운 대중 관세 부과를 미루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미중은 지난 10월 고위급 협상을 진행해 무역 갈등을 완화할 제한적 1단계 합의를 도출했다. 미국은 10월 추가로 시행 예정이던 대중 관세 인상을 보류했고, 중국은 대규모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약속했다. 하지만 미국은 이미 부과 중인 대중 관세는 유지했고, 12월 15일로 예정된 156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도 철회하지 않았다. 중국의 기술 이전 강요와 자국 기업 보조금 문제 등에도 확실한 개선이 없었다. 미중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서명할 합의문을 마련하기 위해 막바지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최종 합의가 쉽게 성사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측 협상 관계자들은 중국과의 합의가 가깝다면서도 협상이 결렬될 경우 여전히 대중 추가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3 00:21:11
-
美환율보고서 이르면 다음주… 환율조작국서 中 뺄까
미국 재무부가 두 달간 미뤘던 환율보고서 발표를 이르면 다음 주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이 예고한 중국산 수입품 추가 관세 부과일이 오는 15일인데다, 시기를 놓치면 올해마저 넘어가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보고서를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1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당초 10월15일 하반기 환율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미·중 무역분쟁이 기대와 달리,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두 달여가 지난 지금까지 연기됐다. 앞서 미국은 무역분쟁이 한창이던 지난 8월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11년만에 처음으로 7위안 밑으로 떨어지자 "중국이 의도적으로 위안화 하락을 방치하고 있다"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은 1994년 클린턴 행정부 이후 25년 만이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해당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조달 시장 진입을 금지하고, 환율조작국에 투자한 기업들에도 제재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환율을 무역전쟁 도구로 쓴 적이 없다"것이 요지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구매 중단에 이어 추가 보복 가능성도 거론했다. 당시 외신들은 무역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라고 보도했다. 이후 무역협상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중국의 환율조작국 해제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중국 역시 '환율조작국 해제'를 무역협상 테이블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무역협상을 둘러싼 역학관계가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최근엔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비관론과 낙관론이 수일을 주기로 반복 교차하면서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도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양국 협상이 돌파구를 찾으면 중국 입장에선 오는 15일 중국산 제품 추가 관세와 환율조작국 해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게 되고 미국도 이에 상응한 대가를 얻게 된다. 대신 반대의 경우엔 서로 상당한 피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미·중 입장차가 쉽게 좁혀지지 않은 만큼 환율조작국은 유지하되, 추가 관세는 보류하고 협상을 이어가지 않겠느냐는 관측 역시 있다. WSJ과 블룸버그는 이날 협상 관계자들을 인용, '추가 관세 연기'에 무게를 실었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핵심은 무역분쟁"이라며 "중국은 무역합의에 어떤 식이든 포함을 요구할 것이고 미국은 협상의 지렛대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15일보다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12 17:56:15
-
경기 하방압력 커진 中, 내년 경제정책 ‘안정적 성장’ 방점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중국의 내년 경제정책이 안정적 경제성장과 구조개혁의 균형점을 찾는 데 방점을 둘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내년도 경제정책의 큰 방향과 구체적 실행목표를 확정하는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지난 10일 개최돼 12일 막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지도부가 이번 회의를 통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 따른 경기침체를 방어하기 위한 조치 마련에 공을 쏟았다. 중앙경제공작회의에 앞서 중국 지도부는 감세와 인프라시설 투자 확대를 비롯해 완화적 통화정책 등 각종 대응책을 시사한 바 있다.■경기부양과 구조개혁 사이 갈등중국 지도부는 미국과 무역전쟁과 내수경기 침체라는 양대 리스크에 둘러싸여 내년도 경제운용 기조 마련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을 통한 경기부양을 시도할 경우 단기적 성장도모를 꾀할 수 있다. 반면 중국 경제 리스크의 핵심인 부채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경기부양과 구조조정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해야 하는 형국이다. 중앙경제공작회의 전후로 중국 주요 기관과 고위급 인사들이 발표한 내년도 경제운용 정책들을 들여다보면 중국 지도부의 고심을 읽을 수 있다.당장 인프라시설 투자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경기부양용 전용카드로 동원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중국공산당의 중추 의사결정기구인 정치국은 지난 6일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 주재로 내년 경제운용 방향에 대한 회의를 하고 나서 낸 보도문에서 '인프라시설 건설을 한층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중국 정부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와 중국이 경기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초 인프라 투자용 특수목적채권 발행 규모를 전년보다 8000억위안 이상 증가한 2조1500억위안으로 잡고 지방정부에 투자를 적극적으로 독려했다. 그러나 경기부양 효과를 거두지 못해 내년에도 경기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추가적인 인프라 투자책을 내놓을 전망이다. 이와 관련,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많은 시장 전문가들이 중국이 내년 특수목적 채권을 올해보다 8000억위안가량 더 많은 3조위안 이상으로 늘릴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고 전했다.법인세 인하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의 제조업체들이 미국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법인세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거론된다. 베이징의 SEEC연구소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는 중국 제조업체들이 외국의 기업들과 경쟁하는 데 도움을 주고 미·중 무역전쟁의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법인세를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현행 25%인 법인세를 20%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낮추고, 증치세(부가가치세)율도 현재보다 3%포인트 낮은 10% 수준으로 인하하는 방안이 제시됐다.통화정책은 환경변화에 대응해 치밀한 완급조절을 거칠 전망이다. 이강 인민은행장은 지난 1일 당 이론지 치우스에 기고한 '화폐가치를 굳건히 지키는 가운데 온건한 화폐정책을 실시한다'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이미 완화적 통화정책을 펴고 있지만 완화 강도를 지나치게 높이지는 않겠다는 큰 원칙을 제시했다. 경기둔화에 대응해 통화완화를 통한 유동성 공급을 할 수 있으나 감세와 인프라 투자 등 재정정책과 조합을 통해 대응하겠다는 뜻을 보였다. 안정적 물가안정 대책도 주목된다. 올해 돼지고기 가격 폭등으로 중국의 소비자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내년도 물가목표치를 설정하기에 앞서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이 검토될 전망이다.■성장률 6% 사수 놓고 고심최대 이슈는 연간 경제성장률 목표치 설정이다. 정치국 회의에서 큰 틀이 잡힌 2020년 경제운용 방침은 조만간 열릴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확정되고,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정례회의에서 연간 경제성장률 목표치와 주요 경제정책이 공개된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3·4분기 성장률은 시장의 예상에 미치지 못한 6.0%로, 관련 통계가 있는 1992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낮았다. 내년 성장률 역시 5%대 후반으로 내려올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중국 내에선 정부가 6%대 성장률 사수를 위한 강력한 방어선을 쳐야 한다는 주장과 5%대 후반을 현실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중국의 성장저하는 체제안정의 최대 위협요인이다. 이에 6% 선에서 안정적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강경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실제로 중국 사회과학원은 중국 경제성장률을 6%로 예측했는데 이는 중국 안팎 주요 기관들의 예상보다 높다. 반면 6%대 성장을 떠받치기 위해 무리한 부양정책을 동원할 경우 중국 경제를 더욱 위태롭게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jjack3@fnnews.com
2019-12-12 17:44:05
-
中상무부 "미국산 대두·돈육 등 추가관세 면제 작업 진행 중"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오는 15일 미국의 대(對) 중국 관세부과를 앞두고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 상무부는 일부 미국산 농축산물을 과세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확인했다. 12일 중국 중앙(CC)TV에 따르면 가오펑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현재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관련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미국산) 대두, 돼지고기 등 제품을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는 작업을 순서대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 관영 언론들은 지난 6일 "관세세칙위원회가 관련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9월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오 대변인은 미중 무역협상과 연관해서는 "양국 협상단이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7:35:34
-
11월 중국발 미국행 컨테이너 물동량 13%↓ ..."무역전쟁 여파"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 11월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한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은 76만2405TEU로 전년 동월 대비 13.3% 크게 줄었다고 닛케이 신문이 12일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 조사기관 데카르트 데이터마인이 이날 발표한 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며 감소폭이 10월 18.1%보다 축소했지만 10개월 연속 전년 실적으로 밑돌았다고 밝혔다.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컨테이너 운송 수요가 둔화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품목별로는 '중국·홍콩발' 화물이 20%를 차지하는 가구류가 25.8% 격감했으며 기계류도 18.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는 대조적으로 미중 통상마찰과 중국 내 인건비 상승을 배경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미국을 가는 컨테이너 물동량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베트남발 컨테이너 물동량은 10만2436TEU로 51.9% 급증했다. 싱가포르발 물동량 역시 6만5247TEU로 19.2% 대폭 늘어났다. 미국 정부는 15일 4번째 대중 추가관세 전면 발동을 앞두고 있다. 아시아 쪽 해운사들은 연말 세일에 맞추는 컨테이너 수송이 이미 일단락했다고 전해 해상수송에서 단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중국은 2020년 1월 하순 최대 명절인 춘절(설)을 맞는데 해운사들은 그전에 대량 수송이 이뤄질 것으로 점치고 있다. 11월 아시아 전체에서 미국을 향한 컨테이너 물동량은 작년 같은 달보다 7.5% 감소한 131만7451TEU로 집계됐다. 해관총서는 8일 11월 대미 수출액이 지난해 동월에 비해 23% 줄어든 355억 달러로 지난 2월 29% 감소한 이래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대중 제재관세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한다. 대미 수입액은 3% 늘어난 109억 달러로 1년3개월 만에 증대로 전환했다. 미중이 10월 무역협상에서 부분 합의를 모색하기로 의견을 모음에 따라 중국은 성의 표시로서 미국산 대두와 돼지고기를 대량으로 구매했다. 11월 대미 흑자액은 246억 달러로 사상최대인 전년 동월에서 31% 축소했지만 9개월째 200억 달러대를 이어갔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7:24:28
-
중국 증시 하락 마감…상하이지수 0.3%↓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증시가 12일 하락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0.3% 내린 2915.7로 장을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장 대비 0.17% 하락한 9836.23으로,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차이넥스트는 전장 대비 0.16% 내린 1720.99로 거래를 마쳤다. 전장 대비 0.07% 오른 2926.34로 출발한 상하이지수는 오전장에서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보였고, 오후장에서는 등락을 반복하다가 하락 마감했다. 이는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예정 시점인 12월 15일을 앞두고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이 고조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날 시장에서는 반도체, 관광, 신소재 등이 강세를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6:29:14
-
줄줄 새는 채권형 펀드…4개월간 3.2조 유출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채권형 펀드 자금이 13일 연속 빠져나가며 약 2조원이 순유출됐다. 금리가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지난 8월보다 상향 안정화를 지속하고 있어 채권형 펀드 수익률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종료된 가운데 향후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을 살피기 위해선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여부에 관심을 기울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1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상장지수펀드(ETF)를 제외한 채권형 펀드는 지난달 22일부터 지난 10일까지 13일 연속 순유출됐다. 이 기간 동안 2조697억원이 순환매됐다. 특히 국내 채권형 펀드에서 1조8105억원이 환매되며 전체 채권형 펀드 순유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채권형 펀드에서는 지난달 11일 이후 한 달 만에 2조2656억원이 빠져나갔다. 4개월만에는 약 3조2275억원이 순환매됐다. 이같은 자금 유출은 채권 금리 상승에 따른 수익률 저하로 풀이된다. 채권 금리 하락은 가격 상승을, 금리 상승은 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 11일 1.381%로 마감했다.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지난 8월19일(1.093%) 대비 4개월여 만에 0.288%포인트 올랐다. 내년 주요국 기준금리가 인상이나 인하 없이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은 11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또 내년에도 현재의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했다. 올해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연준의 금리 인하 행보는 마무리됐다. 연준은 전날부터 이틀간 열린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을 1.50~1.75%로 동결했다. 이날 결정은 연준 위원 10명 만장일치로 내려졌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이날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파월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금리를 올리기 전에 지속적이고 상당한 물가상승률을 보고 싶다는게 나의 견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글로벌과 국내 채권형 펀드 투자 여부와 관련해 당분간 미중 무역협상 진척 여부를 꼼꼼이 살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이번 미중 무역 1단계 합의 여부에 따라 내년 초까지의 채권형 펀드의 수익률 전망이 달라지게 된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오는 15일 추가 관세 부과일이 오기 전 1단계 합의를 도출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미중 양국은 부분합의인 1단계 합의를 놓고 논의하고 있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단계 합의로 부과된 관세가 철회되면 금리는 상승하게 된다"며 "이 경우 내년 1분기까지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상단은 2.2%까지 높아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반대로 아무런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1.6%를 하회하는 금리 하락세가 예상된다"며 "중간 단계로 관세 부과가 연기될 경우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금리 하향 안정세가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장대환 삼성자산운용 글로벌채권운용팀 매니저는 "이번 연준의 금리 동결과 내년 금리 전망 메시지에 따라 시장에 변동성을 주겠으나 내년에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진 않을 것"이라며 "국내 금리도 경기 둔화, 국내총생산(GDP) 등이 부진해 동결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이를 일으키는 미중무역분쟁이 핵심"이라며 "올해 채권 수익률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내년엔 채권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겠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이 있을 11월까지 변동성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주식시장이 부진한 가운데 채권형 펀드 순환매 랠리까지 나타나며 대기성 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로 자금이 쏠리는 형국이다. MMF 설정액은 지난 6일 기준으로 130조4191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8월9일(131조1231억원) 이후 1년4개월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4:22:56
-
美환율보고서 이르면 다음주...中환율조작국 해제할까
[파이낸셜뉴스] 미국 재무부가 두 달간 미뤘던 환율보고서 발표를 이르면 다음 주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이 예고한 중국산 수입품 추가 관세 부과일이 오는 15일인데다, 시기를 놓치면 올해마저 넘어가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보고서를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올해 하반기 환율보고서의 관전 포인트는 현재까지 미·중 양국의 물밑 무협협상이 중국의 환율조작국 해제 여부에 미친 영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을 풀게 되면 미중 무역갈등은 실마리를 찾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12일 미국 블룸버그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당초 10월15일 하반기 환율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미·중 무역분쟁이 기대와 달리,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두 달여가 지난 지금까지 연기됐다. 앞서 미국은 무역분쟁이 한창이던 지난 8월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11년만에 처음으로 7위안 밑으로 떨어지자, “중국이 의도적으로 위안화 하락을 방치하고 있다”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것은 1994년 클린턴 행정부 이후 25년 만이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해당 국가 기업의 미국 내 조달 시장 진입을 금지하고, 환율조작국에 투자한 기업들에도 제재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환율을 무역전쟁 도구로 쓴 적이 없다”것이 요지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구매 중단에 이어 추가 보복 가능성도 거론했다. 당시 외신들은 무역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라고 보도했다.
이후 무역협상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중국의 환율조작국 해제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중국 역시 ‘환율조작국 해제’를 무역협상 테이블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는 “무역협상을 둘러싼 역학관계가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최근엔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비관론과 낙관론이 수일을 주기로 반복 교차하면서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도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양국 협상이 돌파구를 찾으면 중국 입장에선 오는 15일 중국산 제품 추가 관세와 환율조작국 해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게 되고 미국도 이에 상응한 대가를 얻게 된다. 대신 반대의 경우엔 서로 상당한 피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미·중 입장차가 쉽게 좁혀지지 않은 만큼 환율조작국은 유지하되, 추가 관세는 보류하고 협상을 이어가지 않겠느냐는 관측 역시 있다. WSJ과 블룸버그는 이날 협상 관계자들을 인용, ‘추가 관세 연기’에 무게를 실었다. 이와 관련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핵심은 무역분쟁”이라며 “중국은 무역합의에 어떤 식이든 포함을 요구할 것이고 미국은 협상의 지렛대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15일보다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12 14:21:50
-
美연준 저금리 유지 韓 증시 호재될까
[서울=뉴시스] 김동현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행 1.50~1.7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이후 국내 증시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 FOMC 통화정책 결정문과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비춰볼 때 내년도에도 완화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시그널을 포착할 수 있어 미국 증시와 국내 증시가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 연준은 7월 말 이후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12월에는 양호한 경제 상황과 노동시장 여건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내년에도 현재의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하며 금리의 추가 인하 가능성에 대해 2% 이상의 물가상승률 등을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잣대로 내세웠다. 이에 대해 국내외 증권가에서는 미중 무역분쟁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으로 인해 연준이 결국 내년초 또는 상반기 안에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들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상을 다수 내놨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하는 각국의 금리 인하로 이어져 '제 3차 완화시대'가 열릴 가능성도 높다. 제 3차 완화시대에는 소비와 투자 확대 현상이 나타나 증시 상승세가 본격화될 수 있다. 이 같은 기대감을 반영하듯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등 주요 3대 지수가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미국의 저금리 정책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가 확산되자 도쿄증시에서 닛케이225지수도 상승세로 출발했으며 대만, 중국, 홍콩 증시도 모두 상승세로 전환했다. 미국의 금리 동결기조가 이어질 경우 소비와 투자 확대 현상이 나타나 증시 상승세를 이끌 수 있다는 기대감이 벌써부터 주요국 증시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코스피 지수도 이날 오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에 힘입어 전 거래일(2105.62)보다 14.51포인트(0.69%) 오른 2120.13에 출발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629.13)보다 3.16포인트(0.50%) 오른 632.29에 출발했다. 미 연준의 금리 동결 정책에 따라 미국 달러자산 투자 환차익을 노린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회수 걱정을 할 필요 없어졌다는 점은 국내 증시에 향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회수에 대한 불안감은 사라지고 국내 증시에 자금이 유입 돼 코스피 상승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데 벌써부터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날 오전 10시50분 기준으로 1392억원의 주식을 사들이며 순매수 행보를 보이고 있는 중이다. 21일 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보를 보인 이후 지난 6일과 9일 순매수, 10일과 11일 순매도 행보를 보였지만 금리 동결로 다시금 국내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긴 것으로 해석된다. 변수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뉴욕 증시 악화다. 이는 미 연준의 금리 동결 또는 인하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상쇄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오는 15일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한 관세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뉴욕 증시 악화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국내 증시가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오는 15일 대중 관세를 부과할 경우 2020년 1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속적이지는 않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안소은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는 15일 미중 추가 관세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미중이 주요 문제에 대해 여전히 이견이 있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미국 경제전망은 추가로 하향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이슈가 유예되고 불확실성이 완화되면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것"이라며 "그것을 조건부로 해서 내년 하반기의 점도표와 금리 정책은 동결 유지일지 하락 전환일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의견을 내놨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3:31:22
-
미군, 희토류 처리시설 건설에 투자…中의존도 줄이기 일환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희토류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미군이 희토류 처리시설 건설에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정부 문서를 인용해 “지난달 미군 탄약생산 담당부처는 희토류 업체를 상대로 중희토(heavy rare earths) 생산시설 건설과 관련해 (입찰) 제안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했다”고 전했다. 중희토는 테르븀·디스프로슘·홀뮴·에르븀·톨륨·이테르븀·루테튬 등 광물질을 의미하며 국방의 필수적인 요소로 알려진다. 제안서 제출마감시한은 오는 16일이며, 캐나다의 '유코어(Ucore)‘, 텍사스주 광물자원회사(TMRC), 호주 라이너스(Lynas) 등 희토류 업체와 미국 화학기업 '블루라인' 등이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낙찰된 기업에 대해 미군은 시설 건설 비용의 3분의 2를 지원하고, 최소 1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국이 희토류를 대미 협상 카드로 활용할 조짐을 보이자 미국은 희토류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호주 등과 함께 희토류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 등이 포함됐다. 미군이 희토류 생산에 상업적인 지원을 하기로 한 것은 1942년 ‘맨해튼 프로젝트(2차 세계대전 중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이후 77년만에 처음으로 주목받고 있다. 희토류는 배터리, 군사장비 등 각종 전자제품 제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광물질 17가지를 가리킨다. 중국 희토류 생산량은 전 세계 생산량의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희토류 최대 수요국은 미국이다. 미국은 희토류 수입의 8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5월 희토류 대미 무기화를 공식 시사했다. 5월28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만약 누군가 우리가 수출하는 희토류로 제품을 만든 뒤 이를 이용해 중국의 발전을 저지하고 압박하려 한다면 중국 인민 모두 기분이 나쁠 것”이라고 밝혔다. 8월 중국희토류협회는 무역갈등을 고조하는 미국을 비난하며 희토류를 이용한 정부의 반격 조치를 강력히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협회는 "희토류는 중요한 전략적 자원으로, 수년간의 노력을 통해 우리는 이 분야에서 우위를 확보했다"면서 "우리는 자신의 책임을 다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 대응 및 반격 조치에 대한 국가의 조치를 강력히 지지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0:21:25
-
증권업계 "美 연준 내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서울=뉴시스] 김동현 기자 = 증권업계는 12일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내년도에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는 의견을 다수 내놨다. 미 연준은 1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행 1.50~1.75%인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내년 기준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국내 증권가는 미중 무역분쟁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으로 인해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들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상을 다수 내놨다. 기준금리 결정의 잣대로 삼은 물가상승률도 금리 인하를 부추길 수 있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임혜윤 KTB 연구원은 "미 연준은 내년 상반기 6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하반기에 한 차례 추가 인하게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선제적 인하 근거로 작용했던 무역분쟁 불확실성, 제조업 및 투자부담 가중 등이 재차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이와함께 "새로운 정책 목표로 채택이 유력한 평균 인플레이션 타겟팅(AIT) 하에서는 2%를 넘는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므로 현 물가도 금리 인하 허들로 보기 어렵고 과거 대비 정책 여력이 부족해 완화 편향이 강화될 수 있어서다"라고 부연 설명했다. 박성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당분간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이어지겠지만 다음 스템은 인상으로의 전환보다는 추가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며 "미중 무역갈등, 대선 등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속 민간 투자 수요가 둔화되는 국면에 있는 가운데 실질 GDP 증가율이 연준 전망치 2.0%를 하회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내년 성장률 전망은 여전히 시장보다 낙관적이며 실업률 전 국간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근원 물가 전망치는 소폭 하향 또는 유지했다"며 "미중 무역협상의 근본적 합의는 쉽지 않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인하 압박 재개 가능성 등으로 내년 금리는 인상보다 인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는 15일 미국이 중국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할 경우 불확실성이 커져 미 연준이 추가 금리를 서두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오는 15일 대중 관세를 부과할 경우 2020년 1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속적이지는 않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안소은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오는 15일 미중 추가 관세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미중이 주요 문제에 대해 여전히 이견이 있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미국 경제전망은 추가로 하향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10:04:32
-
한은 부총재 "美금리동결, 예상 부합…불확실성도 다소 완화"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가 12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동결 결정을 내린 것과 관련, "예상에 대체로 부합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다소 '도비쉬(비둘기적·통화완화 선호)'하게 받아들여졌다"고 평가했다. 미·중 무역분쟁 등 불확실성 요인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시나리오로는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는게 사실"이라면서도 "주의 깊게 살펴보며 그 영향을 점검해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부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상황점검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기자 간담회에서 앞으로 정책금리가 인상되기 전에는 지속적이고 의미있는 인플레이션 상승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 점이 시장에서 도비쉬하게 받아들여져 시장금리가 하락하고 주가는 상승하고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앞서 미 연준은 1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을 1.50~1.75%로 동결했다. 이날 결정은 연준 위원 10명 만장일치로 내려졌다. 연준은 올해 지난 7월과 9월, 10월 세차례 금리를 내린 바 있다. 윤 부총재는 "국내 금융시장에도 미국 시장에서의 반응과 비슷한 반응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15일 예정된 대중국 관세 유예 조치가 어떻게 전개될지,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 결정, 영국 총선 등 불확실성에 대한 시장 상황을 경계감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중 무역분쟁 불확실성 등은 다소 완화된 것으로 봤다. 연준의 정책결정문에도 '불확실성(uncertainty)'이라는 표현이 삭제됐다. 그는 "기본적인 시나리오로는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는게 사실"이라며 "불확실성에 대해 주의깊게 살펴보면서 그 영향을 점검해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선 "연준의 통화정책을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보지만 그 자체만으로 운영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이 거시경제와 금융안정 상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09:30:13
-
유럽 증시, 상승 마감...연준 금리 결정·미중 무역 협상 주시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11일(현지시간)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 금리 결정과 미중 무역 협상 추이를 지켜보며 일제히 소폭 상승했다. 이날 영국 FTSE 100지수는 전날보다 2.49포인트(0.03%) 오른 7216.25에 마감했다. 프랑스 CAC 40지수는 12.85포인트(0.22%) 상승한 5860.88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DAX지수는 76.02포인트(0.58%) 뛴 1만3146.74를 기록했다. 미 연준은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금리 결정은 이날 추후 발표될 예정이다. 투자자들은 오는 15일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여부 역시 주시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과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15일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단이 오는 15일 미국의 새로운 대중 관세 부과를 미루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2 02:24:09
-
美농산물 구매 규모·방법 최대 쟁점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미중 1단계 무역협상 시점이 임박한 가운데 3대 쟁점을 놓고 막판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미중 양국은 15일로 예고된 추가관세 부과 여부를 비롯해 기존 관세의 취소 규모 및 중국과 미국간 거래 방식 등을 최대 쟁점으로 놓고 타결을 시도중이다.
우선,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규모와 방법을 놓고 미중 양국이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단계 협상의 최대 쟁점으로 '미국산 농산물'과 '관세' 사이의 교환 방식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측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규모에 협상력을 쏟고 있다. 내년 재선에 나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촌지역의 표심을 얻기 위해 중국의 농산물 구매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규모와 조건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간 400억~500억 달러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계획을 공개적으로 약속할 것을 중국측에 요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중국이 구매한 미국산 농산물은 86억 달러 규모였다. 나아가 분기별로 구매실적을 점검하겠다는 요구도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중국의 이행사항을 문서화하고 분기별로 점검하려는 것은 중국이 기존에 약속을 자주 어겼기 때문이다. 반면, 이같은 미국의 요구조건에 대해 중국은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어긋난다며 맞서고 있다. 규모 역시 미국이 기존 관세를 취소 또는 인하하는 수준에 따라 농산물 수입량을 조정하겠다는 게 중국측 입장이다.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대가로 기존 관세를 처리하는 방법을 놓고서도 양측간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협상에 정통한 양국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은 추가 관세 유예뿐만 아니라 기존 관세 취소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은 기존 관세의 관세율만 인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기존관세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선 양측이 어느 정도 타협점을 찾은 분위기다. 중국은 기존에 부과된 관세의 관세율을 절반으로 낮춰주길 원하고 있다. 미국도 기존 관세 취소는 힘든 대신 관세율 인하는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미중간 최종 논의결과가 1단계 무역협상의 '데드라인'인 15일을 넘어설 경우 벌어질 상황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미국은 15일부터 약 16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들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에 15일이 미중 1단계 협상 타결의 마지노선이라는 관측이 대세를 이뤘다.
그러나 1단계 협상에 대해 15일로 데드라인을 못박지 않고 연장 협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WSJ과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오는 15일로 예정된 대중 추가관세 부과를 미루는 방안을 계획중이라고 보도했다.
1단계 무역협상 타결을 기대하는 미중 양국이 현재 입장차를 고려해 추가 협상을 이어갈 것이란 의미다. 이를 위해 15일로 예정됐던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 시점도 미루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2019-12-11 17:16:26
-
브라질 "트럼프 고맙다!"..美 제치고 세계 1위 콩 생산국
브라질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콩(대두) 생산국이 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전쟁과 미국의 악천후가 사상처음으로 브라질이 미국을 누르고 세계 1위 콩 생산국 자리로 올라가는 디딤돌을 놔 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0일(현지시간) 브라질 농업공사(CONAB)를 인용해 브라질의 내년 초 햇콩 수확량이 1억2110만t을 기록해 올 가을 966만톤을 수확하는데 그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콩 생산국이 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보도했다. 브라질의 콩 수확량은 미국의 콩 수확량에 비해 25% 많은 수준이다. CONAB에 따르면 올 봄 브라질 농민들은 3680만㏊의 면적에 콩을 심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100만㏊씩 경작면적이 늘었다. 남반구의 봄은 대개 10월 중순에서 11월 사이다. 미 대두수출협회(USSEC)의 짐 서터 회장은 "미국이 브라질보다 수확량이 적어지는 것은 사상 처음"이라고 한탄했다. 미국의 대두 경작 농민들은 미국과 중국간 무역전쟁과 콩 파종시기의 홍수로 이중의 타격을 입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미국산 콩에 25% 관세를 물리고 있고, 이는 미중 무역협상이 진행중인 지금도 철회되지 않고 있다. 또 미 농무부에 따르면 미 농민들은 올 봄 당초 콩 경작규모를 전년비 5% 줄어든 8460만에이커로 잡았지만 파종 시기 폭우와 이로 인한 파종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경작규모는 7670만에이커로 쪼그라들었다. 농업컨설팅 업체 MD 상품의 페드로 데즈네카 파트너는 "시장이 미 농민들에게 콩을 적게 심으라는 신호를 보내 농민들이 이를 따랐고, 그리고 나서는 모든 걸 적게 심으라는 자연의 메시지가 왔다"고 말했다. 브라질 농업장관은 브라질의 콩 생산 도약이 미국 덕이라는 점을 감추지 않았다. 테레자 크리스티나 다 코스타 브라질 농업장관은 "타결되지 않은 미중 무역협정이 브라질에 일시적이지만 매우 유익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콩 수입국 중국이 미국산 콩에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콩으로 수요를 돌리면서 브라질 콩 가격은 뛰고 미국 콩 가격은 떨어지고 있다. 이번주 들어 브라질 최대 콩 선적항인 파라나구아 항에서 콩 가격은 t당 363.50달러로 미 걸프만에서 거래된 콩 가격인 t당 348달러보다 높았다. 시카고 선물시장에서는 이보다 좀 더 높은 값에 거래됐지만 지난해에 비해 떨어진 것은 다르지 않다. 미 콩 선물 가격은 부셸당 8.99달러로 지난해 중반 중국의 미국산 대두 25% 관세가 매겨지기 전에 비해 1달러 가까이 폭락했다.여기에 브라질 헤알 약세와 달러 강세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헤알은 올들어 달러에 대해 7% 평가절하돼 브라질 수출 콩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헤알로 환산된 수출대금은 높이는 이중 효과를 내고 있다. USSEC의 서터 회장은 "강달러가 전세계 농민들에게 가능한 경작을 확대하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송경재 기자
2019-12-11 17:16:25
-
올해 마지막 연준 통화정책 회의…기준금리 '동결'에 무게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10일(현지시간) CNN, CNBC 등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연준은 10~11일 회의를 진행하고 한국시간으로 12일 오전 3시 결과를 발표한다. 연준은 올해 0.25%포인트씩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50%~1.75%로 낮췄다. 지난 7월 10년7개월 만에 금리를 내리면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경기둔화에 미리 대비하는 '보험성 인하'라고 강조했다. CNN은 미국 경기가 11년째 확장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파월 의장이 부진한 세계 성장과 무역 불확실성을 2가지 위협 요인으로 지목해왔다고 전했다. 이는 미국이 경기침체를 피하기 위해 3차례나 금리를 내린 이유이기도 하다. 그랜트 손턴의 다이앤 스웡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은 트위터 속도 만큼이나 빠르게 무역 정책이 변할 수 있다는 걸 배웠다. 그건 올해 연준이 3차례 금리를 내린 주요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최근 미국 경제는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조업 관련 지표가 일부 부진하지만 소비자 지출, 고용 성장은 11월 더욱 강세를 보였다고 CNN은 전했다. 미국의 실업률은 3% 중반으로 반세기 만에 최저치에 머물고 있다. 파월 의장은 미국 경제를 "스타 경제(star performer)"라고 평가하면서 경기 확장이 지속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의 이런 발언들은 정책 입안자들이 미국 경제를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이라는 메시지를 굳히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골드만삭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잰 하치우스는 투자자 노트에서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든 정책(금리)이 변할 가능성은 적다고 본다. 이달 회의뿐 아니라 내년에도 금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CNBC에 따르면 성명은 전과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고 예상된다. CNBC는 연준이 중립금리 수준에 있는 기준금리를 바꾸려고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신호를 보내면서 FOMC 회의를 마칠 것으로 전망했다. 중립금리란 고물가인 인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내리는 디플레이션의 압력 없이 잠재성장률을 달성하는 이상적인 수준의 금리를 뜻한다. 아울러 파월 의장은 통상 단기 대출시장이 압박을 받는 연말에 오버나이트(하루짜리) 초단기 대출 금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하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 9월 연준은 금융위기 이후 11년 만에 환매조건부채권(레포·Repo) 매입에 나서 오버나이트 레포 금리 급등을 막았다. 레포는 일정 기간 내 되파는 조건으로 매입하는 채권이다. 연준은 금리 결정과 더불어 내년 경제성장률 예상치 등 경제 전망도 발표한다. JP모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페롤리는 연준이 불확실성이 남아있다는 말을 반복하리라고 예상했다. 파월 의장은 무역 정책 불확실성이 경제 성장의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밝혀왔다. 현재로서는 미국이 예고한 대로 15일 1560억달러 규모 중국산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할지가 관건이다. 미중 양국은 부분합의인 1단계 합의를 놓고 논의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16:51:34
-
미중 무역협상 3대 쟁점 놓고 막판 기싸움
【베이징=조창원 특파원】미중 1단계 무역협상 시점이 임박한 가운데 3대 쟁점을 놓고 막판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미중 양국은 15일로 예고된 추가관세 부과 여부를 비롯해 기존 관세의 취소 규모 및 중국과 미국간 거래 방식 등을 최대 쟁점으로 놓고 타결을 시도중이다.
우선,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규모와 방법을 놓고 미중 양국이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1단계 협상의 최대 쟁점으로 '미국산 농산물'과 '관세' 사이의 교환 방식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측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규모에 협상력을 쏟고 있다. 내년 재선에 나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촌지역의 표심을 얻기 위해 중국의 농산물 구매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규모와 조건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간 400억~500억 달러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계획을 공개적으로 약속할 것을 중국측에 요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중국이 구매한 미국산 농산물은 86억 달러 규모였다. 나아가 분기별로 구매실적을 점검하겠다는 요구도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중국의 이행사항을 문서화하고 분기별로 점검하려는 것은 중국이 기존에 약속을 자주 어겼기 때문이다. 반면, 이같은 미국의 요구조건에 대해 중국은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어긋난다며 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규모 역시 미국이 기존 관세를 취소 또는 인하하는 수준에 따라 농산물 수입량을 조정하겠다는 게 중국측 입장이다.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대가로 기존 관세를 처리하는 방법을 놓고서도 양측간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협상에 정통한 양국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은 추가 관세 유예뿐만 아니라 기존 관세 취소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은 기존 관세의 관세율만 인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기존관세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선 양측이 어느 정도 타협점을 찾은 분위기다. 중국은 기존에 부과된 관세의 관세율을 절반으로 낮춰주길 원하고 있다. 미국도 기존 관세 취소는 힘든 대신 관세율 인하는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미중간 최종 논의결과가 1단계 무역협상의 '데드라인'인 15일을 넘어설 경우 벌어질 상황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미국은 15일부터 약 16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들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에 15일이 미중 1단계 협상 타결의 마지노선이라는 관측이 대세를 이뤘다.
그러나 1단계 협상에 대해 15일로 데드라인을 못박지 않고 연장 협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WSJ과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오는 15일로 예정된 대중 추가관세 부과를 미루는 방안을 계획중이라고 보도했다. 1단계 무역협상 타결을 기대하는 미중 양국이 현재 입장차를 고려해 추가 협상을 이어갈 것이란 의미다. 이를 위해 15일로 예정됐던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 시점도 미루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2019-12-11 14:24:33
-
아소 日부총리 "한국에 무역·금융제재 할 수 있다" 협박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한국 대법원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 배상 판결과 관련해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거론해 파장이 일고 있다. 아소 부총리는 10일 발매된 월간지 분게이슌주(文藝春秋) 2020년 1월호와의 인터뷰에서 "만일 한국 측이 징용공(징용피해자) 판결로 압류하고 있는 (일본) 민간기업 자산의 현금화 등을 실행한다면 이쪽(일본)으로선 한국과의 무역을 재검토하고 금융제재를 단행하거나 하는 등 (대응) 방법이 여러 가지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우리가) 어떻게 하든 일본보다 경제 규모가 작은 한국이 먼저 피폐해지는 건 틀림없다"며 "그러니까 (남은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어떤 판단을 할 것이냐'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아소 부총리는 '한국에 대한 무역·금융제재'를 언급하면서 "심한 예를 들자면"이란 단서를 달긴 했으나, 내년 초 징용 피해 배상판결에 따라 압류된 일본 기업들의 한국 내 자산이 매각·현금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일본 정부 최고위 관료가 '제재' 운운한 건 사실상 '협박'에 해당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일본 정부는 한국 대법원의 징용피해 배상 판결 이후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 조치를 취하면서도 '징용 관련 판결과는 무관한 안보상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해온 상황. 그러나 아소 부총리가 이번 인터뷰에서 한국에 대한 무역·경제제재를 거론함으로써 자국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 역시 경제보복의 일환이었음을 자인한 셈이 됐다. 아소 부총리는 이번 인터뷰에서 한국의 징용피해 배상 판결이 1965년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에 위배된다는 기존 일본 정부 주장을 고수했다. 특히 그는 "'이웃나라니까 한국과 사이좋게 지내자’는 일부 논조가 있지만, 세계 속에 이웃나라와 사이가 좋은 나라가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그런 말을 하는 건 외국에서 살아본 적이 없는 사람이다. 이웃나라와는 이해가 부딪히기 마련"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인도·미얀마도 국경을 접한 중국과는 사이가 좋지 않고, 인도네시아·베트남 등도 현안을 안고 있다"고 말했다. 아소 부총리는 "북한 문제를 비롯한 동아시아 안보환경이 엄중해지고 있지만 최대 현안은 한국과의 관계"라면서 "문제는 한국이란 국가 자체보다 국제법을 계속 무시하는 문재인 정권의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또 "일본과 중국과의 관계도 마찬가지"라며 "흔히 일중우호(日中友好)를 말하지만 '우호'는 단지 수단에 불과하다. 우호를 다진 결과 손해를 본다면 의미가 없고, 중요한 건 일중공익(日中公益)"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웃나라보다) 일본에 극히 중요한 건 동맹국 미국과의 관계다. 미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 힘 센 인물이기 때문에 일본의 외교 전략상 잘 사귀는 걸 빼놓을 수 없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역대 미 대통령 중에서도 이질적인 존재지만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는 묘하게 파장이 맞는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19-12-11 10:41:52
-
KB증권 "美 관세 부과시 코스피 2000선 밑돌듯…매수 기회 삼아야"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오는 15일 추가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코스피가 2000선 아래로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관세의 선반영 정도에 따라 주가 반응은 달랐지만 세 번 모두 약 200포인트 하락했다"며 "관세 부과 시 코스피는 일시적으로 2000선을 하회할 수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 이전 불확실성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며, 정작 부과 이후 반등이 나왔다"며 "관세는 파국의 시작이 아니라 협상 재개를 이끌어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점진적 매수로 대응할 수 있는 기회라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예정된 추가 대중 관세 부과를 연기할 가능성과 그대로 부과를 진행할 가능성은 모두 열려있는 상태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대로 되지 않는다면 관세는 적용될 것"이라며 "여전히 12월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 양국 관계자들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단이 오는 15일 미국의 새로운 대중 관세 부과를 미루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이 사안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아직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09:40:45
-
무역협상 막판 쟁점, 관세 취소가 아니라 관세율 인하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국이 오는 15일 부과할 예정이었던 추가 관세가 유예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은 기존 관세 취소가 아니라 기존 관세율 인하를 놓고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협상에 정통한 양국의 소식통을 인용, 중국은 추가 관세 유예뿐만 아니라 기존 관세 취소를 요구하고 있으나 미국은 기존 관세의 관세율만 인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 2500억 달러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중국산 제품 1100억 달러에 15%의 관세를 매겼다. 여기에 이번에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오는 15일 나머지 중국산 제품(1600억 달러)에 1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천명해 왔다. 중국은 추가 관세 유예뿐만 아니라 기존에 부과되고 있는 관세의 관세율을 절반으로 낮춰주길 원하고 있다. 미국도 기존 관세 취소는 힘들지만 관세율 인하는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종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몫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미국 무역대표단을 만나 이와 관련, 최종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미중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것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규모와 방법이다. 미국은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연간 400억~500억 달러를 매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문서화하기를 원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이 구매한 미국산 농산물은 86억 달러 규모였다. 미국이 문서화를 요구하는 것은 그동안 중국이 약속을 자주 어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이 기존 관세를 취소 또는 인하하는 규모에 따라 농산물 수입량을 조정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2019-12-11 08:10:32
-
뉴욕증시, 미·중협상 타결 지연에 소폭 하락 마감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미국 뉴욕증시는 10일(현지시간) 미·중 1단계 무역 협상이 '데드라인'을 넘기고 지연될 가능성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 다우존스 30 산업 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7.88포인트(0.10%) 내린 2만7881.72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3.44포인트(0.11%) 내려간 3132.52에 마감했고, 나스닥은 5.64포인트(0.07%) 떨어진 8616.18로 폐장했다. 미·중 1단계 무역협상은 당초 이달 15일을 '데드라인'으로 여겨졌다. 미국이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이날부터 중국 수입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월 스트리트 저널(WSJ)은 양측이 합의안을 도출하기로 노력하면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연기를 검토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에 협상 타결 전 농산물을 먼저 구매하기로 약속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상응하는 관세 폐지를 원하고 있다. CNBC는 "(도널드 트럼프)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회의적으로 말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대로 되지 않는다면 관세는 적용될 것"이라며 "여전히 12월에 추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 발언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10일 이틀 동안의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회의를 시작했다. 시장에서는 중앙은행이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06:52:20
-
美 15일 추가관세 유예 검토, 트럼프 결정만 남아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김서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5일 예정된 대중국 추가 관세를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중 양국 무역협상단은 대중 추가 관세를 유예할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기존 관세를 유예하는 대가로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추가로 대량 구매하고, 환율제도 투명성 제고와 금융시장 개방을 약속하는 내용 등의 합의가 유력한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국은 중국에 미국산 농산물 구매 규모를 사전에 확약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기존 관세 철회 규모에 연동해 농산물 구매를 늘리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트럼프가 최종 결정 : 미국이 요구하는 중국의 강제 기술이전 금지,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 합의 이행 강제장치 마련 등은 후속 협상 의제로 남을 공산이 크다. 미 행정부는 15일까지 미중 1단계 무역협상에서 만족할만한 진전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1560억 달러(약 180조원)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 대해 15% 관세폭탄을 부과하겠다고 예고해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이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WSJ은 전했다.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직무대행은 "15일 대중국 추가 관세의 시행 여부는 앞으로 미중 무역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달려있다"면서도 "협상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 커들로 "확정된 건 없다" :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WSJ 콘퍼런스에서 "아직 명확하게 결정된 것은 없다"며 "15일 대중국 추가 관세는 아직 테이블 위에 있다"고 밝혔다. ◇ 퍼듀 농무부 장관 "관세 부과 유예할 것" : 앞서 소니 퍼듀 미국 농무부 장관은 대중국 추가관세 예정일인 오는 15일 관세 부과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9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퍼듀 장관은 이날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 참석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15일이 다가오고 있지만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이 대두와 돼지고기 관세를 면제하며 성의를 보였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중 고위급 협상단은 지난 10월11일 미국 워싱턴 협상에서 1단계 무역합의, 이른바 '스몰딜'(부분합의)에 도달했지만 아직 합의문에 서명하진 못했다. 양국은 당초 11월 중 서명을 추진했지만 실무협상에서 관세 철회 문제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최종 타결이 미뤄지고 있다.
2019-12-11 06:51:20
-
미·멕시코·캐나다, USMCA 수정안 타결…NAFTA 종식(종합)
[서울=뉴시스] 유세진 신정원 기자 =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3국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를 대체할 새 무역협정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수정안에 합의했다. 10일(현지시간) 월 스트리트 저널(WSJ)과 BBC 등 외신에 따르면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헤수스 세아데 멕시코 외교차관,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캐나다 부총리 등 3국 대표단은 이날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 대통령궁에 모여 UCMCA 수정안에 서명했다. 서명 자리에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도 함께 했다. USMCA는 1994년 체결한 나프타를 대체할 무역협정이다. 3국은 지난해 10월 내용에 합의한 뒤 3국 정상이 11월 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나 협정에 서명했으나, 미국 의회가 노동 기준 강화 등을 요구하며 발목을 잡아 수정안을 마련했다. 멕시코는 지난 6월 의회 비준을 받았으나 캐나다도 미국의 속도를 맞춘다며 지지부진한 상태였다. 이날 합의한 USMCA 수정안에는 NAFTA에는 없던 새로운 노동 기준과 이행 강제 내용이 포함됐다. 자동차와 관련해선 북미에서 면세 차량을 거래하기 위해 미 자동차 산업을 따라야 한다는 규칙을 강화했다. 자동차 생산의 일정 비율은 북미에서 생산돼야 한다는 내용 등이 들어갔다. 농업 역시 미국 낙농가가 캐나다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농가가 더 이상 수출시장이 줄어들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WSJ은 분석했다. 또한 3국 간 디지털 자유화를 강화하기로 했는데 이는 추후 중국 등과의 협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 민주당이 주도하고 있는 하원도 이번 협정을 지지하고 있어 의회 통과는 손쉽게 처리될 전망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백악관은 오는 15일까지 수정안을 의회에 보내고, 하원은 18일까지 표결에 부쳐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 의장은 이날 타결 소식을 전하며 "이는 미국 노동자들을 위한 승리"라고 치켜세웠다. 펠로시 의장은 이번 협정에 대해 "나프타보다 좋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며 "지난해 트럼프 행정부가 제안한 것보다 훨씬 낫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USMCA 개정은 미국을 위해 위대한 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그것(개정)은 미국이 이룬 무역협정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최선의 협정이 될 것이다. 농부와 제조업자, 에너지 종사자, 노조원 등 모두에게 좋은 일이고 큰 지지를 받을 것"이라며 "중요한 점은 미국에 최악이었던 NAFTA를 끝내게 됐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미국 경제계도 즉각 환영하며 의회가 이 협정을 신속하게 처리해줄 것을 요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jwsh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06:17:58
-
유럽증시, 미·중 무역협상 관망 속 하락 마감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유럽 증시는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중국 수입품 추가 관세 부과 연기 보도에도 영국 총선 영향으로 하락 마감했다.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장보다 34.89포인트(0.27%) 하락한 13,070.22로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런던의 FTSE 100 지수도 7213.76으로 장을 마쳐 전날 종가보다 20.14포인트(0.28%) 떨어졌다. 반면 프랑스의 CAC 40 지수는 전장보다 10.78포인트(0.18%) 오른 5848.03으로 폐장했다. 미국과 중국은 1단계 무역협상에서 여전히 이견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중국에 농산물 구매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에 기존 관세 철폐까지 요구하고 있다. 다만 미국이 1560억 달러 중국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던 '데드라인'을 당초 이달 15일에서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 스트리트 저널(WSJ)은 보도했다. 영국은 브렉시트와 경제정책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12월 총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보수당의 승리가 유력해 보이지만 최근 여론조사에서 노동당과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관심은 보수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느냐 여부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보수당이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경우 내년 1월 말까지 브렉시트를 완수하겠다고 공약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03:39:40
-
아소 다로 "한, 압류 기업 자산 현금화하면 금융제재 가능"
[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한국이 만약 일본 기업의 압류 자산을 현금화할 경우 일본으로서는 한국과의 무역을 재검토하거나 한국에 대한 금융제재를 가하는 등 여러 방법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고 아소 다로(麻生太郞, 사진) 일본 부총리겸 재무상이 10일 판매를 시작한 분게이슌주(文藝春秋) 인터뷰에서 말했다. 아소 부총리는 과거에도 잇딴 망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었다. 아소는 그럴 경우 일본보다 경제 규모가 작은 한국이 먼저 피해를 입을 것이 틀럼없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어떤 결정을 내럴 것인지가 문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 문제를 비롯해 동아시아의 안보 환경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지만 최대 현안은 한국과의 관계라면서 문제는 한국이라는 국가 자체가 아니라 국제법을 계속 무시하는 문재인 정권의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소 부총리는 또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일본은 제공한 무상 3억 달러, 유상 2억 달러의 경제지원으로 한국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발전을 이룩했는데 이제 와서 그것을 없었던 일로 주장하다면 좀더 기다리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웃나라이기 때문에 한국과 사이좋게 지내야 한다"는 일부의 주장이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이웃나라와 사이가 좋은 나라가 있는가라며 인도나 미얀마 모두 국경을 맞재고 있는 중국과 사이가 나쁘다고 지적, 그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은 외국에서 거주한 적이 없는 사람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아소는 이웃나라와의 외교는 어려운 반면 일본에 중요한 것은 동맹국인 미국과의 관계라고 주장했다. 아소는 미국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 힘있는 인물이기 때문에 잘 지내는 것이 일본의 외교 전략에서 빼놓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매우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01:49:38
-
"美, 15일 대중 관세 연기할 수도...트럼프 결정은 아직"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미국이 오는 15일(현지시간) 예정된 추가 대중 관세 부과를 연기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월 스트리트 저널(WSJ)은 10일 양국 관계자들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단이 오는 15일 미국의 새로운 대중 관세 부과를 미루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다만 이 사안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아직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WSJ는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미·중 관계자들이 1단계 무역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마감 시한이 15일이 아니라는 점을 최근 들어 시사해 왔다며, 양쪽 모두 협상이 15일 이후로 연장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고 전했다. 미·중은 지난 10월 고위급 협상을 진행해 무역 갈등을 완화할 제한적 1단계 합의를 도출했다. 미국은 10월 추가로 시행 예정이던 대중 관세 인상을 보류했고, 중국은 대규모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약속했다. 하지만 미국은 이미 부과 중인 대중 관세는 유지했고, 12월15일로 예정된 156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도 철회하지 않았다. 중국의 기술 이전 강요와 자국 기업 보조금 문제 등에도 확실한 개선이 없었다. 미·중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서명할 합의문을 마련하기 위해 막바지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최종 합의가 쉽게 성사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가 무산되면 언제든 대중 추가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WSJ는 양측이 중국 정부의 미국산 농산물 대량 구매 문제를 놓고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중국이 대두, 가금류 등 미국산 농산품 추가 구매 약속을 보장하라고 요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중국의 자국 기업 보조, 미국 업체들에 대한 기술 이전 강요 등 미·중 무역전쟁의 여타 핵심 사안들은 이번이 아닌 추후 협상으로 논의가 미뤄지고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1 00:43:41
-
美中무역협상 승부처는 ‘경제력’.."美 유리한 위치"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미중간 무역협상 최대 승부처는 양국의 경제체력에서 갈릴 전망이다.미중 1단계 무역협상을 둘러싼 양국간 힘겨루기가 진행되는 가운데 양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이 희비쌍곡선을 그리고 있다. 중국의 주요 생산·소비 지표들이 하락세를 면치 못한 반면 미국의 고용률 지표는 호황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력에 따라 협상의 양보 수위와 최종 타결 여부가 좌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하락했다. 이로써 중국의 월간 PPI 상승률은 다섯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제조업 등 분야의 활력을 나타내는 경기 선행 지표 중 하나인 PPI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은 통상 디플레이션의 전조로 해석된다. 경기가 전반적으로 식으면서 생산감소와 실업증가라는 악순환을 낳게 된다. 중국은 지난 2012년 3월부터 2016년 8월까지 54개월 연속 PPI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반면 소비자물가지수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긴보다 4.5%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4.3%를 소폭 웃돈 것으로 2012년 1월 이후 약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소비항목들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나타냈지만 서민 생활과 밀접한 식품류 가격이 무려 19.1% 급등한 게 CPI 상승을 이끌었다. 중국 경제의 주요 기둥인 생산과 소비 지표가 악화된 가운데 중국의 수출입 동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1.1% 하락했다.이로써 중국이 수출은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물가는 높아지고 생산동력을 떨어지면서 물가관리와 경기부양간 엇박자 현상이 심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중국 정부가 1단계 무역협상에 적극 나서 경기침체의 돌파구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반면, 중국과의 무역관세 탓에 부메랑을 맞을 것으로 관측됐던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는 순항중이다. 대표적으로 최근 미국 고용지표가 깜짝 수치를 기록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11월 비농업 일자리는 26만6000개 증가했다. 지난 10월(15만6천개)보다 압도적으로 늘어난 데다 전문가들의 예상치(18만7000개)도 크게 웃도는 수치다. 고용 훈풍이 불면서 11월 실업률은 3.5%로 전달(3.6%)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969년 이후 5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미국에서 3%대의 실업률은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로 평가된다.미국은 이같은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중국과 무역협상에서 다소 유리한 위치에 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산 제품 1560억 달러(180조원)에 대한 15%의 추가관세 카드를 쥐고 오는 15일까지 강온 양면 전략을 구사할 전망이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2019-12-10 17:13:37
-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 개막...“12일까지 내년 경제정책기조 등 결정"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중국공산당과 중국 정부가 10일 2020년 경제정책의 기본 방침을 책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시작했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이 보도했다. 매체는 관련 사정에 밝은 복수의 관계 소식통을 인용헤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이날 베이징에서 12일까지 사흘간 일정으로 개막했다고 전했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와 경기둔화로 중국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열리는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우선적으로 미국과 타결할 수 있는 1단계 무역합의의 지침을 확정할 전망이다. 중앙경제공작회의는 향후 1년간 경제정책의 우선 과제를 정하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재정수지, 인플레율 등 목표를 설정한다. 회의에서 확정한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다가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행하는 정부공작보고를 통해 드러난다. 이번 중앙경제회의는 경제 하방압력이 커지는 속에서 어떠한 경제대책을 내놓을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아울러 GDP 실질 성장률 목표를 2019년의 '6.0~6.5%'에서 낮출지도 심도 있게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목표를 내리면 2년 연속이 된다. 시진핑(習近平) 지도부는 2020년 실질 GDP를 2010년보다 배증한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국세조사를 바탕으로 GDP 수치를 개정하면서 내년에는 6% 미만 성장을 해도 달성이 가능한 상황이다. 재정적자는 GDP 대비 비율을 어느 정도까지 확대할지가 관심사이다. 2019년은 2.8%이지만 경기부양을 강화하기 위해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미중 무역전쟁에 관한 의견 조율도 빠질 수 없다. 작년 회의에선 "12월 아르헨티나 미중 정상회담의 공통인식에 맞춰 무역협상을 추진한다"고 결정했지만 아직도 별다른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15일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등 중국산 제품을 중심으로 1600억 달러 규모에 15% 추가관세를 발동할 예정이다. 회의는 이에 맞서는 방안도 서둘러 강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적으로 중국 당국은 중앙경제공작회의가 끝난 다음에 개최 사실을 성명을 통해 공표한다. 작년에도 신화통신 등 관영 매체는 12월19~21일 간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열린 사실을 폐막 후에 전했다. 당시 매체는 중앙경제공작회의가 2020년 샤오캉(小康) 사회 실현 목표를 달성하는데 결정적인 해인 2019년의 경제기조에 관해 논의하고 결정하고서 폐막했다고 보도했다. 회의는 지난 7월 이래 이어진 미중 무역전쟁 여파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국내 고용과 금융 안정을 어떻게 도모할지를 최우선 과제로 다뤘다고 한다. 시진핑 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 중앙군사위 주석이 중요 연설을 통해 2018년 경제공작을 평가하고 현행 경제정세를 분석하는 한편 내년 경제공작 지침을 제시했다. 리커창 총리도 기조연설에 나서 내년 경제공작의 구체적인 방침에 대해 총괄적인 설명을 했다. 경제공작회의 성명은 2019년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감세를 대규모 확대하고 풍부한 유동성을 유지하는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16:48:47
-
중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지수 0.1%↑
[베이징=신화/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증시가 10일 상승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0.1% 오른 2917.32로 장을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장 대비 0.4% 상승한 9915.87로,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차이넥스트는 전장 대비 0.75% 오른 1734.02로 거래를 마쳤다. 전장 대비 0.19% 내린 2908.94로 출발한 상하이지수는 오전장에서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보였고, 오후장에서는 반도체주 강세로 오름세를 보이다 상승 마감했다. 이런 상승세는 미중 무역협상 달성 기대가 커진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예정 시점인 12월 15일을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상승폭을 제한했다. 이날 시장에서는 집적회로, 소비전자 등이 강세를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16:31:27
-
미중 경제지표, 무역협상 명운 가른다
【베이징=조창원 특파원】미중간 무역협상의 최대 승부처는 양국의 경제체력에서 갈릴 전망이다.
미중 1단계 무역협상을 둘러싼 양국간 힘겨루기가 진행되는 가운데 양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이 희비쌍곡선을 그리고 있다. 중국의 주요 생산·소비 지표들이 하락세를 면치 못한 반면 미국의 고용률 지표는 호황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력에 따라 협상의 양보 수위와 최종 타결 여부가 좌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1월 중국 주요 경제지표들이 줄줄이 악화일로를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하락했다. 이로써 중국의 월간 PPI 상승률은 다섯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제조업 등 분야의 활력을 나타내는 경기 선행 지표 중 하나인 PPI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은 통상 디플레이션의 전조로 해석된다. 경기가 전반적으로 식으면서 생산감소와 실업증가라는 악순환을 낳게 된다. 중국은 지난 2012년 3월부터 2016년 8월까지 54개월 연속 PPI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반면,소비자물가지수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긴보다 4.5%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4.3%를 소폭 웃돈 것으로 2012년 1월 이후 약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소비항목들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나타냈지만 서민 생활과 밀접한 식품류 가격이 무려 19.1% 급등한 게 CPI 상승을 이끌었다.
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여파로 11월 돼지고기 가격이 작년 같은 달보다 110.2%나 올랐기 때문이다.
중국 경제의 주요 기둥인 생산과 소비 지표가 악화된 가운데 중국의 수출입 동향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1.1% 하락했다.이로써 중국이 수출은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통상 11월엔 연말 특수로 인해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올해는 미중 무역갈등 여파로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물가는 높아지고 생산동력을 떨어지면서 물가관리와 경기부양간 엇박자 현상이 심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중국 정부가 1단계 무역협상에 적극 나서 경기침체의 돌파구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반면, 중국과의 무역관세 탓에 부메랑을 맞을 것으로 관측됐던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는 순항중이다. 대표적으로최근 미국 고용지표가 깜짝 수치를 기록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11월 비농업 일자리는 26만6000개 증가했다. 지난 10월(15만6천개)보다 압도적으로 늘어난 데다 전문가들의 예상치(18만7000개)도 크게 웃도는 수치다. 고용 훈풍이 불면서 11월 실업률은 3.5%로 전달(3.6%)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969년 이후 5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미국에서 3%대의 실업률은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로 평가된다.
미국은 이같은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중국과 무역협상에서 다소 유리한 위치에 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산 제품 1560억 달러(180조원)에 대한 15%의 추가관세 카드를 쥐고 오는 15일까지 강온 양면 전략을 구사할 전망이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2019-12-10 14:40:18
-
트럼프 대통령 "민주당과 USMCA 협상 타결 임박"
[서울=뉴시스] 권성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하원 민주당과의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 협상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합의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지난 24시간 노조 및 다른 대상자와의 협상에 많은 진전이 있었다고 들었다"며 "그들(하원)이 합의안을 표결에 부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표결이 이뤄지면 통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트럼프 행정부 관리는 9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상임고문이 10일 새로운 합의안을 손에 들고 멕시코 관리들을 만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USMCA 개정을 요구하는 하원 민주당과 1년 넘게 협상을 이어 왔다. 노조의 지지를 받고 있는 민주당은 USMCA 노동 및 환경 규칙 개정을 요구하며 트럼프 행정부를 압박해왔다. 미국 최대 노조연합체인 산별노조총연맹 (AFL-CIO)은 9일 오후 노조 지도자들이 참석한 화상회의를 열어 트럼프 행정부와 하원 민주당이 내놓은 진전된 안을 수용할지를 논의했다고 WSJ은 전했다. 백악관의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9일 AFL-CIO 리처드 트럼카 위원장과 전화통화를 통해 USMCA 개정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9일 USMCA 개정안을 멕시코 상원의원들이 열람한 후 승인했다고 전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을 다 했다. USMCA는 멕시코 뿐만 아니라 미국과 캐나다 국민들에게도 매우 적합한 합의안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이 최적의 시기"라며 낸시 펠로리(캘리포니아) 미 하원의장에게 개정안을 본회의에 상정할 것을 촉구했다. CNBC는 2명의 소식통을 인용 백악관이 미 의회에서의 승인 절차를 위해 오는 15일까지 USMCA 개정안을 의회로 보낼 예정이라고 전했다. 소식통들은 하원이 오는 18일까지 개정안을 표결에 부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원은 내년 1월 USMCA 개정안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상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트럼프 탄핵 재판과 관계 없이 내년 1월에 최대한 신속히 USMCA 비준안을 표결 처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공화당의 소식통이 전했다. 미국이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유럽엽합(EU)과 대립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USMCA 비준은 투자자와 기업들에게 불확실성이 완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USMCA는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을 대체하기 위해 주도한 협정으로 지난해 11월30일 체결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5월 USMCA 비준을 위한 법안을 미 의회에 전달했다. 그러나 민주당이 USMCA 노동 및 환경 규칙을 이유로 비준에 난색을 표하면서 협상이 길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ksk@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09:56:54
-
트럼프 "미국, 중국과의 무역합의 달성 관련 잘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협의 달성에 낙관적인 입장을 밝혔다. 10일 미국의소리방송(VOA) 중국어판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미국시간 9일) 백악관에서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합의 달성과 연관해 잘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이 중국산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시한도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15일 미국의 대(對) 중국 관세부과를 앞두고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 같은 발언은 무역협상과 연관한 강온 전략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전날 중국 상무부도 미국과의 무역 합의 달성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런훙빈(任鴻斌) 상무부 부장조리(차관보)는 9일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관으로 베이징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중 무역협상, 담판과 연관해 양측이 평등과 상호존중의 원칙하에 협상을 추진하고 서로의 핵심우려를 존중하기를 희망한다”면서 “관련국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를 조속히 달성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중 무역협력과 연관된 우리의 태도와 입장은 일관되다”면서 “미중 무역협상의 본질은 상생협력이고, 미중이 협력하면 모두 존재하지만 싸우면 모두 패배하게 된다”고 역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09:35:04
-
美농무장관 "15일 대중국 추가관세 없을 듯"
[서울=뉴시스] 오애리 기자 = 소니 퍼듀 미 농무장관이 오는 15일에 1560억달러(약186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퍼듀 장관은 9일(현지시간)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한 컨퍼런스에 참석해 "15일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 데드라인이 다가오고 있지만, 나는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믿지 않는다. (관세로부터의) 어떤 후퇴를 보게 될 것같다( I think we may see some backing away)"라고 말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대통령이 새로운 관세 부과를 원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가 (관세부과를) 하지 않도록 부추기는 어떤 움직임이 (중국측으로부터) 있어야한다"고 말했다. 또 "만약 중국이 합의하고 계약에 서명한다면 시행가능한 조치들이 무엇이냐가 문제인데, 바로 그것이 지금 우리가 (협상에서)다루고 있는 점"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중 1단계 무역)합의가 가깝다. 11월 중순(당시)보다도 훨씬 가까울 것"이라며 "차관급이 다시 만났다. 건설적인 대화를 거의 매일 하고 있다. 사실상 (합의가) 가깝다"고 말했다. 그는 "임의적인 데드라인은 없다"면서도 "12월 15일이 관세를 부과하느냐 마느냐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날짜로 남아 있다는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같은날 중국 관영 신화통신, 중앙(CC) TV 등은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관련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들 상품은 미국의 무역법 301조 관세 조치에 대응한 중국의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전하기도 했다. 관세세칙위원회는 “자국내 수요에 따라 중국 기업들은 자주적으로 시장화(시장원칙에 따른) 구매를 진행했고, 미국으로부터 일정 수량의 상품을 구입했다”면서 “관세가 면제될 상품에 대해 (관련) 기업은 자주적 협상, 자체적 수입, 스스로 손익을 책임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9월 중국 관영 언론들은 관세세칙위원회가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당시 AP통신 등 미국 언론은 이를 미중 협상을 앞둔 '선의의 제스처'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er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08:59:55
-
美 농무부장관 "15일 추가 관세부과 없을 듯"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국 농무부장관이 "15일 추가 관세부과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니 퍼듀 미국 농무부장관은 이날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린 한 세미나 참석, “중국이 돼지고기와 대두(콩)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는 등 성의를 보이고 있고, 미국이 북미무역협정(NAFTA)을 대체하는 미국·멕시코·캐나다(USMCA) 협정에 서명해야 하는 등 일정이 많아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미국은 1차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오는 15일부터 중국산 제품 1600억 달러에게 1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천명해 왔다. 퍼듀 장관은 “중국이 미국산 돈육과 대두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는 성의를 보였다”며 “트럼프 대통령도 추가 관세부과를 강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6일 미국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수입 관세를 면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재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국무원의 관세세칙위원회가 미국 개별 기업들의 관세 면제 신청서에 근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 등에 대해 수입 관세를 면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면제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양국 간 긴장감을 완화하는 신호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미국은 USMCA 협정도 마무리 해야 한다.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 3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NAFTA에서 탈퇴하겠다고 선언한 뒤 지난한 협상과정을 거쳐 지난해 11월30일 USMCA에 합의했다. 멕시코는 지난 6월 3국 중 가장 먼저 USMCA를 비준했다. 반면 미 의회에서는 민주당이 '노동자와 환경을 보호하는 기준이 충분하지 못하다'며 조항 강화를 요구하며 비준이 미뤄졌다.이에 따라 멕시코 대통령은 최근 미국 의회가 조속히 USMCA를 비준해줄 것을 요청했다.
2019-12-10 08:23:47
-
돌아온 외인...15일 대중 관세 부과 韓증시 분수령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22일 만에 외국인들이 '셀 코리아'(한국 주식 매도)를 마무리하고 순매수로 돌아섰지만 외국인 수급이 완전히 돌아선 것이 아니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대(對) 중국 추가 관세부과를 예고한 오는 15일이 국내 증시에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21거래일 연속 매도 물량을 내놓던 외국인이 22거래일 만에 순매수로 돌아선 뒤 2거래일 연속 매수세를 이어갔다.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은 지난달 7일부터 이달 5일까지 외국인들은 5조706억원을 순매도하며 '팔자' 행렬을 이어갔다. 21일간 지속된 외국인의 연속 순매도 랠리는 2015년 12월2일∼2016년 1월 5일의 22거래일 연속 순매도 이후 약 4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외국인은 그러나 지난 6일 426억원 어치를 사들이며 21일 거래일 연속 이어오던 매도에 제동을 걸었다. 9일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728억원어치 주식을 사들이며 매수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에 대한 증시 불안감은 여전하다. 외국인투자자의 매도세가 장기간 이어진 것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라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단기적으로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신흥국(EM)지수 재조정이 꼽힌다. 이와 관련,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전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외국인 주식자금 유출 확대는 미·중 무역 갈등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함께 5월, 8월, 11월 발생했던 MSCI 지주 조정이 중첩된 데 주로 기인한다"며 "5월과 8월 두 차례 MSCI 지수가 조정됐을 당시에도 조정이 마무리되고 미·중 갈등이 완화되면서 외국인 자금 흐름이 안정되는 등 금융 시장이 복원력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투자자의 수급이 완전히 돌아섰다고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보고 있다. 외국인 수급 방향성은 미국의 대(對)중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한 오는 15일 이후 뚜렷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시장은 15일 이전까지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에 이를 수 있을 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관망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인들이 매수세로 전환됐다고 보기는 아직 이르다"면서도 "매도 클라이맥스로 팔 만큼 많이 팔았다. 외국인들이 5조원 넘게 주식을 팔았음에도 우리 장의 대폭락은 없었고 상당부분 급한 매물은 소화된 것으로 본다. 조금 더 매물이 나오거나 주가 조정은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은 양호한 고용지표에 따른 미국 주식시장 상승에 따라 코스피 2거래일 연속 순순매수를 기록했다"면서 "외국인 매수세는 여전히 IT에 쏠리고 있다. 외국인 수급 방향성은 이번주 미중 무역협상과 선물옵션 동시 만기 이후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11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 상장, 12일 영국 조기총선, 15일 미국의 중국 추가 관세 부과 등 이슈가 있다"면서 "외국인들이 순매수로 돌아선다고 단정짓기 아직 어렵다. 12월 중순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한국은행에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하면서 한국 경기에 대한 불안감 커지고 원·달러 환율 상승, 수출 부진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국 경기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고 미중 무역합의가 어느정도 봉합이 돼야 시장이 안정을 찾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부는 시장이 과도한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대외여건 변화를 차분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한다. 김 차관은 "최근 주요 투자은행(IB)들이 향후 국내 증시 회복을 전망하며 한국 증시에 대해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며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기보다는 미·중 협상 전개 등 대외 여건 변화를 차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ho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06:50:50
-
다우지수 0.38% 하락 마감…15일 추가 관세 여부 대기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1560억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5% 추가 관세 부과를 앞두고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해당 관세는 15일 발효 예정이다. 관세 발효일은 미중 1단계 무역합의 가능성을 가늠할 분수령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시장은 미국이 이 관세를 철회하면서 무역협상의 청신호를 보낼지 주시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05.46포인트(0.38%) 내린 2만7909.60으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95포인트(0.32%) 하락한 3135.96, 나스닥지수는 34.70(0.40%) 내린 8621.83으로 장을 마쳤다. UBS 웰스매니지먼트의 제프리 유는 "완전한 붕괴를 피하는 게 투자자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결과물로 남아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말했다. 중국 언론 관차저왕 등에 따르면 전날 런훙빈(任鴻斌) 상무부 부장조리(차관보)는 기자회견을 열어 "미중 무역협상, 담판과 연관해 양측이 평등과 상호존중의 원칙하에 협상을 추진하고 서로의 핵심우려를 존중하기를 희망한다"면서 "관련국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를 조속히 달성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무역협상 관련 일정 외에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 회의가 열린다. 연준은 오는 10~1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해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이번 회의에서 통화정책의 큰 변화를 기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WSJ은 전했다. 올 들어 연준은 3차례 금리를 내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06:23:37
-
유럽증시 일제히 하락...미중 무역 협상· 英총선 경계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9일(현지시간)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중 무역 협상과 영국 총선에 대한 경계감에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영국 FTSE 100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76포인트(0.08%) 내린 7233.90에 마감했다. 프랑스 CAC 40지수는 34.66포인트(0.59%) 하락한 5837.25에 장을 닫았다. 독일 DAX지수는 60.97포인트(0.46%) 떨어진 1만3105.61을 기록했다.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 합의가 도출되지 않을 경우 오는 15일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래리 커들로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6일 미중 무역 합의가 가깝다면서도 미국은 원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협상장을 떠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11월 수출은 미국과의 무역 갈등 여파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 줄어 4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이 오는 12일 총선을 치르면서 이번 주가 유럽의 미래에 중요한 한 주가 될 것이라고 CNBC는 분석했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보수당이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하면 내년 1월 말까지 브렉시트를 완수하겠다고 공약했다. 제1야당인 노동당은 정권 교체시 EU와 브렉시트를 재협상한 뒤 6개월내 EU 탈퇴 여부를 국민투표에 다시 부치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여론조사상으로는 보수당이 상당한 우위지만 양당 간 지지율 격차가 점점 좁혀지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10 03:02:55
-
中상무부 "미중협상,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 기대"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오는 15일 미국의 대(對) 중국 관세부과를 앞두고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 상무부는 합의 달성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9일 중국 언론 관차저왕 등에 따르면 런훙빈(任鴻斌) 상무부 부장조리(차관보)는 이날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관으로 베이징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중 무역협상, 담판과 연관해 양측이 평등과 상호존중의 원칙하에 협상을 추진하고 서로의 핵심우려를 존중하기를 희망한다”면서 “관련국 모두가 만족하는 결과를 조속히 달성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런 부장조리는 또 “미중 무역협력과 연관된 우리의 태도와 입장은 일관되다”면서 “미중 무역협상의 본질은 상생협력이고, 미중이 협력하면 모두 존재하지만 싸우면 모두 패배하게 된다”고 역설했다. 이날 "미국이 15일 계획대로 중국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도 동등한 수준에서 반격조치를 취할 것인지”라는 질문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을 하지 않고 “중국 상무부의 발표를 주목하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은 당국이 미국산 대두와 돼지고기 등 일부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관세 면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언론들은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관련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들 상품은 미국의 무역법 301조 관세 조치에 대응한 중국의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전했다. 지난 9월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상무부는 5일 정례브리핑에서 미중 무역협상과 연관해 “미중이 1단계 합의를 달성한다면 상응하게 관세도 낮춰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17:56:00
-
美中무역협상 이번주 ‘분수령’.. 최소 ‘스몰딜’이라도 나올까?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이번주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이 어떤 식으로든 진일보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주말인 오는 15일을 전후로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이렇게 되면 중국 역시 맞대응에 나설수밖에 없다. 하지만 합의를 압박하는 주변 여건을 보면, 상황은 어떻게 급변할지 예단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중국의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진데다, 내년 경제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중국경제공작회의가 이달 중순 열린다. 미국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선 일정 수준의 성과를 내야하지만 현재 탄핵 압박까지 받고 있는 상황도 변수다. 이를 감안해 최소한 '스몰딜'(부분합의)은 이끌어 낼 것이라는 해외 분석도 나오고 있다. 서로 타격전을 벌이던 양국 무역분쟁에서 합의의 희망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주 후반부터다. 블룸버그통신을 비롯한 외신들은 소식통들을 인용해 "합의점에 다가서고 있다"고 연이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린 영국에서 기자들에게 "나는 데드라인이 없다. 여러 가지 면에서 중국과의 합의를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쏟아지던 비관론과는 전혀 다른 논조였다. 이에 발맞추는 중국 언론도 감지된다. 미국을 '세계질서 파괴자'로 맹비난하던 글들이 "중미는 오해와 오판을 피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해야 한다"는 식으로 전환되는 모양새다. 실제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논평에서 "중미는 역사와 문화 등에서 큰 차이를 보여 갈등을 피할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기초를 다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성의 기초 위에 중·미 관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중국과 미국, 세계 모두에게 공통된 이익"이라고 논평했다. 중국의 내년 경제를 전망하는 중국경제공작회의가 이달 중 열린다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6%를 넘어 5%대까지 하락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미·중 1차 무역합의마저 불발로 끝나면 2020년 경제 불확실성은 확대될 수밖에 없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6일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국내외 위험과 도전이 뚜렷이 높아진 복잡한 국면에 직면했다"면서 "외부 압력을 개혁 심화와 개방 확대의 강한 동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중이 '합의' 쪽으로 중지를 모으면 중국은 구매를 중단한 미국산 농산물을 일정수준에서 수입 재개하고 미국은 중국에 부과했던 기존 관세의 부분적 철폐를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상호 합의를 찾기 어려웠을 경우라도 즉각적인 추가 관세 부과보단 '합의 논의'를 전제로 한 관세부과 유예에 무게가 더 실린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9 17:50:45
-
중국 증시 혼조 마감…상하이지수 0.08%↑
[베이징=신화/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증시가 6일 혼조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거래일보다 0.08% 오른 2914.48로 장을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장 대비 0.02% 하락한 9876.27로,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차이넥스트는 전장 대비 0.33% 내린 1721.07로 거래를 마쳤다. 전장 대비 0.08% 오른 2914.46으로 출발한 상하이지수는 오전장에서 작은 변동폭으로 등락을 반복했고, 오후장에서는 건축자재주 강세로 오름세를 보이다 상승 마감했다. 미국의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예정 시점인 12월 15일을 앞두고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이날 시장에서는 암호화폐, 시멘트 등이 강세를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16:51:09
-
코스피, 美 경기 둔화 우려 완화에도 상승 제한…2088선 마감(종합)
[서울=뉴시스] 김제이 기자 = 코스피가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됐음에도 미중 무역관련 추가관세 이슈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승이 제한됐다. 9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2081.85)보다 6.80포인트(0.33%) 오른 2088.65에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09포인트(0.48%) 오른 2091.94에 출발해 상승구간을 횡보하다 거래를 마쳤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는 각각 829억원, 261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투자자만이 홀로 728억원을 사들였다. 코스피 업종은 이날 희비가 엇갈렸다., 전기전자 업종은 이날 1% 가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그 뒤로도 보험(0.70%), 금융업(0.66%), 제조업(0.50%), 철강·금속(0.44%), 종이·목재(0.33%), 건설업(0.31%), 운송장비(0.25%), 화학(0.01%)은 올랐다. 반면, 섬유·의복(-1.41%), 의약품(-1.31%), 음식료품(-0.93%), 유통업(-0.90%), 의료정밀(-0.74%), 전기가스업(-0.73%), 비금속광물(-0.48%) ,기계(-0.43%), 서비스업(-0.38%), 운수창고(-0.07%), 증권(-0.05%)은 내렸다.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들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이날 현대모비스(2.23%)가 가장 높이 올랐으며 삼성전자(1.59%), 포스코(1.08%), 현대차(0.84%), 신한지주(0.80%), 네이버(0.57%), LG화학(0.17%), SK하이닉스(0.12%)가 올랐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628.10)보다 2.50포인트(0.40%) 오른 630.60에 출발해 0.24포인트(0.04%) 내린 627.86에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투자자가 홀로 648억원을 내다 팔았지만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가 각각 573억원, 91억원을 사들이며 지수 하락을 방어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하락세가 강했다. 파라다이스(1.08%), 헬릭스미스(0.37%), SK머티리얼즈(0.06%)를 제외한 나머지 상위 종목이 모두 하락했다. 이날 펄어비스(-2.32%)가 가장 많이 내렸다. 그 뒤로 케이엠더블유(-1.73%), 스튜디오드래곤(-1.68%), CJ ENM(-1.65%), 휴젤(-1.65%), 셀트리온헬스케어(-1.49%), 에이치엘비(-1.12%)가 내렸다. 이날 시장상황에 대해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증시는 개선된 미국의 고용보고서 결과 및 커들로가 낙관적인 무역협상에 대해 언급을 하자 미국 경기 둔화 우려를 완화시킨 점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여전히 미국의 대(對)중국 추가관세 관련 이슈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중국의 11월 수출이 달러화 기준 전년 대비 1.1% 감소한 점이 부담으로 작용해 상승 폭은 제한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고용지표 호조 영향으로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CNBC와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7.27포인트(1.22%) 상승한 2만8015.06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 대비 28.48포인트(0.91%) 상승한 3145.91에, 나스닥지수는 85.83포인트(1.00%) 오른 8656.53에 장을 마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e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16:32:38
-
美中 무역분쟁 이번주 '분수령'...극적 합의 나올까?
[파이낸셜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이번주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이 어떤 식으로든 진일보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주말인 오는 15일을 전후로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이렇게 되면 중국 역시 맞대응에 나설수밖에 없다. 하지만 합의를 압박하는 주변 여건을 보면, 상황은 어떻게 급변할지 예단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중국의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진데다, 내년 경제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중국경제공작회의가 이달 중순 열리는 점, 미국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선 일정 수준의 성과를 내야하지만 현재 탄핵 압박까지 받고 있는 상황 등이 변수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 최근 외신들도 긍정적 전망을 잇따라 내놓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치열한 신경전 속에 최소한 ‘스몰딜’(부분합의)은 이끌어 낼 것이라는 분석은 이런 맥락에서 나오고 있다.
9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서로 타격전을 벌이던 양국 무역분쟁에서 합의의 희망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지난주 후반부터다. 블룸버그통신을 비롯한 외신들은 소식통들을 인용해 “합의점에 다가서고 있다”고 연이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린 영국에서 기자들에게 “나는 데드라인이 없다. 여러 가지 면에서 중국과의 합의를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쏟아지던 비관론과는 전혀 다른 논조였다. 미국이 최근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홍콩인권법)’을 제정하고 ‘신장 위구르 인권 정책 법안’을 하원에서 통과시킨 것은 미·중 무역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홍콩과 신장을 문제 삼지 않는 대가를 무역분쟁에서 찾으려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발맞추는 중국 언론도 감지된다. 미국을 ‘세계질서 파괴자’로 맹비난하던 글들이 “중미는 오해와 오판을 피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해야 한다”는 식으로 전환되는 모양새다. 실제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논평에서 “중미는 역사와 문화 등에서 큰 차이를 보여 갈등을 피할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기초를 다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성의 기초 위에 중·미 관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중국과 미국, 세계 모두에게 공통된 이익”이라고 논평했다.
중국의 내년 경제를 전망하는 중국경제공작회의가 이달 중 열린다는 점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6%를 넘어 5%대까지 하락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미·중 1차 무역합의마저 불발로 끝나면 2020년 경제의 불확실성은 확대될 수밖에 없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6일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중국 경제는)국내외의 위험과 도전이 뚜렷이 높아진 복잡한 국면에 직면했다”면서 “외부 압력을 개혁 심화와 개방 확대의 강한 동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중이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합의’ 쪽으로 중지를 모으면 중국은 구매를 중단한 미국산 농산물을 일정수준에서 수입 재개하고 미국은 중국에 부과했던 기존 관세의 부분적 철폐를 수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상호 입장이 팽팽해 합의를 찾기 어려웠을 경우라도 즉각적인 추가 관세 부과보단 ‘합의 논의’를 전제로 한 관세부과 유예에 무게가 더 실린다.
그러나 이마저도 이뤄지지 않으면 미국이 계획대로 오는 15일부터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은 맞대응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흘러가게 된다. 인민일보는 현재 중국 경제에 대해 “세계 경제의 보호주의와 일방주의가 심화되고 불확실한 요소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국내외 위험 요인과 중국 경제에 대한 하방 압력이 늘었다”고 풀이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9 15:12:38
-
WTO 기능마비 초읽기?…美, 항소기구 무력화 실행 나설 듯
[파이낸셜뉴스] 세계무역기구(WTO) 기능이 마비 위기에 몰렸다. 항소기구(AB)가 월권을 한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는 미국이 9~11일(현지시간) WTO 일반총회에서 임기가 끝나는 항소기구 위원 2명을 대신하는 위원 임명에 거부권을 행사하고, 예산배정도 차단해 기능을 정지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WTO 분쟁패널에서 합의하지 않고 항소기구에 항소하는 사안은 해결이 불가능해져 WTO 중재 기능이 무력화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미국이 이번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WTO 일반총회에서 분쟁조정기구 무력화 위협을 실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면서 규정에 기초한 국제 무역 질서가 심각한 손상을 입게 됐다고 보도했다.
■美
, 항소기구 무력화 실행 예고
미국은 가능한 방법들을 동원해 WTO 항소기구 무력화에 나설 것임을 예고한 상태다. 우선 새로운 위원 임명을 막는 것이다. 이번에 임기가 끝나는 항소 위원 2명을 대신할 새로운 위원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9~11일 제네바 WTO 사무국에서 열리는 164개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하는 일반총회에서 미국은 그동안의 강경입장을 실행에 옮길 것이 확실시 된다.
미 무역정책을 총괄하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합류하기 전 미 철강업계를 대변하는 변호사로 오랜 기간 WTO와 갈등을 빚어왔다. 그는 항소기구가 월권하고 있고, WTO 규정을 해석하기보다 새로운 규정들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거듭 주장해왔다. 이는 그러나 라이트하이저 개인의 의견은 아니다.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들어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에 비해 초 강경으로 돌아선 것은 맞지만 WTO와 계속해서 갈등을 빚어왔다. 민주당, 공화당 정권 할 것 없이 WTO 항소기구가 과도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는 불만을 나타내왔다. 무엇보다 미국은 항소기구가 미국의 반덤핑 판정에 대해 WTO 규정 위반으로 결론 내리는 사례가 잦아지면서 WTO 무력화까지 꾀하게 됐다.
미국의 강경입장은 6일 드니스 셰어 WTO 주재 미 대사의 발언으로도 다시 확인되고 있다. 셰어 대사는 다른 회원국들이 WTO 개선에 미온적이라고 공격했다. 그는 미국은 오랫동안 항소기구의 기능에 대해 우려해왔지만 다른 회원국들로부터 같은 수준의 개선 노력은 아직 없다면서 미국이 마침내 행동에 나설 것임을 예고했다. 미국은 항소위원 임명 거부권 행사 외에도 항소기구 예산 배분을 차단해 기능을 마비시키는 방안 역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주장에 따르면 항소기구는 항소법원 같은 게 아니라 규정들을 다듬는 기술적 역할을 하는 기구로 원래의 창설 목표로 돌아가야 한다.
■
EU, 미 도발 무력화 장치 서둘러
미국과 함께 WTO 출범의 산파 역할을 한 유럽연합(EU)은 얼마나 큰 위력을 낼 지는 알 수 없지만 어쨌건 미국의 도발을 무력화할 장치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FT에 따르면 EU는 WTO 기능이 마비되더라도 항소기구를 대신하는 임시 기구를 구성하는 방안 마련에 나섰다. 또 항소기구 기능이 정지되더라도 규정을 위반한 국가들에 무역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 마련에 나섰다. 일반총회가 끝나는 11일께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 규정은 미국을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미국을 겨냥했다. 이 규정이 적용되면 EU는 기능이 정지될 항소기구 상소를 통해 WTO 기능마비를 노리는 국가들에 보복관세를 물릴 수 있게 된다. EU는 새 규정과 관련해 이미 노르웨이와 캐나다를 설득해 지지를 이끌어냈고. 중국·러시아·브라질 등 경제규모가 큰 나라들이 동참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미국이 항소기구 기능정지 실력행사에 나서고 이를 대신할 임시기구마저 만들어지지 않으면 1차 분쟁패널에서 해결되지 못하는 무역분쟁은 교착상태에 빠진다.
한편 항소기구는 1995년 WTO 출범과 동시에 만들어졌다. 위원 7명 가운데 3명이 돌아가며 판정위원으로 참가하게 되고 WTO 규정 위반으로 결론이 나면 해당국 정부를 제재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미국과 EU간 보잉, 에어버스 항공기 보조금 문제부터 중국의 기업 보조금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굵직한 사안들이 항소기구를 거쳤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2019-12-09 14:26:06
-
WTO 상소기구, 미국 '보이콧'으로 10일부터 마비
[서울=뉴시스] 권성근 기자 = 미국이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기구 최종심을 담당하는 상소기구 위원 선임에 계속 반대하면서 WTO가 1995년 출범한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TO 상소기구 기존 위원 2명의 임기가 오는 10일 끝나지만, 미국의 새로운 위원 선임 반대로 WTO가 분쟁 해결 기능을 상실할 위기에 놓였다고 FT는 전했다. WTO는 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작되는 일반이사회에서 해법을 모색할 계획이지만, 개혁 추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상소기구는 WTO 분쟁 최종심을 진행한다. 상소기구는 총 7명의 위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위원 3명이 재판관이 돼 1건을 심리하는 구조로 두 위원의 임기가 10일 종료되면 재판부 구성이 어려워진다. WTO 상소위원은 164개 회원국 만장일치로 선임되며 한 나라라도 반대하면 선출할 수 없다.현재 상소기구에는 3명의 위원만 남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2년 넘게 상소위원 추가 선임을 막아왔다. 미국 철강업계를 대변하는 통상 변호사 출신의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WTO가 기존의 규칙을 준수하기보다는 새로운 규칙들을 만들고 있다며 WTO를 비판했다. 유럽연합(EU)은 상소기구를 대체할 임시 조직 창설 등 개혁안을 제시했지만 미국의 반대로 개혁안이 관철될 가능성은 낮다고 FT는 전했다. EU는 중국과 러시아, 브라질 등 경제 규모가 큰 국가들이 대안에 동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데니스 셰어 WTO 미국 대사는 지난 6일 "다른 국가들이 분쟁 해결 절차를 진지하게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미국은 상소기구 기능에 대해 여러 차례 문제를 제기해왔다"고 밝혔다. '미국 우선주의'를 전면에 내세운 트럼프 행정부는 WTO를 통한 무역분쟁 해소보다 관세 부과 등 일대일 해결책을 찾는 데 주력해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WTO가 개발도상국의 지위를 활용한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방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sk@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12:26:24
-
中 수출 4개월 연속 하락 vs 美 50년래 최저 실업률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양국의 경제가 뚜렷한 희비의 쌍곡선을 그리고 있다. 중국의 수출이 4개월 연속 하락한데 비해 미국의 실업률은 50년래 최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미국과 무역협상 타결을 서두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 중 수출 4개월 연속 하락 : 11월 중국 수출이 예상외로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둔 11월 중국 수출은 상승했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영향으로 올해 11월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1.1% 하락했다. 특히 대미수출은 23% 급락했다. 전문가들은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0.8% 증가를 예상했었다. 이로써 중국의 수출은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에 비해 수입은 늘었다. 11월 수입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이 성의를 보이는 차원에서 미국의 농산물을 대거 수입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예컨대 중국은 이 기간 미국산 대두(콩)를 전년 대비 41% 많이 사들였다. 중국의 수출전선에 이상이 생김에 따라 중국은 15일 이전까지 미중 1단계 무역합의를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예상했다. ◇ 미국 실업률 50년래 최저 : 이에 비해 미국의 실업률은 50년래 최저를 기록하는 등 미중 무역전쟁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소비 호황이 '일자리 잭팟'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일 미 노동부는 11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일자리 수는 26만6000개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당초 시장은 18만개 증가를 예상했다. 앞선 2개월 간 신규 일자리 수도 상향 조정됐다. 지난 10월은 당초 12만8000명에서 15만6000명으로, 9월은 18만 명에서 19만3000명으로 수정 집계됐다. 이로써 미국의 실업률은 3.5%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969년 이후 최저치다.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일자리 호황을 이끌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 최대 쇼핑시즌인 블랙프라이데이(11월29일)와 사이버먼데이(12월2일)의 온라인 매출은 각각 74억 달러(9조원), 94억 달러(11조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사이버먼데이 매출은 작년보다 20% 급증했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앤드류 헌터 이코노미스트는 "올초 다소 부진했던 미국 고용이 최근 다시 개선됐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연준의 금리인하로 완화된 금융환경이 경기를 떠받치기 시작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 美 양호한 고용지표로 무역협상 유리한 국면 : E트레이드의 마이크 로이벤가르트 이사는 "양호한 고용지표 덕분에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고 진단했다. 양호한 고용지표로 미국은 무역전쟁을 좀 더 끌고 갈 수 있는 여력을 얻었다. 이에 비해 중국은 경제의 핵심인 수출이 4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미국은 아직 무역전쟁을 수행할 여력이 있는데, 중국은 기초체력이 바닥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무역협상 타결을 서두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한편 미국은 15일까지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추가로 중국산 제품 1560억 달러(180조원)에 대해 1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2019-12-09 09:59:19
-
정부 "미·중 추가관세 부과로 시장 변동성 확대시 신속 대응"(종합)
[서울=뉴시스] 장서우 기자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9일 "미국과 중국, 양국의 협상 전개 양상에 따라 오는 15일 예정대로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금융·외환 시장의 변동성이 추가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내외 금융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면서 상황별 금융시장 안정 수단을 꼼꼼히 재점검하고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에 따라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는 15일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60억달러(약 185조5000억원) 규모 중국산 제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시점이다. 컨틴전시 플랜이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비상 계획을 뜻한다. 외환 시장 변동과 관련해서도 김 차관은 "투기 등에 따른 환율 급변동이 발생하면 적시에 시장안정조치를 실시한다는 외환 정책 기본 원칙을 일관되게 견지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 "미·중 무역 협상의 합의가 지연됨과 동시에 미국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프랑스에 대해 관세 부과를 시사하는 등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다소 확대되고 있다"며 "이달 들어선 주요국 주가와 신흥국 통화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주식시장에선 모건스탠리인터내셔널(MSCI) 지수 조정, 기업 실적 부진 우려 등으로 외국인 자금 유출도 일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불확실성이 클수록 폭넓은 시각과 긴 호흡에서 시장을 바라볼 것을 강조했다. 김 차관은 "외국인 주식자금 유출 확대는 미·중 무역 갈등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함께 5월, 8월, 11월 발생했던 MSCI 지주 조정이 중첩된 데 주로 기인한다"며 "5월과 8월 두 차례 MSCI 지수가 조정됐을 당시에도 조정이 마무리되고 미·중 갈등이 완화되면서 외국인 자금 흐름이 안정되는 등 금융 시장이 복원력을 보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주요 투자은행(IB)들이 향후 국내 증시 회복을 전망하며 한국 증시에 대해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며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기보다는 미·중 협상 전개 등 대외 여건 변화를 차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외환 시장 안정의 기반이 되는 외환 수급 여건은 현재 양호한 수준이며 향후에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나갈 것이란 전망이다. 김 차관은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1~10월 경상수지가 497억달러로, 상당한 규모의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증권자금도 채권을 중심으로 연간 10조원 내외의 순유입을 유지하고 있다"며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간한 연구보고서에선 글로벌 충격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한국의 자본 유출입 변동이 과거 대비 현격히 축소됐고, 채권 시장엔 오히려 자본이 유입되는 등 안전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그는 순대외채권과 외환보유액 등이 연이어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점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지난 6일 26bp(1bp=0.01%포인트)까지 하락하며 2008년 이후 최저치를 재차 경신한 점 등을 들어 대외 충격에 대한 우리 경제의 안전망이 견고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실물 경제와 관련, 김 차관은 "경상수지가 6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가고 있고 고용 측면에서도 뚜렷한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수출과 투자가 성장세를 제약하고 있어 내년 경기 반등의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한 민간 활력 제고가 필수적인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다수의 기관이 내년에는 글로벌 경제 성장률과 교역 등 대외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나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IMF는 올해 우리 경제가 2.0%, 내년에는 2.2% 성장할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2.0%, 2.3%로 전망한 바 있다. 김 차관은 "우리 수출과 투자 개선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에 대해 주요 전문 예측 기관들이 내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점진적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무디스(Moody's),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 국제신용평가사들도 내년 우리 경제가 올해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실물 경제 활력을 높이고 5대 분야(4+1) 구조개혁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2020년 경제정책방향'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라며 "이·불용 최소화 등을 목표로 재정 집행에 만전을 기함과 동시에 내년 회계연도 개시와 동시에 재정 집행이 가능하도록 올해 내 완료할 수 있는 재정 집행 사전 절차를 신속히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기재부를 포함한 관계부처는 매해 연말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와 함께 내년 중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경제정책들을 경제정책방향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다. 이르면 다음 주께 공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공감언론 뉴시스 suwu@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08:05:29
-
정부 "미·중 추가관세 부과시 시장 변동성 확대될수도…신속 대응"
[서울=뉴시스] 장서우 기자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9일 "미국과 중국, 양국의 협상 전개 양상에 따라 오는 15일 예정대로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금융·외환 시장의 변동성이 추가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내외 금융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면서 상황별 금융시장 안정 수단을 꼼꼼히 재점검하고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에 따라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컨틴전시 플랜이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비상 계획을 뜻한다. 외환 시장 변동과 관련해서도 김 차관은 "투기 등에 따른 환율 급변동이 발생하면 적시에 시장안정조치를 실시한다는 외환 정책 기본 원칙을 일관되게 견지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차관은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 "미·중 무역 협상의 합의가 지연됨과 동시에 미국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프랑스에 대해 관세 부과를 시사하는 등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다소 확대되고 있다"며 "이달 들어선 주요국 주가와 신흥국 통화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주식시장에선 모건스탠리인터내셔널(MSCI) 지수 조정, 기업 실적 부진 우려 등으로 외국인 자금 유출도 일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불확실성이 클수록 폭넓은 시각과 긴 호흡에서 시장을 바라볼 것을 강조했다. 김 차관은 "외국인 주식자금 유출 확대는 미·중 무역 갈등 등 대외 불확실성 확대와 함께 5월, 8월, 11월 발생했던 MSCI 지주 조정이 중첩된 데 주로 기인한다"며 "5월과 8월 두 차례 MSCI 지수가 조정됐을 당시에도 조정이 마무리되고 미·중 갈등이 완화되면서 외국인 자금 흐름이 안정되는 등 금융 시장이 복원력을 보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주요 투자은행(IB)들이 향후 국내 증시 회복을 전망하며 한국 증시에 대해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며 "과도한 불안감을 갖기보다는 미·중 협상 전개 등 대외 여건 변화를 차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융·외환 시장 안정의 기반이 되는 외환 수급 여건은 현재 양호한 수준이며 향후에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나갈 것이란 전망이다. 김 차관은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1~10월 경상수지가 497억달러로, 상당한 규모의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증권자금도 채권을 중심으로 연간 10조원 내외의 순유입을 유지하고 있다"며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간한 연구보고서에선 글로벌 충격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한국의 자본 유출입 변동이 과거 대비 현격히 축소됐고, 채권 시장엔 오히려 자본이 유입되는 등 안전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그는 순대외채권과 외환보유액 등이 연이어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점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지난 6일 26bp까지 하락하며 2008년 이후 최저치를 재차 경신한 점 등을 들어 대외 충격에 대한 우리 경제의 안전망이 견고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 차관은 "다수의 기관이 내년에는 글로벌 경제 성장률과 교역 등 대외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나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IMF는 올해 우리 경제가 2.0%, 내년에는 2.2% 성장할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각각 2.0%, 2.3%로 전망한 바 있다. 김 차관은 "우리 수출과 투자 개선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에 대해 주요 전문 예측 기관들이 내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점진적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무디스(Moody's),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등도 내년 우리 경제가 올해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고 부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uwu@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07:45:44
-
中 수출 급락, 무역협상 타결 서두를 수밖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11월 중국 수출이 예상외로 급락함에 따라 중국이 미중 무역협상 타결을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블룸버그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상 크리스마스 시즌을 앞둔 11월 중국 수출은 상승했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영향으로 올해 11월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11월 중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1.1% 하락했다. 특히 대미수출은 23% 급락했다. 전문가들은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0.8% 증가를 예상했었다. 이로써 중국의 수출은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에 비해 수입은 늘었다. 11월 수입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이 성의를 보이는 차원에서 미국의 농산물을 대거 수입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예컨대 중국은 이 기간 미국산 대두(콩)를 전년 대비 41% 많이 사들였다. 중국의 수출전선에 이상이 생김에 따라 중국은 15일 이전까지 미중 1단계 무역합의를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는 예상했다. 미국은 15일까지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추가로 중국산 제품 1560억 달러(180조원)에 대해 1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미중 협상팀은 기본적인 문제는 합의에 도달했지만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매입 규모를 두고 막판 진통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9-12-09 07:19:06
-
프랑스 "미국의 디지털세 보복? WTO에 제소할 것"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미국이 프랑스의 디지털세에 보복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프랑스 정부가 이 문제를 세계무역기구(WTO)에서 다루겠다고 나섰다. 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정경제부 장관은 프랑스3 텔레비전에 출연해 "정부의 디지털세 부과는 미국 기업 뿐 아니라 유럽연합(EU), 프랑스, 혹은 중국 기업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는 차별이 아니다"면서 "우리는 이를 국제재판소, 특히 WTO에 제소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 미국과 글로벌 디지털세를 논의할 의사가 있다면서도 기술(IT) 기업에 대한 세금은 동등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르메르 장관은 "OECD 차원에서, 모든 면에서 더 나은 합의를 도출한다면 우리는 마침내 글로벌 디지털세를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면서 "그러나 OECD 수준에서 합의가 불가능하다면 EU 차원의 논의가 다시 시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파올로 젠틸로니 EU 경제담당 새 집행위원이 이미 새로운 대화를 제안한 상태라고 부연했다. 프랑스 정부는 그동안 EU가 공동으로 디지털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아일랜드,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의 반대로 EU 차원 디지털세 도입은 실패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프랑스가 IT 기업에 부과하는 디지털세가 부당하다면서 24억달러(약 2조8000억원) 규모 프랑스산에 최대 100% 추가관세 부과를 경고했다. 지난 7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행정부가 IT 기업을 상대로 연 매출의 3%를 과세하는 디지털서비스세금(DST) 법을 발효한 데 대한 보복성 조치다. 프랑스의 디지털세는 매출 7억5000만 유로, 프랑스 내 매출 2500만 유로 이상인 IT 기업을 상대로 영업매출의 3%를 세금으로 부과하는 방안이다. 프랑스는 올해 1월부터 소급해 디지털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AFP 통신에 따르면 이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IT 기업은 총 30개로 대부분이 미국 기업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n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9 02:04:55
-
중국 11월 수출 감소, 왜 무역협정 원하는지 보여줘
중국의 11월 수출 규모가 예상 밖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미국의 관세로 인한 타격이 크며 왜 무역협정 체결을 원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8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중국 해관총서가 이날 공개한 통계에서 중국의 11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으며 특히 대미 수출은 23%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은 2월 이후 가장 부진했으며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연말 미국 성수기를 앞두고 0.8%가 증가할 것이라던 예상을 완전히 깬것이다.
중국은행(BOC) 국제금융연구소 연구원 왕유신은 앞으로 중국의 수출 전망이 무역협상 진전 여부에 달려있다며 1단계 협정이 맺어지고 관세가 철회된다면 수출이 다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근 두나라는 신장자치구와 홍콩 문제를 둘러싼 마찰에도 1단계 협정에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은 추가 관세가 부과되는 15일 전에 1단계 협정을 마무리 짓는 것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소식통들은 전하고 있다.
홍콩 맥쿼리증권의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 래리 후는 중국의 수입이 반등한 것은 단기적으로 중국 경제가 안정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미국으로부터 수입이 2.7% 늘었다며 협정 체결 전에 우호적인 제스처로 농산물을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올해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액수는 지난해에 비해 41% 증가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2019-12-08 20:43:21
-
정부, 경제심리 돌아오고 있다지만 대외여건 개선 '반짝 반등' 그칠 듯
경제심리가 지난달 2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내년까지 반등이 지속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외여건 개선으로 심리가 반등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국내 경기상황은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내년 경기전망을 봐도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분간 경제심리 개선 지속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경제심리지수(ESI)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상승한 91.1로 집계됐다. 지난 10월 23개월 만에 하락세가 멈춘 이후 11월에는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E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쳐 산출한 것이다. 경제주체인 기업과 소비자 심리를 보여준다. 계절적 요인, 불규칙 변동을 제거하면 ESI 순환변동치가 산출된다.
ESI가 반등하자 정부 측에서는 경제심리가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2일 SNS를 통해 "결코 낙관하자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경제심리 종합지표인 ESI가 개선세이고, 지난달 통계청의 산업활동 동향에서 소매판매지수가 전년동월 대비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반적 경제심리 평가나 전망은 정부 시각과는 다르다. 특히 현재의 반등 흐름 지속성에 대해 가능성을 낮게 본다.
경제심리 개선이 주로 외부효과로 이뤄진 부분이 크기 때문이다.
경제심리 반등을 이끌었던 CSI 상승 요인을 보면 미·중 무역협상 진전과 이에 따른 주식시장의 주가 호조였다. 현재 무역협상을 보면 미·중이 대립하고 있다 보니 불확실성이 높다는 것이 일반적 평이다. 따라서 무역협상 국면이 다시 분쟁 국면으로 전환된다면 국내 경제심리도 다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은에서도 경제심리 상승 전환에 대해 "ESI 순환변동치가 상승했지만 반등이라고 하기는 이르고 저점을 확인했다고 봐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결국 경제심리 반등세가 이어지면서 미·중 무역협상 타결 등 대외여건 개선과 함께 국내 경기나 지표 반등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한 차례 반등을 보였다고 경제심리 반등을 이야기하기는 이르다. 일시적 현상으로 지표를 해석해서는 안 된다"며 "내년 경제심리나 경기를 끌어올릴 요소가 사실상 재정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경제심리를 보면 '엘(L)'자 형태로 갈 것으로 본다. 더구나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선할 경우 유럽연합(EU)·중국과 충돌하면서 글로벌 교역이 더 악화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19-12-08 17:23:27
-
"中인프라투자, 성장둔화 완화…홍콩인권법 갈등은 리스크"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중국의 인프라 투자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면서 부진한 경제 성장세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홍콩 사태와 관련해 지속되고 있는 미·중간 갈등은 중국 경제의 추가적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8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중국 인프라 투자 동향 및 전망'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중국의 인프라 투자 증가율은 올 1~10월까지 4.2%로 지난해 3.8%보다 다소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인프라 투자는 전체 고정자산투자 중 22.2%를 차지하고 있다. 제조업(30.7%)보다는 비중이 적고 부동산(22.1%)보다는 높다. 인프라 투자가 회복된 것은 지방정부의 채권 발행이 확대된 가운데 중국 정부의 중소도시 육성 노력, 차세대 통신망 구축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5G 통신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기기 상용화를 위해 중국 정부가 대규모 기지국 설치를 추진하면서 통신·방송 관련 인프라 투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상하이은행(HSBC)에 따르면 신규 5G 기지국 수 전망치는 올해 117만5000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지하철 등 대중교통 관련 프로젝트가 대거 진행되고 있는 점도 인프라 투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중국의 인프라투자 증가율은 올해 4%대에서 5%대로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보고서는 "견조한 인프라 투자 수요가 향후 중국 경제의 성장 하방 압력을 어느정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장기화되고 있는 '홍콩 시위 사태'는 중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이라는 분석이다.'홍콩 민주주의 및 인권 법안'(홍콩 인권법)을 둘러싼 미·중간 갈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중국 정부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상하원을 통과한 홍콩 인권법에 직접 서명하자 미국 군함과 함재기의 홍콩 입항을 불허하는 조치를 발표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다만 현재 진행 중인 1단계 무역합의 도출과 홍콩 사태와는 양국 정부가 별개로 접근할 것이라는 평가도 존재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8 12:01:10
-
무역전쟁하는 것 맞아? 미국 50년래 최저 실업률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국의 실업률이 5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소비 호황이 '일자리 잭팟'으로 이어졌다. 얼마 전까지 시장을 공포에 떨게 한 '경기침체론'은 자취를 감췄다. 대중 관세폭탄이 예정된 15일 이전까지 1단계 미중 무역협상만 타결된다면 '산타랠리'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 미국 11월 실업률 3.5%…1969년 이후 최저 : 6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11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일자리 수는 26만6000개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당초 시장은 18만개 증가를 예상했다. 병원, 호텔, 학교 등에서 신규 인력을 대거 충원한 결과다. 앞선 2개월 간의 신규 일자리 수도 상향 조정됐다. 지난 10월은 당초 12만8000명에서 15만6000명으로, 9월은 18만 명에서 19만3000명으로 수정 집계됐다. 이로써 미국의 실업률은 3.5%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969년 이후 최저치다. ◇ 소비가 일자리 호황 이끌어 :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가 일자리 호황을 이끌었다. 미국 최대 쇼핑시즌인 블랙프라이데이(11월29일)와 사이버먼데이(12월2일)의 온라인 매출은 각각 74억달러(약 9조원), 94억달러(약 11조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사이버먼데이 매출은 작년보다 20% 급증했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앤드류 헌터 이코노미스트는 "올초 다소 부진했던 미국 고용이 최근 다시 개선됐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연준의 금리인하로 완화된 금융환경이 경기를 떠받치기 시작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변수는 제조업이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불확실성이 기업활동을 억누르고 있다. 11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는 48.1로 전월보다 0.2포인트 낮아졌다. 4개월째 위축 국면에 머물고 있다. PMI는 기업의 구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신규 주문, 생산, 재고 등을 토대로 발표되는 경기동향 지표다.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을 뜻한다. ◇ 양호한 고용지표로 무역협상 유리한 국면 : E트레이드의 마이크 로이벤가르트 이사는 "양호한 고용지표 덕분에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 더 유리한 위치를 확보했다"고 진단했다. 6일 뉴욕증시는 강력한 고용지표에 랠리를 이어갔다. 이날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37.27포인트(1.22%) 뛴 2만8015.06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0.9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00% 각각 상승했다. 세븐포인츠캐피탈의 마이크 카츠 파트너는 "시장이 강한 회복력을 보이며 조정 직후 항상 반등을 만들어내고 있다"며 "연말까지 추가 상승도 가능하다"고 낙관했다. 산타랠리를 기대해도 좋다는 것이다. ◇ 백악관 "중국과 합의 근접…" : 특히 미중이 오는 15일 무역협상을 타결한다면 미증시는 더욱 랠리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참모인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미국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합의가 임박했고, 11월 중순보다 협상 타결에 근접한 상황"이라며 "차관급 협상단이 주요 쟁점에 대해 매일 집중적인 논의를 갖고 있다"고 말해 무역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2019-12-08 09:07:00
-
대중 관세 부과일 앞두고 횡보 예상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코스피는 이번 주 미국의 대 중국 추가 관세 부과 예정일을 앞두고 미중 무역합의와 관련된 이슈로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일 코스피지수는 전주(2087.96) 대비 6.11포인트(0.29%) 내린 2081.85에 장 마감했다. 지수는 미중 무역협상과 관련한 잡음과 외국인의 수급이 부진해 하락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홀로 1조852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6083억원, 3357억원을 순매수했다. 21일간 지속된 외국인의 연속 순매도 랠리는 지난 2015년 12월2일부터 2016년 1월5일까지 22거래일 연속 순매도 이후 4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외국인은 지난달 7일부터 이달 5일까지 5조706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지난 22거래일 연속 매도 당시 외국인이 순매도한 규모(총 3조7000억원)를 넘어섰다. 외국인의 수급에 영향을 준 재료는 미중 무역협상 잡음으로 풀이된다. 외국인은 미중무역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된다는 소식에 코스피를 사들이고 부정적인 뉴스에 매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무역합의 불확실성이 지속하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지속적으로 작용했다"며 "외국인은 상대적으로 대외리스크에 취약한 한국 주식시장의 비중을 축소하며 코스피를 매도했다"고 분석했다. 증권업계는 이번 주 코스피가 2030~2120선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음주 미국이 대 중국 관세 예정일을 앞두고 이슈에 따라 움직이는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양국은 부분합의인 1단계 합의를 위해 협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5일 1560억달러(약 185조5000억원) 규모 중국산에 15% 관세를 부과한다고 예고한 바 있다. 여기에는 스마트폰, 장난감 등 소비재가 대거 포함된다. 미국이 예고했던 15일 관세를 철회하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지리라고 전망됐다. 하지만 최근 중국 관영언론은 기존의 관세도 철폐해야 합의가 가능하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3일 내년 미 대선 이후로 합의를 미룰 수 있다고 발언해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김병연 연구원은 "관세 유예 후 협상 지속, 관세 부과 이전 극적 타결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제기되며 관망세를 보일 것"이라며 "대선 이후 합의도 가능하다는 의견과 협상 타결 직전이라는 보도가 혼재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대중 관세 부과 여부가 최종 결정될 15일까지 관망심리가 이어질 수 있다"며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을 전망"이라고 전했다.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데드라인은 없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일(현지시간) 긍정적인 발언을 내놨다. 백악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발언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15일)부터 관세가 시행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그는 "두고 봐야 한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움직이고 있다. 그 부분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15일에 매우 중요한 논의를 할 것"이라면서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지만 아직 그것에 대해 논의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중국과 매우 좋은 논의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도 "미중 양국이 합의를 향한 교섭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 중이며 차관급 전화협의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9일(월) = 유로존 12월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발표 ▲10일(화) = 12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11일), 중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발표 ▲11일(수) = 한국 11월 실업률 발표,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12일(목) =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연설, 미국 11월 생산자물가지수,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13일(금) = 미국 11월 소매판매 발표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8 08:56:30
-
커들로 "미중 합의 15일 중요"
미국과 중국간 무역 합의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의 막판 대중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합의가 가깝다. 11월 중순보다도 훨씬 가까울 것"이라며 양국간 무역합의가 가까워졌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차관급이 다시 만났다. 건설적인 대화를 거의 매일 하고 있다. 사실상 (합의가) 가깝다"고 말했다.
그러나 커들로 위원장은 무역협상 1단계 타결 시기 관련 "임의적인 데드라인은 없다"면서 "12월 15일이 관세를 부과하느냐 마느냐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날짜로 남아 있다는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측에 좋은 합의여야 한다는 점을 여러번 언급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중국측의 전향적인 협상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국의 기술탈취 방지를 이행하는 조치가 좋지 않다면 더는 협상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라며 "그러면 우리는 (협상장에서) 걸어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콘텐츠부
2019-12-07 18:48:39
-
백악관 “무역합의 임박했으나 지재권 보장안하면 결렬”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국 백악관 핵심 참모가 중국과의 1단계 무역합의가 가까워졌으나 중국이 기술탈취 방지 등의 조건을 수용하지 않으면 합의를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 커들로 위원장 “기술탈취 중단 보장해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참모인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합의가 임박했고, 11월 중순보다 협상 타결에 근접한 상황"이라며 "차관급 협상단이 주요 쟁점에 대해 매일 집중적인 논의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커들로 위원장은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거래가 아니라면, 기술 탈취를 막는 조치에 대한 보장이 없다면 우리는 협상에서 떠나겠다고 여러 차례 말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협상에 마감시한은 없다"면서도 "12월15일은 우리가 대중관세를 부과할지 말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날이라는 사실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미국은 오는 15일까지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1560억 달러(약 180조원)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 15%의 추가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해왔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로부터 '15일 대중 추가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15일 무슨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관세 철회의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 농산물 거래 합의도 막판에 난항 : 커들로 위원장은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농산물 거래 규모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양측이 중국이 구매할 미국산 농산물의 규모를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연간 400억~500억 달러 규모로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중국이 미국에서 구매한 8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다. 미국은 또 중국이 이를 공개적으로 약속해야 하고, 시장의 상황에 상관없이 이 정도의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국은 이를 공개적으로 약속하는 것을 꺼리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매입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고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미중의 막판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으나 전체적인 분위기는 좋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 중국 미국산 돼지고기와 콩 관세 철폐 : 중국 정부는 미국산 돼지고기와 대두(콩)에 대한 관세를 철회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재무부가 6일 미국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수입 관세를 면제하겠다고 발표한 것. 중국 재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 개별 기업들의 관세 면제 신청서에 근거,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 등에 대해 수입 관세를 면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면제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먼저 성의를 표시한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2019-12-07 08:06:29
-
유럽증시, 미중 합의 희망· 美 고용 호조에 상승 마감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6일(현지시간)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합의에 대한 기대감과 미 고용 지표 호조에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영국 FTSE 100지수는 전날보다 101.81포인트(1.43%) 상승한 7239.66에 거래를 마쳤다. 프랑스 CAC 40지수는 70.36포인트(1.21%) 오른 5871.91에 장을 닫았다. 독일 DAX지수는 111.78포인트(0.86%) 뛴 1만3166.58을 기록했다. 글로벌 투자자들은 오는 15일 미국의 추가 대중 관세 부과일이 오기 전 미중이 무역 합의를 도출하길 바라고 있다. 미즈호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합의를 놓고 어떤 명확성도 없는 것이 사실이지만 협상과 관련된 이들이 '진전'에 관한 안심되는 발언을 하면서 희망을 불어넣고 긴장을 완화했다"고 분석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래리 커들로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 합의가 가깝다고 밝혔다. 다만 미국은 원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협상장을 떠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중국과의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11월 고용 지표가 우수하게 나온 점도 시장에 호재가 됐다. 이날 미 노동부는 지난달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26만6000개 늘었다고 발표했다. 또 11월 실업률이 3.5%로 직전달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는 50년 사이 최저 수준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7 02:47:48
-
中 경제성장률 하락세… 2년뒤 5.5%까지 추락 경고
중국 경제성장률이 2020년 5.7%를 넘어 2021년엔 5.5%까지 추락할 것이라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전망했다. 미국과의 관세갈등이 무역에 타격을 주고 사업투자를 약화시켜 일자리 위험에 빠트릴 것이라는 경고다. OECD는 지난달말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에서 중국에 대해 이같이 관측했다. OECD는 중국의 경우 회원국이 아니지만 국가별 경제전망을 내놓을 때 러시아 등과 함께 분석 후 결과를 내놓는다. 6일 OECD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 6.2%에서 2020년 5.7%로 0.5%포인트 내려간 뒤 2021년에는 다시 0.2%포인트 떨어진 5.5%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2012년 중국의 GDP 성장률은 7.9%였다. 이후 해마다 하락하더니 2015년 6%대로 접어들었고 내년부턴 6%대도 못 맞출 것으로 OECD는 내다봤다. 2021년 기준 OECD가 분석한 20개국(비회원국 포함) 가운데 2020년보다 GDP 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 국가는 중국과 러시아뿐이었다. 이마저도 러시아는 2015년 -2.3%에서 2018년 2.3%로 지속 상승하다가 올해부터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러시아 GDP 성장률 전망치는 2019년 1.1%, 2020년 1.6%, 2021년 1.4%다. 반면 세계 경제는 2020년에 올해와 같은 2.9%를 유지하다가 2021년 3.0%로 소폭 오를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은 2020년과 2021년이 동일한 2.0%였고 일본은 0.6%에서 0.7%로 0.1%포인트 상승하는 등 대부분 국가가 변동이 없거나 증가할 것이라고 OECD는 풀이했다. OECD는 중국 경제에 대해 "수출에서 내수 중심으로 경제구조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무역분쟁이 제조업 생산과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 수출의 경우 올해 3.7%에서 내년 1.8%로 반토막 난 뒤 2021년에 2.5%로 다소 회복할 것으로 봤다. 같은 기간 수입은 -1.7%에서 2.0%를 거쳐 1.7%로, 소비자물가는 2019년 2.5%, 2020년 2.2%, 2021년 2.9% 등으로 각각 관측했다. OECD는 "증가한 관세는 앞으로 수출의 확대를 제한하고 무역긴장과 글로벌 불확실성이 늘어나면서 성장이 약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부동산의 경우 대규모 건설이 계속돼 안정적이겠지만 새로운 주택시장은 점차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공실률은 잠재적으로 낮아질 수 있어도 수요가 많은 도시의 부동산 거품은 부풀릴 수 있다고 풀이했다. OECD는 "관세가 추가로 발표되면 2020년 중국의 GDP 성장률을 0.3~0.4%포인트 줄일 수 있다"면서 "성장률이 상승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은 무역긴장을 해소하는 것이며 이는 수출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생산과 투자를 늘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중국 베이징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 등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투자를 촉진하고 공정하며 규칙에 기반을 둔 거래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우리는 저성장의 장기적인 미래를 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OECD는 덧붙였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6 17:15:39
-
중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지수 0.43%↑
[베이징=신화/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증시가 6일 상승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0.43% 오른 2912.01로 장을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장 대비 0.81% 상승한 9878.62로,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차이넥스트는 전장 대비 0.99% 오른 1726.8로 거래를 마쳤다. 전장 대비 0.1% 오른 2902.28로 출발한 상하이지수는 오전장에서 등락을 반복했고, 오후장에서는 장마감을 앞두고 오름세를 보이다가 상승 마감했다. 이런 상승세는 미중 무역협상 달성 기대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날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산 대두와 돼지고기 등 일부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관세 면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3대지수 주간 상승폭은 1.39%, 3.09%, 3.72%다. 시장에서 모바일게임, 소비전자 등이 강세를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16:50:44
-
중국, 미국산 일부 농축산물 추가관세 면제
【베이징=조창원 특파원】중국이 미국산 일부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관세를 유예할 전망이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6일 미국에서 수입하는 일부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추가 관세를 유예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관세 대상 품목과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관세 유예 조치는 중국측의 두 가지 포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우선, 미국과의 무역협상 과정에서 타결을 끌어내기 위한 유화적 제스처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은 중국과 1단계 무역협상 타결의 조건으로 중국측의 미국산 농산물 대거 구매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구입할 경우 기존 관세 철폐를 요구하고 있어 여전히 쟁점 사항으로 남아 있다. 이번 농축산물 관세 유예 조치는 이같은 협상 갈등기류에서 긍정적 시그널로 읽힌다.
일각에선 미국과의 협상을 위한 카드인 동시에 자국내 수요의 필요성에 따른 조치라는 설명도 나온다. 실제로 중국 국무원은 "자국내 수요에 따라 중국 기업들은 자주적으로 시장화(시장원칙에 따른) 구매를 진행했고, 미국으로부터 일정 수량의 상품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2019-12-06 16:50:21
-
"대중국 추가관세 취소 가능성 높아...내년 하반기 세계경제 회복"UBS
[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세계 경제성장이 미-중 무역전쟁 완화 및 각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에 힘입어 2020년 하반기에 회복하기 시작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 투자전략실의 에이드리언 취허 아시아·태평양 자산배분팀장은 5일(현지시간) CNBC의 '거리의 신호들'(Street Signs) 프로그램에 출연해, "무역과 관련해 많은 불투명성이 경제성장 예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에게 부과하고 있는 관세가 기업들에는 가장 큰 위험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나 "현재 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며 내년 하반기 특히 4분기에는 세계 경제성장이 상당한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 10월 "1단계 합의"에 도달했지만 중국은 내년 미국 선거까지는 2단계 합의를 위한 회담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것인지 여부를 지켜보려 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내년 선거 이후에나 무역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취허는 "미국 경제는 실제로 둔화되고 있으며 미-중 간에 1단계 합의가 마무리돼 12월(15일) 추가로 부과될 예정이던 관세가 취소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이는 경제를 서서히나마 회복시키기에 충분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과 중국이 지난해 초 무역전쟁을 시작한 이후 아시아 경제는 하향 추세를 나타냈지만 무역만이 세계 경제둔화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며, 각국 중앙은행들이 경기 부양조치를 일부 취소한 것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취허 팀장은 그러나 2019년 말이 가까와지면서 중앙은행들이 다시 통화량을 늘리고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다면서 이는 세계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16:04:48
-
"中경제성장률 2년 뒤엔 5.5%까지 하락" OECD
[파이낸셜뉴스] 중국 경제성장률이 2020년 5.7%를 넘어 2021년엔 5.5%까지 추락할 것이라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전망했다. 미국과 관세 갈등이 무역에 타격을 주고 사업 투자를 약화시켜 일자리 위험에 빠트릴 것이라는 경고다. OECD는 지난달 말 ‘경제전망(OECD Economic Outlook)’에서 중국에 대해 이 같이 관측했다. OECD는 중국의 경우 회원국이 아니지만 국가별 경제전망을 내놓을 때 러시아 등과 함께 분석 후 결과를 내놓는다.
6일 OECD에 따르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올해 6.2%에서 2020년 5.7%로 0.5%포인트 내려간 뒤 2021년에는 다시 0.2%포인트 떨어진 5.5%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2012년 중국의 GDP 성장률은 7.9%였다. 이후 해마다 하락하더니 2015년 6%대로 접어들었고 내년부턴 6%대도 못맞출 것으로 OECD는 내다봤다.
2021년 기준 OECD가 분석한 20개국(비회원국 포함) 가운데 2020년보다 GDP성장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 국가는 중국과 러시아뿐이었다. 이마저도 러시아는 2015년 -2.3%에서 2018년 2.3%로 지속 상승하다가 올해부터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러시아 GDP성장률 전망치는 2019년 1.1%, 2020년 1.6%, 2021년 1.4%다.
반면 세계경제는 2020년에 올해와 같은 2.9%를 유지하다가 2021년에 3.0%로 소폭 오를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은 2020년과 2021년이 동일한 2.0%였고 일본은 0.6%에서 0.7%로 0.1%포인트 상승하는 등 대부분 국가가 변동이 없거나 증가할 것이라고 OECD는 풀이했다.
OECD는 중국 경제에 대해 “수출에서 내수 중심으로 경제 구조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무역분쟁이 제조업 생산과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해석했다. 중국 수출의 경우 올해 3.7%에서 내년 1.8%로 반 토막 난 뒤 2021년에 2.5%로 다소 회복할 것으로 봤다. 같은 기간 수입은 -1.7%에서 2.0%를 거쳐 1.7%로, 소비자물가는 2019년 2.5%, 2020년 2.2%, 2021년 2.9% 등으로 각각 관측했다. OECD는 “증가한 관세는 앞으로 수출의 확대를 제한하고 무역긴장과 글로벌 불확실성이 늘어나면서 성장이 약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부동산의 경우 대규모 건설이 계속돼 안정적이겠지만 새로운 주택 시장은 점차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공실률은 잠재적으로 낮아질 수 있어도 수요가 많은 도시의 부동산 거품은 부풀릴 수 있다고 풀이했다. OECD는 “관세가 추가로 발표되면 2020년 중국의 GDP성장률을 0.3~0.4%포인트 줄일 수 있다”면서 “성장률이 상승할 수 있는 주요 요건은 무역긴장을 해소하는 것이며 이는 수출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생산과 투자를 늘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엔젤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중국 베이징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 등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투자를 촉진하고 공정하며 규칙에 기반을 둔 거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결정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우리는 저성장의 장기적인 미래를 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OECD는 덧붙였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6 15:36:58
-
중국 "미국산 대두·돈육 등 추가관세 면제 작업 진행 중"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이 미국산 대두와 돼지고기 등 일부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관세 면제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중앙(CC) TV 등은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관련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이들 상품은 미국의 무역법 301조 관세 조치에 대응한 중국의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전했다. 관세세칙위원회는 “자국내 수요에 따라 중국 기업들은 자주적으로 시장화(시장원칙에 따른) 구매를 진행했고, 미국으로부터 일정 수량의 상품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또 “관세가 면제될 상품에 대해 (관련) 기업은 자주적 협상, 자체적 수입, 스스로 손익을 책임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9월 중국 관영 언론들은 관세세칙위원회가 미국산 제품 추가관세 부과 대상에서 대두와 돼지고기를 비롯한 일부 농축산물을 제외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당시 AP통신 등 미국 언론은 이를 미중 협상을 앞둔 '선의의 제스처'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 상무부는 5일 정례브리핑에서 미중 무역협상과 연관해 “미중이 1단계 합의를 달성한다면 상응하게 관세도 낮춰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또 “미중 양국 협상팀은 줄곧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현재 추가로 언급할 사안이 없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15:34:29
-
美 "농산물 6배 더 사가라" vs 中 "상황 따라 달라질수도"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국과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 매입 규모를 두고 막판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미국의 경제전문매체인 CNBC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은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연간 400억~500억 달러 규모로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중국이 미국에서 구매한 8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한다. 미국은 또 중국이 이를 공개적으로 약속해야 하고, 시장의 상황에 상관없이 이 정도의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국은 이를 공개적으로 약속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매입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고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미중의 막판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으나 전체적인 분위기는 좋다고 CNBC는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15일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며 관세 철회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들로부터 '15일 대중국 추가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과의 무역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지금 우리는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12월15일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며 "그러나 아직은 그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중국도 최근 미국이 홍콩 인권법에 이어 신장 인권법을 추진하자 미중 관계가 경색되고 있지만 무역협상은 궤도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 가오펑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미중 양국 협상팀이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며 “미국이 무역협상에 합의하려면 기존의 관세도 철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은 중국산 제품 3600억 달러에 대해 관세를 매기고 있다. 오는 15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나머지 1650억 달러에 대해서도 1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2019-12-06 14:46:25
-
美재무 "中, 세계은행 저금리 대출국에서 졸업해야"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세계은행(WB)의 중국 저금리 대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CNBC와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5일(현지시간)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미국 정부는 세계은행의 새로운 5개년 계획인 중국 저금리 대출 계획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므누신 장관은 '중국을 세계은행 대출 프로그램에서 졸업시켜야 한다는 것을 지지하느냐'는 공화당 소속 앤서니 곤살레스 하원의원의 질의에 "그렇다"며 이같이 답했다. 곤살레스 하원의원은 지난달 세계은행이 소득 수준에 따라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중국에 대한 자금 지원을 억제하는 법안을 냈으며, 지난 3일엔 트윗으로 "중국이 국제 시스템을 남용하는 것을 중단시켜야 한다"고 한 바 있다. 이는 미국이 1560억 달러(약 185조7800억원)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15일을 열흘 앞둔 시점에 나온 것이다. 므누신 장관은 중국의 소득이 증가한 만큼 세계은행이 저소득 국가에 제공하는 저금리 대출을 제공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세계경제에서 미국과 대등한 존재로 비춰지길 원하고 있으며, 더 이상 개발도상국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가 트럼프 행정부 재무차관으로 있을 때 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었다고 전했다. 또한 미국은 세계은행의 최대주주로 특정국가에 대한 대출 거부권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자금 할당이나 다른 이슈에 대해 거부권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 재무부는 미국이 세계은행의 새 계획에 반대 입장을 내거나 반대표를 던졌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세계은행은 중국에 대한 대출울 지난 2017년 24억 달러(약 2조8500억원)에서 올해 13억 달러(약 1조5400억원)로 줄었지만 므누신 장관은 더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 이사회는 5일 중국에 대한 저리 대출 계획안을 채택했다. 새 계획안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2025년 6월까지 중국에 연간 10억~15억 달러 규모의 대출을 저금리에 제공할 예정이다. 미국은 중국과 1단계 무역협상을 진행하는 동안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해왔다. 최근 '홍콩인권법'을 발효했고 '위구르인권법'은 하원에서 통과된 뒤 상원 표결과 트럼프 대통령 서명을 앞두고 있다. 이데 더해 세계은행에 중국에 대한 재정 지원을 압박하면서 무역협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NYT는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14:42:39
-
英BBC 원로 언론인, 존슨 총리 향해 "인터뷰 한번 합시다"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5일(현지시간) 영국 공영방송 BBC의 시사 프로그램 진행자 앤드루 닐(70)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를 향해 인터뷰에 응할 것을 압박했다. 좀처럼 집중 인터뷰나 토론 프로그램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존슨 총리를 향한 원로 언론인의 도발에 영국 언론들도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닐은 오는 12일 총선을 앞두고 주요 정당 대표들과 30여 분간의 인터뷰를 연달아 진행해왔다. 다만 존슨 총리는 닐과의 인터뷰를 거부한 상황이다. 이날 브렉시트당 대표 나이절 패라지와의 인터뷰를 마친 닐은 카메라를 응시하며 존슨 총리를 향해 메시지를 남겼다. 그는 "아직 늦지 않았다. 우리의 인터뷰는 준비돼 있다. 존슨 총리, 당신이 말한대로 '오븐은 달궈진 상태(Oven-ready)'다"고 했다. 존슨 총리는 지난달 한 라디오에 출연해 정부는 유럽연합(EU) 탈퇴 이후에도 세계 주요 국가와의 통상관계를 안정적으로 이어갈 자유무역협정(FTA)이 준비돼 있다며 "오븐은 달궈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시 영국 언론들은 정부의 지지부진한 FTA 비준 상황을 꼬집으며 존슨 총리의 현실 감각을 비판했다. 닐의 '오븐은 달궈졌다'는 표현은 존슨 총리를 다시 한번 꼬집으며, 동시에 자신은 인터뷰를 위한 확실한 준비를 마쳤음을 강조하는 효과를 냈다. 닐은 "우리의 질문을 관통하는 주제는 '신뢰'다"면서 "왜 많은 이들이 존슨 총리의 정치적, 그리고 언론인이자 비평가로서의 경력을 신뢰하지 않는가를 묻고자 한다. 나아가 그와 가까운 사람들조차 그를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는 이유를 말이다"고 했다. 그는 "어떤 방송사도 정치인의 인터뷰를 강요할 수는 없다"면서도 "리더의 인터뷰는 지난 수십 년 동안 BBC의 선거 보도의 핵심이었다"고 강조했다. 닐은 "우리는 여러분을 대신해 이 나라의 권력을 쥐고 있는 사람들들 정밀하게 조사하고, 그 책임을 묻는다. 바로 그것이 민주주의다"고 말을 이었다. 닐은 이어 존슨 총리를 위한 질문들을 열거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국민의료보험(NHS)에 대한 국민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는가' '미국과의 FTA 협상 내용을 공개할 예정인가' 등이 포함됐다. 그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총리는 미국의 트럼프, 러시아의 푸틴, 중국의 시진핑과 맞서야 한다"며 "그러니 고작 30분의 시간을 나와 보내달라는 요청은 결코 과도한 것이 아니다"며 말을 마쳤다. 영국의 시사 프로그램의 간판인 닐은 '정치인 인터뷰의 대가'라고 불리는 원로 언론인이다. 1973년 이코노미스트에 입사한 뒤 약 45년 동안 신문과 방송 등에서 종횡무진으로 활약하고 있다. 1988년에는 새롭게 개국한 '스카이 TV'의 회장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는 영국의 시사여론 주간지 스펙테이터 등을 보유한 프레스 홀딩 미디어 그룹의 의장을 맡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n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11:43:40
-
"왕이 방한, 한중 사드 그림자서 벗어날 신호" 中전문가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방한에 대해 중국 전문가들은 한중이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그림자에서 벗어날 신호라고 평가했다. 뤼차오 중국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5일 중국 관영매체인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전쟁, 한일 외교갈등 등을 감안할 때 한중 양국은 (왕 부장의 방한을 통해) 양자 관계회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한국 언론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국 국빈 방문이 내년 상반기쯤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면서 “한국 전문가는 만약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된다면 한중 양국 관계는 완전히 정상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이날 중국 외교부는 정례브리핑에서 “한국과 사드 문제를 계속 적절히 처리하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양국은 공동 인식에 따라 사드 등 한중 관계의 건강한 발전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계속 적절히 처리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정당한 우려를 존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 관변학자인 양시위 중국국제문제연구원 수석연구원도 지난 4일 왕 부장의 한국 방문에 대해 “한중 관계가 안정과 회복 단계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양 연구원은 “중국은 확고부동하게 양국의 공통 이익과 양국 정상이 달성한 공동 인식에 따라 한국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고, 중국은 양국간 문제들을 직시하고 조속히 해결해 나가려 한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은 한중 관계 발전의 중요한 변수라고 볼 수 없지만 사드 문제 등 미국적 요인은 확실히 한중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러나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한중 양국은 양자 관계 발전의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양자 관계를 대처하면서 충분한 자신감을 보여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10:22:19
-
트럼프, 무역협상에 긍정 발언…"중국과 좋은 논의 중"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데드라인은 없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긍정적인 발언을 내놨다. 이날 백악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발언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15일)부터 관세가 시행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그는 "두고 봐야 한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움직이고 있다. 그 부분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15일에 매우 중요한 논의를 할 것"이라면서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지만 아직 그것에 대해 논의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는 중국과 매우 좋은 논의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도 "미중 양국이 합의를 향한 교섭을 활발히 벌이고 있는 중이며 차관급 전화협의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5일 1560억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는 장난감 등 소비재가 대거 포함돼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양국의 타격이 크리라고 예상된다. 미중 양국은 부분합의인 1단계 합의를 위해 협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이 예고했던 15일 관세를 철회하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을 구매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지리라고 전망됐다. 하지만 최근 중국 관영언론은 기존의 관세도 철폐해야 합의가 가능하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3일 내년 미 대선 이후로 합의를 미룰 수 있다고 발언해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6 09:01:30
-
중국도 "미중 무역협상 잘 진행되고 있다"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중국이 미중 무역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고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은 최근 미국이 홍콩 인권법에 이어 신장 인권법을 추진하자 미중 관계가 경색되고 있지만 무역협상은 궤도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 가오펑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미중 양국 협상팀이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며 “미국이 무역협상에 합의하려면 기존의 관세도 철폐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낙관론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15일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며 관세 철회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 백악관에서 기자들로부터 '15일 대중국 추가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미중은 기존 관세 철폐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입을 두고 최종 조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입장은 15일 추가관세 부과를 하지 않을 테니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구입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이 연간 500억 달러의 미국산 농산물을 구입해 주길 바라며, 이를 문서화해주길 원한다. 지난해 중국이 미국에서 수입한 농산물은 86억 달러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중국은 추가 관세 유예뿐만 아니라 기존의 관세도 철폐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산 제품 3600억 달러에 대해 관세를 매기고 있다. 15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나머지 1650억 달러에 대해서도 1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2019-12-06 07:56:28
-
관세폭탄 D-10, 트럼프 관세 철회 가능성 시사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김서연 기자 = 미국이 1560억달러(약 180조원)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 대한 15% '관세폭탄' 발동을 예고한 15일(현지시간)을 열흘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며 관세 철회 가능성을 시사했다. ◇ 트럼프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두고 보자" :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5일 백악관에서 기자들로부터 '15일 대중국 추가관세가 예정대로 발효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두고 봐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과의 무역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지금 우리는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12월15일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며 "그러나 아직은 그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 므누신 "협상 궤도에 올랐다" :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날 미중 차관급 협상단이 주요 쟁점들에 대해 논의했다"며 "협상이 궤도에 올랐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일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듯, 우리는 올바른 거래를 하려고 하며 임의적인 마감시한 때문에 혼란을 겪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전날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 미중 무역협상단이 1단계 무역합의를 통해 철회할 관세의 규모를 놓고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양측은 구체적으로 어떤 관세를 철회할지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보장할 방안을 놓고 아직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 트럼프 전일 발언은 즉흥적 :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일 무역합의의 긴급성을 경시하는 듯한 발언을 했지만, 이는 즉흥적으로 나온 주장인 만큼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 영국 런던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의 양자회담에 앞서 기자들로부터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데드라인'(시한)이 있냐는 질문을 받고 "없다. 난 데드라인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어떤 면에서 중국과의 무역합의는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당신이 진실을 원한다면 내년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지금 합의를 하고 싶어 하고, 우리는 그 거래가 옳을지 그렇지 않을지 볼 것"이라며 "이 협상은 내가 타결을 원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같은 날 미국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미중 무역협상에서 실질적 진전이 없다면 오는 15일 대중국 추가 관세를 계획대로 부과할 것"이라고 밝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뒷받침했다. 이에 따라 뉴욕증시는 세계 자본시장은 충격을 받았었다. 미중 고위급 협상단은 지난 10월11일 미국 워싱턴 협상에서 1단계 무역합의, 이른바 '스몰딜'(부분합의)에 도달했지만 아직 합의문에 서명하진 못했다. 양국은 당초 11월 중 서명을 추진했지만 실무협상에서 관세 철회 문제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최종 타결이 미뤄지고 있다.
2019-12-06 06:50:50
-
中외교부 "美가 화웨이 의심하면, 우리는 보잉 의심"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5일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미국이 화웨이 등 중국 기업에 의혹을 제기한다면 우리도 미국의 보잉사를 의심하겠다"고 밝혔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화춘잉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 5G 공급업체에 대해 미국이 제기한 이른바 ‘안보 함정’ 주장은 매우 당당해 보이지만 사실 매우 황당하다”면서 “일부 미국인들의 논리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 회사 보잉에 대해 고도의 의심과 불신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또 "만약 미국 당국이 ‘괴상한 지령’ 내려 보잉 항공기의 엔진을 갑자기 꺼지게 했다고 생각한다면 중국이나 다른 국가들은 감히 미국이 생산한 비행기나 자동차, 전자제품을 살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이어 “영국 정부, 독일 정보안전 기관 및 유럽연합 위원회 등이 화웨이에 대해 조사를 했지만, '백도어(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컴퓨터의 기능이 무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컴퓨터에 몰래 설치된 통신 연결 기능)'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오히려 시스코, 애플 등 미국 기업들에게서 보안 허점이 존재하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화 대변인은 또 “우리는 각 국가들이 자국의 이익에 따라 독립적인 판단을 할 것으로 믿는다”면서 “관련국들은 공평, 공정, 무차별의 원칙에 따라 지혜를 발휘해야 하고, 미국이 주장하는 '안보함정‘에 빠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미중 무역 갈등에 대해서는 “무역전은 자신과 타인에게 모두 피해를 준다”면서 “무역전으로 결국 미국 국민들의 이익이 손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미중이 평등, 상호존중의 기초하에 호혜적인 협정을 체결하는 것은 미중 양국 국민의 이익과 국제사회 기대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화웨이는 이날 광둥성 선전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FCC가 화웨이를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미국 헌법과 행정소송법에 어긋난다”면서 “FCC를 상대로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제5 순회 항소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FCC는 지난달 22일 국가안보 위협을 이유로 미국의 중소 무선통신업체나 광대역통신 제공업체들에 대해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보조금을 화웨이나 ZTE(중싱통신)의 신규 장비 구매나 기존 장비 유지 비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결정했다. 5일 기자회견에서 쑹류핑(宋柳平) 화웨이 수석법무관은 “화웨이가 단지 중국 회사라는 이유로 제재를 받게 됐다”면서 “이는 사이버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쑹 법무관은 화웨이가 안보 위협이라는 증거를 FCC가 제시하지 못했으며 "지난 5월 화웨이를 거래 제한 명단에 올린 것과 마찬가지로 이번 역시 안보가 아닌 정치적 이유로 내려진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15일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통신장비 판매와 사용을 금지하고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어 미 상무부는 16일(현지시간) 화웨이와 68개 계열사를 거래 제한기업 명단에 올렸다. 이에 화웨이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당시 회사는 "(화웨이를 상대로 한) 이번 금지령은 전형적으로 공적인 권리를 박탈하는 법안으로 정당한 법적 절차에 위배된다"면서 "화웨이를 대상으로 한 대량의 조치는 우리를 미국 시장에서 쫓아내기 위한 행보이자 재판으로 입법을 대신하는 폭정"이라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7:51:26
-
‘널뛰는’ 美中 무역합의, 하루만에 다시 ‘낙관론’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연내 합의는 물 건너갔다는 분석이 나온 지 하루만에 다시 낙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전망이 엇갈리면서 관련 증시도 널뛰기를 하고 있다. 전날까지 하락했던 미·중 양국 증시는 상승으로 돌아섰다. 하지만 이런 오락가락 전망이 계속될수록 불확실성 우려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블룸버그통신은 4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미·중 무역협상단이 기존 관세의 완화 범위에서 합의점에 다가서고 있다"며 "미국 협상단은 오는 15일 미국의 추가 대중 관세 부과일 전에 중국과 1단계 합의를 마무리 지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보도했다. 여기서 말하는 합의점은 중국이 구매를 중단한 미국산 농산물, 미국이 중국에게 부과한 기존 관세의 철폐 등을 말한다. 미국산 농산물 구입을 어떻게 보장할지 여부와 기존 관세 중 어떤 품목을 철폐할지를 놓고 물밑 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15일까지 아무런 합의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예정대로 부과할 방침이라고 강조해 왔다. 외신들도 낙관론에 무게를 싣고 있다. 외신들은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무역협상에 개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백악관의 한 관리를 인용, "쿠슈너 보조관은 처음부터 이번 협상을 전반적으로 조율하는 과정에 참여해 왔으며 라이트하이저 대표와 므누신 장관의 노력을 지지해 왔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투자기업 칼라일그룹의 '사모펀드 억만장자'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회장도 "합의에 근접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루벤스타인 회장은 폭스비즈니스에 출연, 미중 무역협상 전망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내겐 내부 정보가 없고 내가 행정부를 대변할 수는 없지만 매우 근접했다고 생각한다"면서 "합의가 있으리라는 게 내 시각"이라고 답했다. 중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올해 안에 미중 무역 협상이 완료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중국의 입장은 매우 분명하다"면서도 "상호 존중과 평등한 논의에 기반을 두는 한 희망이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전날 미·중 무역분쟁과 관련한 전망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린 영국에서 기자들에게 "나는 데드라인이 없다. 여러 가지 면에서 중국과의 합의를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이 비관적 판단의 배경이다. 상황은 '긍정'으로 전환됐지만 불확실성 리스크는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CNN은 이날 미국 은행 엄프콰(Umpqua)에서 연매출 1000만~5억달러 수준의 자국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72%가 미중 무역분쟁으로 미래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OECD는 지난달 21일 경제전망(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2.9%로 전망하며 미중 무역갈등 등을 세계경제 주요 하방 리스크로 제시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5 17:37:51
-
中상무부 "1단계 합의 달성시, 상응하게 관세도 인하해야"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미중 무역협상이 난항 중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중국 상무부는 “미중이 1단계 합의를 달성한다면 상응하게 관세도 낮춰야 한다”고 밝혔다. 5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가오펑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가오 대변인은 또 “미중 양국 협상팀은 줄곧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현재 추가로 언급할 사안이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미국시간 4일)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협상팀이 기존 관세를 인하하는 범위에서 합의점에 다가섰으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가 예정된 오는 15일 이전에 1단계 합의가 마무리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추이톈카이(崔天凱) 미국 주재 중국대사는 4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중 기업협의회(USCBC) 연례행사 연설에서 “현재 미중 관계는 중요한 기로에 서있다”면서 “양국 협상팀은 의견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이 대사는 또 “미중 무역갈등이 복잡해지는 가운데 파괴적인 세력은 취약한 고리를 뚫고 들어오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7:07:27
-
널뛰기 미중 협상...하루만에 다시 낙관론, '불확실성' 리스크는 가중
[파이낸셜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연내 합의는 물 건너갔다는 분석이 나온 지 하루만에 다시 낙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전망이 엇갈리면서 관련 증시도 널뛰기를 하고 있다. 전날까지 하락했던 미·중 양국 증시는 상승으로 돌아섰다. 하지만 이런 오락가락 전망이 계속될수록 불확실성 우려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미·중 무역협상단이 기존 관세의 완화 범위에서 합의점에 다가서고 있다”며 “미국 협상단은 오는 15일 미국의 추가 대중 관세 부과일 전에 중국과 1단계 합의를 마무리 지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보도했다. 여기서 말하는 합의점은 중국이 구매를 중단한 미국산 농산물, 미국이 중국에게 부과한 기존 관세의 철폐 등을 말한다. 미국산 농산물 구입을 어떻게 보장할지 여부와 기존 관세 중 어떤 품목을 철폐할지를 놓고 물밑 협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15일까지 아무런 합의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 156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예정대로 부과할 방침이라고 강조해 왔다.
로이터통신도 낙관론에 무게를 싣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무역협상에 개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백악관의 한 관리를 인용, “쿠슈너 보조관은 처음부터 이번 협상을 전반적으로 조율하는 과정에 참여해 왔으며 라이트하이저 대표와 므누신 장관의 노력을 지지해 왔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투자기업 칼라일그룹의 ‘사모펀드 억만장자’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회장도 “합의에 근접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루벤스타인 회장은 폭스비즈니스에 출연, 미중 무역협상 전망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내겐 내부 정보가 없고 내가 행정부를 대변할 수는 없지만 매우 근접했다고 생각한다”면서 “합의가 있으리라는 게 내 시각”이라고 답했다.
중국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올해 안에 미중 무역 협상이 완료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중국의 입장은 매우 분명하다”면서도 “상호 존중과 평등한 논의에 기반을 두는 한 희망이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전날 미·중 무역분쟁과 관련한 전망은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열린 영국에서 기자들에게 “나는 데드라인이 없다. 여러 가지 면에서 중국과의 합의를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이 비관적 판단의 배경이다.
상황은 '긍정'으로 전환됐지만 불확실성 리스크는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CNN은 이날(현지시간) 미국 은행 엄프콰(Umpqua)에서 연매출 1000만~5억달러 수준의 자국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72%가 미중 무역분쟁으로 미래 불확실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OECD는 지난달 21일 경제전망(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2.9%로 전망하며 미중 무역갈등 등을 세계경제 주요 하방 리스크로 제시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5 16:15:40
-
마하티르 "한일, 협력의 길 찾아야...美에 트럼프 없는게 좋을듯"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가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일 관계에 대해 서로 대화하며 협력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마하티르 총리는 5일자 아사히 신문 인터뷰에서 한일 관계에 대해 "역사는 중요하나 과거의 대립이 현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립은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한국과 일본은 자리에 앉아 이야기 하라.(한국은)일본의 과거 사죄를 받아들이고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둘러싸고 "미국의 대통령이 위대한 미국을 재현하려는 것이 근본적 원인이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역 전쟁에 돌입하지 않아야 했으며, 제대로 협상해야 했다. 하지만 그(트럼프 미국 대통령)는 협상보다 대립과 무역전쟁을 선호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책임은 미국에 있다는 말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미중 갈등이 아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이 있다면서, 우선 중국에 투자하고 있던 미국 기업이 동남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부분을 꼽았다. 반면 무역 혼란을 발생시키고 있다고 부정적인 측면도 들었다. 마하티르 총리는 "각국에게 있어 무역과 관련된 비용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마하티르 총리는 미국 국민들에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를 촉구하면서 "우호국에 대해서 조차 이 정도로 잔혹하게 덤벼드는 대통령은 본 적이 없다. 트럼프 대통령이 없는 것이 미국에게 있어 좋은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미국 내에서는 나름대로 국민이 '미국 제일주의'를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미국은 이윽고 높은 대금을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마하티르 총리는 '높은 대금'이란 "다른 나라들이 미국을 더 이상 세계의 리더로 보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 거점화에 대해서는 "중국의 주장에는 정당성이 없다"면서도 "그럼에도 중국은 매우 강력한 나라로 갈등을 벌일 수 없다. 우리는 남중국해 상황에 있어서 중국과 이야기를 해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북미 협상에 대해서는 "북한이 어느 정도는 미국의 요구에 응하고 있는 것을 우선 평가해야 한다"며 "미사일 발사를 중지했을 때는 그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의 양보를 하나하나 평가하지 않는다면, 북한은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이것을 좋은 외교로는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한 때 내걸었던 '룩이스트' 정책에 대해 아직 한국, 일본에게 배울 것이 남아 있다면서 '일본의 실패'를 배울 점으로 꼽았다. 그는 "패전 후 일본은 평화를 바라고 공적적인 전쟁을 하지 않겠다고 헌법에 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미국의 강한 영향 아래에 있다. 공격적인 외교정책을 취하는 미국이 일으키는 분쟁에, 일본이 그 분쟁을 일으킨 것이 아님에도 휘말릴 가능성이 있는 것. 미국의 이익 만을 생각하면 아시아의 평화는 현실화 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5:56:30
-
주미 中대사 "미국 중국 막으려 제2 베를린 장벽 쌓고 있다"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가 “미국이 중국의 굴기를 막기 위해 제2의 베를린 장벽을 쌓고 있다”고 말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5일 보도했다. 추이 대사는 4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중미 비즈니스 협의회 연례행사에서 “미국이 중국의 부흥을 막기 위해 안보, 기술, 이데올로기 등 모든 분야에서 제2의 베를린 장벽을 쌓고 있다”며 “이는 새로운 냉전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이 홍콩인권법을 제정한 것과 관련, “중국은 홍콩과 신장 지역에 '일국양제'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지만 미국은 홍콩과 신장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추이 대사가 이같이 강경한 발언을 내놓은 것은 최근 미국이 홍콩 인권법을 제정한데 이어 신장 인권법도 추진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홍콩인권법에 서명함으로써 이 법이 발효됐다. 홍콩인권법은 미국이 홍콩의 자치 수준을 1년에 한 번 평가하고 홍콩의 자유를 억압하는 인물을 제재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어 미국 하원은 지난 3일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을 개선키 위한 법률을 표결에 붙여 찬성 407대 반대 1의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이 법안의 골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을 탄압한 인사들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것은 물론 이들의 자산을 동결하는 것이다. 미국이 무역전쟁은 물론 중국의 인권 문제를 집중 겨냥하자 추이 대사는 미국을 작심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2019-12-05 15:22:22
-
쿠슈너 무역협상 개입은 협상 타결 직전이라는 방증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위로 백악관 최고 실세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이 미중 무역협상에도 직접 개입하고 있어 무역협상 타결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이 5일 보도했다. ◇ 최고 실세 쿠슈너 미중 무역협상에 직접 개입 : 로이터 통신은 미국, 멕시코, 캐나다 무역협정(USMCA) 체결에 큰 역할을 했던 쿠슈너 선임고문이 최근 2주 동안 중국과 협상에 직접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쿠슈너 선임고문은 최근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 대사를 직접 만나 무역협상과 관련, 여러 차례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의 비밀채널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 개설됐다. 특히 이들은 오는 15일까지 무역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최근 2주간 수시로 만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치우톈카이 중국대사와 비밀채널 개설 : 현재 양측은 기본적인 합의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미국이 구체적으로 어떤 관세를 철회할 지와 중국이 미국산 농산물을 어떻게, 얼마나 구매할지에 대해 막판 의견조율을 벌이고 있다. 쿠슈너 선임고문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의 도움을 받아 처음부터 미중 무역협상에 간여해 오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집중적으로 협상에 개입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 쿠슈너 USMCA 타결도 주도 : 앞서 쿠슈너 고문은 미국 멕시코 캐나다의 새로운 무역협정인 USMCA 타결을 주도했다. 그는 막판에 이 협상에 직접 뛰어들어 협상을 매듭지었다. 당시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는 “쿠슈너 고문이 없었더라면 USMCA는 타결 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쿠슈너 고문은 이뿐 아니라 미국의 중동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등 미국의 핵심적인 대외정책에 모두 간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쿠슈너 고문이 미중 무역협상에 직접 개입하고 있는 것은 협상이 막판에 이르렀다는 방증이라며 미중이 15일 이전까지 무역협상을 타결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은 무역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15일부터 1560억 달러(약 180조원)의 중국산 제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천명한 상태다.
2019-12-05 14:17:25
-
"美, 중국과의 사이에 베를린장벽 세우려해"주미 中대사
[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추이톈카이(崔天凯) 미국 주재 중국 대사가 미국이 중국과의 사이에 "베를린 장벽"을 구축하고 있다며, 중국에 대한 미국의 강경 정책을 비난했다. 5일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추이 대사는 4일(미국 현지시간) 워싱턴 미중 기업협의회에서 무역과 투자, 홍콩, 신장위구르 자치구 등과 관련해 중국 정부를 비난하는 것은 뿌리깊은 편견에 기초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은 홍콩과 신장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유린을 이유로 중국 정부 관리들에게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채택했으며 16개월 간 계속되고 있는 무역전쟁을 해결하기 위한 양국 간 협상은 진전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추이 대사는 이날 칼라 힐스와 로버트 졸릭 등 2명의 전직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행한 연설에서 "일부 파괴적인 세력들이 현재의 무역 마찰을 이용하는 것을 경계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 간 분리, 신냉전, 문명 충돌과 같은 극단적 주장들이 난무하고 있다. 미국 내 일부 인사들은 중국 공산당과 중국 체제를 지목하며 양국 사이에 베를린 장벽을 재건하려 한다"고 말했다.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서명한 홍콩인권민주주의법은 홍콩이 무역 면에서 특별대우를 받을 것인지를 중단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3일에는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소수 무슬림들의 대규모 구금에 연루된 중국 관리들을 제재할 수 있게 하는 2019 위구르인권정책법이 미 하원을 통과했다. 한편 유엔 인권위원회는 지난 7월 위구르족 및 기타 무슬림들에 대한 대규모 자의적 구금을 즉각 중단한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3:55:47
-
"트럼프, 美와 이해충돌하게 中몰아붙여"졸릭 전 WB총재
[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국 정책은 중국을 미국의 국익과 충돌하는 병렬 방식(parallel system)으로 몰아붙일 위험을 안고 있다고 로버트 졸릭 전 세계은행(WB) 총재가 경고했다고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FT)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졸릭 전 총재는 4일 워싱턴의 미-중기업협의회(USCBC)에서 중국과 계속 충돌하는 백악관의 논리는 비효율적이고, 잘못된 추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졸릭은 "중국에 대한 많은 불만들을 이해하지만 우리는 지금 미국의 목표가 무엇이고 이(목표)를 어떻게 이룰 것인지 직시하지 못하는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질서의 틀안에서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일축함으로써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들은 미국과는 전혀 다른 규칙을 갖는 별개의 병렬 방식을 택하도록 중국을 몰아부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졸릭 전 총재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 분야를 분리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또 "모든 미국 내 중국 유학생들과 우리 시민인 중국계 미국인들을 의심의 눈초리로 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말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시절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국무부 부장관을 지냈던 졸릭의 이 같은 언급은 미국과 중국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오는 15일 시한이 며칠 남지 않았지만 양국 간 합의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고 두 나라 사이의 지정학적 경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경쟁을 강조하고 있지만 미국은 국제사회에서 중국에 압력이나 억제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중국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졸릭은 중국은 그저 "파괴자"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스스로를 그릇된 방향으로 이끌고 있으며, 외교에 있어 자기기만은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적대시하고 제로섬 계산에 빠지는 것은 미국과 중국은 물론 전세계에도 위험을 부르는 일"이라며 "중국이 제기하는 진정한 전략적 도전이 무엇인지 똑바로 파악하고 판단 착오라고 실수를 부를 수 있는 맹목적인 충돌에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btpwl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2:07:31
-
'트럼프 뒷담화' 트뤼도 "G7 개최지 깜짝 발표 얘기한 것"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기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뒷담화를 하는 듯한 모습으로 구설에 오른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당시 상황을 해명했다. 캐나다 국영 CBC에 따르면 트뤼도 총리는 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어젯밤, 나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전에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일 영국 버킹엄궁에선 트뤼도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등이 샴페인을 마시며 편안하게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촬영됐다. 이 영상에는 트뤼도 총리가 "그는 40분에 걸친 기자회견을 하느라 늦었다", "그의 팀원들의 턱이 바닥까지 떨어졌다(입이 떡 벌어졌다는 의미)"라고 발언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트뤼도 총리는 손으로 실제 턱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듯한 제스처까지 취했다. 공교롭게도 트럼프 대통령은 당일 트뤼도 총리의 정상회담 직전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했던 상황이었다. 이 때문에 트뤼도 총리의 영상 속 발언은 사실상 다른 나토 정상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험담을 한 것으로 해석됐다. 트뤼도 총리는 그러나 구체적으로 자신이 언급한 '입이 떡 벌어지는 상황'에 대해서는 "우리 모두 다음 주요7개국(G7) 정상회의가 캠프데이비드(미국 대통령 별장)에서 열리리라는 데 놀랐다"며 "예정에 없던 발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영상처럼, 다른 모든 정상들의 팀원들은 때때로 예정에 없던 '서프라이즈'에 입을 떡 벌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캠프데이비드 G7 정상회의 개최 발표에 놀란 상황을 묘사했을 뿐, 트럼프 대통령의 험담을 하진 않았다는 것이다. 트뤼도 총리는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 대해서는 "굉장한 회의를 가졌다"며 "캐나다인들에게 정말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미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으로 대체가 이뤄지고 있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비롯해 중국의 부상 등을 거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트뤼도 총리의 '뒷담화 논란'이 불거지자 트뤼도 총리를 향해 "위선적(two-faced)"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아울러 "그가 (나토 회원국 방위비 지출 목표인) 2%를 지불하지 않고 있다"고도 했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1:42:42
-
존슨 英총리 화웨이 배제 시사, 화웨이 최대 위기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보리슨 존슨 영국 총리가 차세대 이동통신(5G)에서 화웨이 배제를 시사하자 화웨이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영국은 그동안 화웨이가 가장 많이 공을 들여온 시장이고, 화웨이 문제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취해 왔기 때문이다. ◇ 존손 총리 “안보가 최우선” : 존슨 총리는 4일(현지시간) “안보가 최우선이기 때문에 ‘파이브 아이스’(Five Eyes, 정보를 공유하는 서방 5개국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와 공동보조를 취해야 한다”며 화웨이를 영국의 5G 사업에서 배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파이브 아이스 국가 중 미국, 호주, 뉴질랜드는 화웨이 배제를 선언한데 비해 캐나다와 영국은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존슨 총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담을 마친 뒤 가진 한 기자회견에서 “무엇보다 안보가 중요하다”며 “파이브 아이스 국가와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이 영국에 유리하다”고 밝혔다. ◇ 미국 영국 강하게 압박 : 앞서 미국은 영국에게 5G에서 화웨이를 배제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었다. 지난 5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영국이 5G에서 화웨이를 배제하지 않을 경우, 정보 공유를 더 이상 할 수 없다”며 영국에 화웨이를 배제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미 정부는 지난 5월 15일 중국의 스파이 활동에 쓰일 수 있다는 이유로 화웨이 장비 사용금지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후 파나소닉·구글 등 다국적 기업들이 화웨이와의 거래를 중단했지만 영국은 아직 5G 분야에서 화웨이 제품 사용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영국은 미국의 압박에도 5G 네트워크 건설에서 코어 네트워크(자료 이관을 총괄하는 네트워크) 부분을 제외하고 화웨이의 사업 참여를 허용할 방침이다. 그런 영국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최후통첩을 한 것이다. ◇ 영국이 캐스팅보트 쥐고 있어 : 미국이 강하게 영국을 밀어붙이고 있는 이유는 영국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미중 무역전쟁의 승부는 유럽이 어느 편을 들어주느냐에 따라 판가름 나게 돼 있다. 화웨이를 둘러싼 미중 IT전쟁도 마찬가지다. 유럽 중에서도 영국의 선택이 가장 중요하다. 영국이 선택하면 유럽도 따라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영국은 미국에 반한 의사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가장 좋은 예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건이다. AIIB는 아시아 국가의 사회간접자본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 주도로 설립된 국제금융기구다. 미국 일본 주도의 세계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을 견제하려는 성격이 강하다. 2014년 10월 참여 국가는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총 21개국뿐이었다. 한국은 미국의 눈치를 보느라 참여를 망설이고 있었다. 그러던 중 2015년 3월 영국이 AIIB 가입을 선언했다. 이후 한국은 물론 프랑스, 독일 등 선진국도 가입했다. 이에 따라 AIIB는 명실상부한 국제금융기구가 될 수 있었다. 영국이 캐스팅보트를 행사한 것이다. 화웨이도 이럴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런 영국 총리가 화웨이를 5G에서 배제할 수도 있다고 시사함에 따라 화웨이는 최대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2019-12-05 11:40:00
-
래리 서머스 "트럼프 무역정책, 총으로 자기 발 쏘는 전략"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래리 서머스 미국 전 재무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역효과를 내고 있다고 우려했다. 4일(현지시간) CNN은 서머스 전 장관이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과 관련해 "우리는 '네가 움직이면 내 발을 쏠 거야' 전략에 엮였다"고 비판했다고 보도했다. 상대국에 고율관세를 위협하는 건 출구 없이 스스로를 옭아매는 정책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서머스 전 장관은 "(트럼프 무역정책의) 역효과가 얼마나 클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노동자를 위해 무역 상대국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주장하지만, 서머스 전 장관은 고통받는 건 미국 경제라고 봤다. 그는 수입품에 의존하는 미국 생산자의 경쟁력을 관세가 해친다고 지적했다. 여기에는 자동차 제조업체와 와인 유통업체 등이 모두 포함된다. 그는 또 "불확실성은 경제 활동을 마비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철강, 알루미늄에 관세를 복원하고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내년 대선 이후로 미룰 수 있다고 밝혔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디지털서에 대응해 프랑스에 보복관세를 적용하겠다고 경고했다. 미국 제조업은 이미 침체기에 접어들었다고 CNN은 전했다. 전미공급관리자협회(ISM)에 따르면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1으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하락하며 넉달 연속 기준치 50에 못 미쳤다. 이 지수가 50을 밑돌면 경기수축, 웃돌면 경기확장을 뜻한다. 미국의 경영·인사 정보 제공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11월 제조업 일자리가 6000개 줄었다고 분석했다. 연일 미국 증시가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운 데 대해서도 "시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는 수준에 있다. 이는 통상적인 순간보다는 상황을 더 위험하게 만든다"고 짚었다. 투자자들은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해도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이 타격을 완화해주리라고 기대하고 있지만, 서머스 전 장관은 다른 의견을 냈다. 그는 이미 기준금리가 낮아 경기침체에 대응할 정책 여력에 제한이 있다고 봤다. 연준은 올해 3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해 1.50~1.75% 수준으로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을 향해 마이너스 금리를 촉구하고 있다. 반면 마이너스 금리를 시행한 일본과 유럽의 경기는 살아나지 않았다고 CNN은 전했다. 극단적인 마이너스 금리가 투자와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는 미미하고, 오히려 각 가구가 현금을 비축해두려 해서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마이너스 금리 이후 현금을 인출해 집에 보관하는 이른바 '장롱예금'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서머스 전 장관은 "사람들이 현금을 매트리스 아래에 비축해두기 때문에 그렇게 마이너스 금리로 갈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시절 재무장관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을 역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1:39:47
-
21일만에 돌아온 외국인…자금 유입 될까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외국인투자자가 미중 무역협상 낙관 전망에 5일 개장 이후 코스피에서 자금을 사들이고 있다. 이 매수세가 장 마감까지 유지된다면 지난달 7일 이후 21거래일 만에 첫 순매수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기준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527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기관과 개인은 각각 436억원, 111억원어치를 팔아치우고 있다. 20일간 지속된 외국인의 연속 순매도 랠리는 지난 2015년 12월2일부터 2016년 1월5일까지 22거래일 연속 순매도 이후 4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외국인은 지난달 7일부터 전날까지 20거래일 동안 5조18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지난 22거래일 연속 매도 당시 외국인이 순매도한 규모(총 3조7000억원)를 넘어섰다. 외국인이 장 마감까지 매수 우위를 유지한다면 외국인 순매도 랠리는 이날로 끝나게 된다. 외국인이 이날 코스피를 사들이고 있는 이유는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간 외국인은 미중무역협상이 긍정적으로 진행된다는 소식에 코스피를 사들이고 부정적인 뉴스에 매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 합의가 내년 미국 대선 이후까지 미뤄질 수도 있음을 시사하면서 증시가 하락 압박을 받아왔지만 미중 1단계 합의가 가까워졌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외국인도 순매수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사안을 잘 아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우려 속에서도 양측이 합의에 다가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측 협상단은 오는 15일 미국의 추가 대중 관세 부과일이 오기 전 중국과 1단계 합의를 마무리지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그동안 15일까지 합의를 보지 못할 경우 예정대로 156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강조해왔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는 무역협상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6.97포인트(0.53%) 상승한 2만7649.78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9.56포인트(0.63%) 오른 3112.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6.03포인트(0.54%) 뛴 8566.67에 장을 마쳤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협상이 잘 돼가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낙관적인 무역협상에 기대가 높아졌다"며 "추가관세 부과 가능성이 낮아져 국내 주식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장기적으로 외국인의 자금이 들어올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중 무역협상은 갈등 국면으로 언제든 전환할 수 있으며 대북 리스크도 불거지고 있는 상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11월 ADP 민간고용이 올해 5월 이후 가장 작은 폭인 6만7000명이 늘어나며 예상치를 밑돌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1단계 합의를 결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브라질, 아르헨티나 철강·알루미늄에 관세를 부과했던 사례와 같이 경쟁 제조국가에 어떤 식으로든 제재를 가하려 할 것"이라며 "한국 또한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더라도 자동차 관세 면제를 확신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10:57:18
-
美 사모펀드 억만장자 "최근 시진핑 만나…미중 합의 근접"
[서울=뉴시스] 김난영 기자 = 세계적인 투자기업 칼라일그룹을 이끄는 '사모펀드 억만장자'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회장이 올해 '1단계 합의' 무산 가능성까지 제기됐던 미중 무역협상에 대해 "합의에 근접했다"는 의견을 내놨다. 루벤스타인 회장은 3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에 출연, 미중 무역협상 전망을 묻는 진행자 질문에 "합의가 있으리라는 게 내 시각"이라고 답했다. 그는 "내겐 내부 정보가 없고 내가 행정부를 대변할 수는 없지만, (합의는) 매우매우 근접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특히 "그리 머지 않은 미래에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나는 최근에 중국을 방문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물론 많은 사람들과 회의를 가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마무리되고 있는 일이 있는 것 같다"며 "그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순 없겠지만, '1단계'가 될 것"이라고 했다. 루벤스타인 회장은 이어 "2단계가 언제가 될지 우리는 모른다"면서도 "만약 대통령이 이 문제를 매달고 재선에 나서길 원한다면 매우 놀라울 것"이라고 부연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대선 승리를 위해 그 전에 미중 무역분쟁 해결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루벤스타인 회장은 시 주석과의 회의 상황과 관련해서는 "행크 폴슨 전 미 재무장관,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비롯해 미국과 다른 나라에서 온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며 "아마도 30명 정도가 회의에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시 주석이) 질문을 받아 적고, 그들에게 대답을 했다"며 "미국과 균형있고 공정한 무역합의를 원한다는 자신의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휘둘리고 싶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루벤스타인 회장은 "(시 주석은) 좋은 무역합의가 양국 모두에 도움이 되리라는 점을 명백히 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08:22:59
-
"트럼프 발언은 즉흥적, 무역협상 잘되고 있다"-블룸버그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전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협상과 관련, “데드라인(마감시한)이 없다”고 말했지만 이는 즉흥적 발언일 뿐이며 미중 무역협상은 잘 진행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 미중 무역협상단이 1단계 무역합의를 통해 철회할 관세의 규모를 놓고 합의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다만 양측은 구체적으로 어떤 관세를 철회할 지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보장할 방안을 놓고 아직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미국 측 협상단은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가 예정된 오는 15일 이전까지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를 마무리 지을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일 합의의 긴급성을 경시하는 듯한 발언을 했지만 이는 즉흥적으로 나온 주장인 만큼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홍콩과 신장의 인권을 탄압하는 중국 공무원을 제재하려는 미국 의회의 법안 추진은 무역협상과 별개”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 영국 런던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의 양자회담에 앞서 기자들로부터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데드라인'이 있냐는 질문을 받고 "없다. 난 데드라인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어떤 면에서 중국과의 무역합의는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당신이 진실을 원한다면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선거는 내년 11월 미 대선을 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중국은 지금 합의를 하고 싶어 하고, 우리는 그 거래가 옳을지 그렇지 않을지 볼 것"이라며 "이 협상은 내가 타결을 원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으로 전일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하는 등 전세계 자본시장이 요동쳤다.
2019-12-05 07:29:59
-
트럼프 사위가 무역협상 직접 개입, 15일전 타결될 듯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이 미중 무역협상에 직접 개입하고 있어 무역협상이 15일 이전에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로이터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협상과 관련, “마감시한이 없다”며 시장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지 하루 만에 기류가 급변한 것. ◇ 쿠슈너 미중 무역협상에 직접 개입 : 로이터 통신은 미국, 멕시코, 캐나다 무역협정 체결에 큰 역할을 했던 쿠슈너 선임고문이 최근 2주 동안 중국과 협상에 개입하는 일이 많아졌다며 이같이 전했다. 쿠슈너 선임고문은 최근 추이톈카이 중국 대사를 만나 관련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 블룸버그, 15일 이전까지 타결 가능 : 미중 무역협상단이 기존 관세의 완화 범위에서 합의점에 다가섰다는 블룸버그통신의 보도도 협상 낙관론에 힘을 보탰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 미중 무역협상단이 1단계 무역합의를 통해 철회할 관세의 규모를 놓고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양측은 구체적으로 어떤 관세를 철회할 지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보장할 방안을 놓고 아직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미국 측 협상단은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가 예정된 오는 15일 이전까지 중국과 1단계 무역합의를 마무리 지을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 전일 트럼프 발언은 즉흥적 :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합의의 긴급성을 경시하는 듯한 발언을 했지만 이는 즉흥적으로 나온 주장인 만큼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영국 런던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 양자회담에 앞서 기자들로부터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데드라인'(마감시한)이 있냐는 질문을 받고 "없다. 난 데드라인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어떤 면에서 중국과의 무역합의는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당신이 진실을 원한다면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선거는 내년 11월 미 대선을 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쿠슈너 개입, 뉴욕증시 일제 상승 :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으로 전일 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했으나 쿠슈너 선임고문이 무역협상에 직접 간여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이날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6.97포인트(0.53%) 오른 2만7649.78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9.56포인트(0.63%) 오른 3112.76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46.03포인트(0.54%) 오른 8566.67로 거래를 마쳤다.
2019-12-05 06:59:32
-
뉴욕증시, 미·중 무역거래 기대에 상승 마감…다우 0.53%↑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미국 뉴욕 증시는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무역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확산되며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6.97포인트(0.53%) 상승한 2만7649.78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9.56포인트(0.63%) 오른 3112.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6.03포인트(0.54%) 뛴 8566.67에 장을 마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투자 전문가들 사이에서 미중 무역협상의 조기 타결에 대한 희망이 나오며 시장이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고 전했다. 특히 이날 블룸버그 통신이 미국 측 협상가를 인용해 "오는 15일 미 정부가 관세를 인상하기 전 중국과의 1단계 협상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보도 후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사자' 행렬이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이 1단계 합의를 내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로 늦출 수 있다는 발언으로 주요 증시가 급락했던 3일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투자사 브랜디와인 글로벌의 패트릭 카이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주식시장은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의해 움직인다"며 미국과 중국 모두 계속되는 무역 긴장으로 경제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미국 하원 법사위원회는 대통령 탄핵조사 공개 청문회를 시작했으나 시장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n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06:25:00
-
유럽 증시 상승 마감..."미중 무역 합의 가깝다" 희망 재개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4일(현지시간)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을 둘러싼 희망이 되살아나면서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영국 FTSE 100지수는 전날보다 29.74포인트(0.42%) 상승한 7188.50에 마감했다. 프랑스 CAC 40지수는 72.46포인트(1.27%) 오른 5799.68에 장을 닫았다. 독일 DAX지수는 151.28포인트(1.16%) 뛴 1만3140.57을 기록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 합의가 내년 미국 대선 이후까지 미뤄질 수도 있음을 시사하면서 증시가 하락 압박을 받았지만, 미중 합의가 가까워 졌다는 소식이 이날 전해지면서 시장에 희망을 불어넣었다고 AP통신은 분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사안을 잘 아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우려 속에서도 양측이 합의에 다가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측 협상단은 오는 15일 미국의 추가 대중 관세 부과일이 오기 전 중국과 1단계 합의를 마무리지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미국은 그동안 15일까지 합의를 보지 못할 경우 예정대로 156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강조해 왔다. 블룸버그통신은 한국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올해 안에 미중 무역 협상이 완료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중국의 입장은 매우 분명하다. 상호 존중과 평등한 논의에 기반하는 한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02:48:29
-
"미중 긴장 불구 무역 합의 가까워…美, 15일 전 합의 기대"
[런던=뉴시스] 이지예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우려 속에서도 양측이 합의에 가까워 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은 이달 중순 추가 관세 부과일이 오기 전 중국과 1단계 합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현지시간) 사안을 잘 아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미중 협상단이 관세 완화 규모를 놓고 합의에 다가서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최근 주장들이 협상이 결렬됐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미중은 홍콩과 중국 신장 자치구 문제를 둘러싼 긴장에도 불구하고 1단계 합의에서 철회할 관세 규모를 놓고 합의에 근접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합의의 긴급성을 경시하는 듯한 발언을 했지만, 이는 즉흥적으로 나온 주장인 만큼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들은 미국 측 협상단은 오는 15일 미국의 추가 대중 관세 부과일이 오기 전 중국과 1단계 합의를 마무리지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입을 보장할 방안과 구체적으로 어떤 관세를 철회할 지를 놓고 아직 논의 중이라고 알려졌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실과 중국 상무부는 이에 관한 논평에 즉각 응답하지 않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그러면서 한국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올해 안에 미중 무역 협상이 완료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중국의 입장은 매우 분명하다. 상호 존중과 평등한 논의에 기반하는 한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중 무역 협상에 대해 "어떤 면에선 중국과의 합의를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그들은 지금 합의를 하고 싶어 한다. 우리는 합의가 바람직하게 될지 안 될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협상을 하기 위한 시한을 설정해 놨냐는 질문에는 "나에겐 데드라인은 없다"고 답했다. 미중은 지난 10월 고위급 협상을 진행해 무역 갈등을 완화할 제한적 1단계 합의를 도출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서명할 합의문을 마련하기 위해 막바지 협상을 진행해 왔지만 최종 합의가 쉽게 성사되지 않고 있다. 미국 측은 중국과의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15일 예정대로 156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15% 추가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강조해 왔다.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15일까지 아무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면 미국의 대중 관세가 추가로 인상될 것이라고 2일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5 00:07:32
-
러·중 급부상에 무역 갈등까지..NATO 정상 전방위 ‘불협화음’
출범 70주년을 맞아 한자리에 모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들이 조직의 비전과 방위비 분담 등을 놓고 불협화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들의 분열은 러시아와 중국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무역 갈등까지 겹쳐 더욱 커질 전망이다. 북미와 유럽의 나토 29개 회원국 정상들은 3일(현지시간)부터 영국 런던에서 정상회의 일정을 시작했다. 3번째로 참석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다음날 본회의에 앞서 각국 정상들과 기자들을 만나 나토 방위비 분담 및 시리아, 터키 문제 등에 대해 갑론을박을 벌였다.
■차분하게 찔러댄 트럼프
지난 2차례 회담에서 유럽 동맹들에게 싸움을 걸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서 이전에 비해 사뭇 부드러운 모습을 보였다. 그는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 만난 자리에서 "나토는 우리 이전에 전혀 바뀌지 않았지만 지금은 진정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회동에서도 "나토는 과거와 달라지고 있고 과거보다 훨씬 크고 강해졌다"고 칭찬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백악관측에서 탄핵정국이 진행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노고를 강조하려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 동맹들과 싸움을 피한 것도 이러한 계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본래 기질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다. 그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회동에서 "일부 (방위비가) 크게 연체된 국가들이 있다"며 자신의 요구(국내총생산 대비 4% 지출)에 크게 뒤떨어지는 회원국에게 무역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마크롱 대통령과 회동에서도 돈문제를 꺼냈지만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의 요구를 수긍하면서 방위비를 늘리겠다고 답했다.
이후 두 정상은 시리아 문제를 비롯해 나토의 비전을 두고 실랑이를 벌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동 전에 지난 11월 마크롱 대통령이 "나토가 뇌사상태에 빠졌다"라고 말한 것을 지적하며 "매우, 매우 못된 발언"이라고 말했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회동에서 지난 10월 미국의 일방적인 시리아 철군을 암시하며 나토의 전략 목표가 흐트러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고국에 송환되지 않은 유럽 출신 이슬람국가(IS) 포로들을 언급하고 "좋은 IS 전사가 필요한가? 내가 줄 수 있다. 필요한 만큼 가져가라"라며 가시 돋친 농담을 건넸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진지하게 이야기하자"며 "당신의 최우선 해결 과제는 외국인 IS 포로가 아니다"고 응수했다.
■외부위험·무역전쟁 함께 걱정해야
이날 두 정상의 주요 논점 중 하나는 러시아산 방공 미사일(S-400)을 구입한 터키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나토 회원국이 서방무기와 러시아 무기를 함께 쓰는 상황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러시아로 나토 기술이 빠져나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지난해까지만 해도 터키를 제재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갑자기 태도를 바꿔 터키를 옹호했다. 그는 터키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미국 무기를 팔지 않아서" 러시아 무기를 샀다며 터키가 IS 격퇴에 도움을 많이 줬다고 주장했다.
이날 나토의 걱정거리는 러시아뿐만이 아니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런던 연설에서 "우리는 이제 중국의 부상이 모든 동맹들에게 안보적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록 나토의 영향력이 대서양 연안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중국이 극지방과 아프리카, 특히 온라인 공간에서 세력을 넓히면서 나토의 문턱까지 왔다고 지적했다. dpa통신을 비롯한 외신들은 나토가 14일 본회의를 끝낸 뒤 사상 처음으로 공동선언문에 나토를 향한 중국의 '도전'에 대해 언급한다고 보도했다.
이 와중에 나토 회원국의 갈등은 무역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이 이달 2일 프랑스의 디지털세 과세 맞대응으로 보복관세 부과를 선언한 점에 대해 "조국과 유럽의 이익을 보호할 각오가 되어 있다"며 대응조치를 예고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성명을 내고 "EU가 프랑스와 하나처럼 행동하겠다"고 선언했다. 평소 트럼프 대통령의 맹우로 알려진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또한 3일 기자들과 만나 "무역전쟁은 좋은 것이 아니다"라며 EU 입장을 옹호했다.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디지털세 도입을 앞두고 있는 그는 "대형 IT 기업들이 영국에서 벌어들이는 막대한 수입과 운영, 세금을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2019-12-04 18:08:20
-
다시 장기전 돌아선 美中합의..추가 관세부과 단행 가능성도
【 베이징·서울=조창원 특파원 송경재 기자】 연내 기대됐던 미중 1단계 무역협상 타결이 힘들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미국의 대중 강경 행보가 가속화되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은 장기전 모드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오는 15일 예고된 대중 추가 관세부과가 단행될 가능성도 높아졌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중국과 무역합의는 내년 11월 대통령 선거 이후가 될 수도 있다며 배수진을 쳤다. 1단계 무역협상 합의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합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넓게 잡아 신경전을 예고했다. 특히 자신의 정치적 명운을 걸고 중국과 파열음을 일부러 조성하는 분위기다. 자신이 재선되지 않으면 미국이 유리한 조건으로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다른 나라들에 미국 시장을 모두 내주게 될 것이라는 점을 유권자들에게 강조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내 정치권과 일반 여론도 중국과의 강대강 협상을 지지하는 분위기로 쏠리고 있다. 미국 일부 대중 수출입 업체와 소비자들의 불만이 있었지만 중국과 협상과정에서 확실한 협상 승리를 원하는 쪽으로 여론분위기가 쏠리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이 중국과 무역협상에서 적임자라는 입장과 일반 여론 사이에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형국이다.영국 BBC 방송은 중국의 스파이 행위나 지적 재산권 탈취 등 부적절한 관행에 대한 문제의식을 미국 정치권 전반이 공유하고 있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양보해야 할 정치적 동기가 없다며 장기전 가능성을 보도했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마켓워치도 "미중 합의를 2020년 대선 이후로 미루는 건 트럼프의 재선과 미국을 위해 좋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심지어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 연구진이 중국의 보복으로 중국 시장 진출이 막힌 옥수수·대두 농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0%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을 여전히 지지한다는 결과도 나왔다.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인권법 서명에 이어 미국 하원이 중국의 또다른 아킬레스건인 신장위구르 무슬림 인권탄압을 비난하는 '2019 위구르인권 정책법안(위구르인권법)'을 통과시키는 등 대중 압박 수위도 전방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중국 역시 장기전을 대비한 각종 대안책을 마련중이다. 자국의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대규모 인프라 지원을 통한 재정확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대미 반격 카드도 검토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이기주의를 앞세워 미국 동맹에도 서슴없이 관세카드를 꺼내는 점을 감안해 대미 압박 연대도 모색하는 모습이다.이와 관련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설에서 미국의 관세 보복에 맞서 중국과 주요 서방국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세계 경기가 침체국면을 보이는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전은 세계 경제회복에 치명타가 될 전망이다. 당장, 미국 제조업 경기는 11월까지 4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부과한 관세 수입이 늘었다고 자랑한다. 그러나 관세부과는 수입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 jjack3@fnnews.com
2019-12-04 18:08:12
-
홍콩 증시, 미중협상 불투명에 속락 마감...H주 0.98%↓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홍콩 증시는 4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무역협상 합의를 2020년 11월 대선까지 미룰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투자 심리가 악화해 속락 마감했다. 항셍지수는 이날 전일 대비 328.74 포인트, 1.25% 밀려난 2만6062.56으로 폐장했다. 10월10일 이래 2개월 만에 저가권으로 떨어졌다. 홍콩 증시 상장 중국기업주 중심의 H주 지수는 전일보다 101.83 포인트, 0.98% 내린 1만254.09로 거래를 끝냈다. 미국과 중국 간 갈등 확산에 대한 우려로 뉴욕 증시가 약세를 보인 여파가 홍콩 시장에도 파급해 매도를 선행했다. 중국 위구르족 인권 문제를 둘러싼 미중 갈등으로 미중 교섭의 향방에 대한 불투명감이 증폭했다. 항셍지수를 구성하는 50개 종목 가운데 48개가 하락했다. 시가 총액 최상위 중국 인터넷 서비스주 텅쉰(騰) HD는 0.7%, 유방보험 1.7%, 영국 대형은행 HSBC 1.6% 각각 떨어졌다. 중국핑안보험도 1.5%, 중국 국유 3대 은행은 0.3~1.1% 각각 내렸다. 스마트폰 관련주 역시 약세를 면치 못했다. 광학부품주 순위광학이 3.5%, 음향부품주 루이성 과기 3.7%, 추타이 과기 3.9%, 비야디 전자 3.2% 급락했다. 상장 7거래일째를 맞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1.8% 떨어졌다. 4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고점 대비 7.7% 내렸다. 거래액은 36억6000만 홍콩달러이며 시가 총액도 4조400억 홍콩달러로 주저앉았다. 생활 사이트주 메이퇀 뎬핑이 3%, 스마트폰 제조주 샤오미는 0.1% 하락했다. 홍콩 경기를 반영하는 구매관리자 지수(PMI) 부진에 청쿵실업, 신세계발전과 신허치업, 항룽지산, 선훙카이 지산발전, 링잔 등 홍콩 부동산주가 동반 약세를 면치 못했다. 반면 중국 자동차주 지리 HD는 상승했다. 중국 통신주 중국롄퉁은 보합을 기록했다. 메인보드 거래액은 718억5700만 홍콩달러(약 10조9553억원)로 집계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4 18:07:22
-
中외교부 "美패권주의, 멍청한 강도짓...두고 볼 수없는 상황"
[서울=뉴시스] 문예성 기자 = 미국 하원이 중국의 신장위구르 무슬림 인권탄압을 비난하는 '2019 위구르인권 정책법안(이하 '위구르인권법)‘을 통과시킨데 대해 중국 정부는 자국의 발전을 억제하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화춘잉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우리의 주권과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다”면서 “홍콩 문제, 신장 문제를 악용해 중국이 발전하고 강대해지는 것을 막으려는 시도는 허황된 망상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최근 미국의 행보는 가만히 두고 볼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미국의 패권주의 행보는 매우 불합리하고 멍청하며 잘못된 강도짓"이라고 강력 비난했다. 이어 그는 "중국은 말하면 말한대로 한다”면서 "미국은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홍콩, 신장 문제에 대한 미국의 행보가 미중 무역협상에 영향을 미칠지라는 질문에는 직접적인 답변을 피하면서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이에 대해 “양국은 평등과 상호존중의 정신에 따라 평등호례, 상호 수용가능한 합의를 달성해야 한다"면서 "중국은 이런 합의가 영구적이고 양국 국민 공동의 이익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중국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미 하원의 이른바 위구르 인권법안 통과는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 원칙에 어긋난 것이자 중국 내정에 대한 엄중한 간섭”이라면서 강력한 비난과 반대를 표한 바 있다. 외교부는 “신장문제는 근본적으로 인권, 민족, 종교의 문제가 아니라 반테러, 반분리 사안”이라면서 “신장자치구 과거 극단주의와 테러의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자치구 정부의 테러 척결 조치로 지난 3년동안 자치구 내에서는 한차례 테러 공격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자치구의 테러척결 조치는 2500만명 주민들의 보편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면서 “국제사회도 중국 정부의 대(對) 신장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장 문제는 순수 중국 내정으로 그 어떤 국가도 간섭해서는 안 된다”면서 “중국에 대한 의도적인 비방은 테러 척결에 대한 미국의 '이중잣대'를 보여주게 되고, 중국 국민들은 미국의 위선과 음흉한 속셈을 더 확인할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주권과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하려는 중국 정부와 인민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면서 "미국은 신장 문제를 이용해 중국 내 민족 관계를 이간질하고, 신장의 안정과 번영을 파귀하며, 중국의 발전을 억제하려는 시도는 절대로 성공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미국이 즉각 잘못을 시정하고 신장 관련 법 제정을 중단하며 신장 문제를 이용해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일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면서 "중국은 형세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반응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이날(미국시간 3일) 미 하원은 위구르인권법을 표결에 부쳐 찬성 407표, 반대 1표의 압도적인 표차로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신장위구르에 거주하는 소수족 탄압에 역할을 한 중국 고위 관리들을 제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9월 상원에서 가결됐던 법안보다 더 강력한 내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법안이 상원 안과의 통합과정을 거쳐 재표결에서도 통과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할 경우 즉시 발효된다. 미 상·하원은 내용 조정을 거쳐 최종 확정된 법안을 연말까지 마련해 통과시킬 계획이다. 중국 외교부, 전인대 외사위원회, 정협 외사위원회, 국가반테러판공실, 신장자치구 정부 등 8개 정부 기관이 성명을 통해 미 위구르 인권법 통과를 규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phis73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4 18:05:13
-
70주년 맞는 나토, 외교-경제 전방위에서 '불협화음'
[파이낸셜뉴스] 출범 70주년을 맞아 한자리에 모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들이 조직의 비전과 방위비 분담 등을 놓고 불협화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들의 분열은 러시아와 중국이 급부상하는 가운데 무역 갈등까지 겹쳐 더욱 커질 전망이다.
북미와 유럽의 나토 29개 회원국 정상들은 3일(현지시간)부터 영국 런던에서 정상회의 일정을 시작했다. 3번째로 참석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다음날 본회의에 앞서 각국 정상들과 기자들을 만나 나토 방위비 분담 및 시리아, 터키 문제 등에 대해 갑론을박을 벌였다.
■차분하게 찔러댄 트럼프
지난 2차례 회담에서 유럽 동맹들에게 싸움을 걸었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서 이전에 비해 사뭇 부드러운 모습을 보였다. 그는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 만난 자리에서 "나토는 우리 이전에 전혀 바뀌지 않았지만 지금은 진정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마크롱 대통령과 회동에서도 "나토는 과거와 달라지고 있고 과거보다 훨씬 크고 강해졌다"고 칭찬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백악관측에서 탄핵정국이 진행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노고를 강조하려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 동맹들과 싸움을 피한 것도 이러한 계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본래 기질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다. 그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회동에서 "일부 (방위비가) 크게 연체된 국가들이 있다"며 자신의 요구(국내총생산 대비 4% 지출)에 크게 뒤떨어지는 회원국에게 무역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마크롱 대통령과 회동에서도 돈문제를 꺼냈지만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의 요구를 수긍하면서 방위비를 늘리겠다고 답했다.
이후 두 정상은 시리아 문제를 비롯해 나토의 비전을 두고 실랑이를 벌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동 전에 지난 11월 마크롱 대통령이 나토가 "뇌사상태에 빠졌다"라고 말한 것을 지적하며 "매우, 매우 못된 발언"이라고 말했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회동에서 지난 10월 미국의 일방적인 시리아 철군을 암시하며 나토의 전략 목표가 흐트러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고국에 송환되지 않은 유럽 출신 이슬람국가(IS) 포로들을 언급하고 "좋은 IS 전사가 필요한가? 내가 줄 수 있다. 필요한 만큼 가져가라"라며 가시 돋친 농담을 건넸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진지하게 이야기하자"며 "당신의 최우선 해결 과제는 외국인 IS 포로가 아니다"고 응수했다.
■외부 위험과 무역전쟁 함께 걱정해야
이날 두 정상의 주요 논점 중 하나는 러시아산 방공 미사일(S-400)을 구입한 터키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나토 회원국이 서방무기와 러시아 무기를 함께 쓰는 상황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러시아로 나토 기술이 빠져나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지난해까지만 해도 터키를 제재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갑자기 태도를 바꿔 터키를 옹호했다. 그는 터키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미국 무기를 팔지 않아서" 러시아 무기를 샀다며 터키가 IS 격퇴에 도움을 많이 줬다고 주장했다.
이날 나토의 걱정거리는 러시아뿐만이 아니었다. 스톨텐베르그 사무총장은 런던 연설에서 "우리는 이제 중국의 부상이 모든 동맹들에게 안보적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록 나토의 영향력이 대서양 연안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중국이 극지방과 아프리카, 특히 온라인 공간에서 세력을 넓히면서 나토의 문턱까지 왔다고 지적했다. dpa통신을 비롯한 외신들은 나토가 14일 본회의를 끝낸 뒤 사상 처음으로 공동선언문에 나토를 향한 중국의 '도전'에 대해 언급한다고 보도했다.
이 와중에 나토 회원국의 갈등은 무역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이 이달 2일 프랑스의 디지털세 과세 맞대응으로 보복관세 부과를 선언한 점에 대해 "조국과 유럽의 이익을 보호할 각오가 되어 있다"며 대응조치를 예고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도 성명을 내고 "EU가 프랑스와 하나처럼 행동하겠다"고 선언했다. 평소 트럼프 대통령의 맹우로 알려진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또한 3일 기자들과 만나 "무역전쟁은 좋은 것이 아니다"라며 EU 입장을 옹호했다.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디지털세 도입을 앞두고 있는 그는 "대형 IT 기업들이 영국에서 벌어들이는 막대한 수입과 운영, 세금을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2019-12-04 16:02:13
-
코스피, 外人 20일째 순매도…2060선 '뒷걸음'
[서울=뉴시스] 류병화 기자 = 코스피가 외국인의 순매도에 2060선으로 밀렸다. 외국인은 20거래일 연속으로 순매도했다. 4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2084.07)보다 15.18포인트(0.73%) 내린 2068.89에 마감했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3% 내린 2070.84에 출발해 장중 낙폭을 늘리며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3769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3205억원, 316억원을 순매수했다. 20일째 지속되고 있는 외국인의 연속 순매도 랠리는 지난 2015년 12월2일부터 2016년 1월5일까지 22거래일 연속 순매도 이후 4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1.96%), 증권(0.37%), 서비스업(0.25%)을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종이목재(-2.08%)의 낙폭이 가장 컸으며 화학(-1.77%), 비금속광물(-1.58%), 섬유의복(-1.5%), 의료정밀(-1.23%), 전기전자(-1.21%), 제조업(-1.11%), 통신업(-1.04%), 철강금속(-0.97%) 등이 뒤를 이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하락 마감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450원(0.90%) 내린 4만9450원에 장 마감했다. SK하이닉스(-1.27%), 삼성바이오로직스(-0.63%), 셀트리온(-2.01%), LG화학(-4.20%), 신한지주(-0.23%) 등이 내렸다. 네이버(1.45%), 현대차(0.41%), 현대모비스(0.60%) 등은 올랐다. 노동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수급은 미중 무역분쟁과 함께 반도체 업황 실망감이 동반 작용했다"며 "바스켓 성격 순매도 외에 전기전자 업종을 향해 차별적인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과 북한 정상이 서로 날을 세우고 있어 이달 중순에 접어들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다시 부상할 수 있다"며 "다만 금융시장의 반응은 해당 우려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간밤 미국 뉴욕 증시는 중국과의 무역 합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담 참석을 위해 방문한 영국 런던에서 "무역 합의에 시한은 없다"고 말해 기대됐던 것처럼 올해 안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우 지수는 이날 280.23포인트(1.01%) 떨어진 2만7502.81로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3093.20으로 장을 마감하면서 전날 대비 20.07포인트(0.66%) 하락했다. 나스닥 지수 역시 8502.64로 폐장해 47.34포인트(0.55%) 떨어졌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629.58)보다 4.31포인트(0.68%) 내린 625.27에 마감했다. 지수는 장 초반 상승전환 했으나 곧 하락전환해 낙폭을 키우며 장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은 홀로 441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56억원, 168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엇갈렸다. 셀트리온헬스케어(-2.48%), CJ ENM(-0.45%), 스튜디오드래곤(-0.91%), 케이엠더블유(-0.92%), 헬릭스미스(-2.5%), 메디톡스(-1.06%) 등이 하락했다. 에이치엘비(8.33%), 펄어비스(1.7%), 휴젤(0.32%), SK머티리얼즈(0.23%) 등은 강세로 마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wahwa@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4 16:00:51
-
커진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환율 1190원 넘겨
[파이낸셜뉴스] 미·중 무역분쟁의 불확실성이 다시 외환시장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있다.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1원 오른 1194.3원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6일부터 이날까지 7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이날 1190원을 돌파했다. 원·달러 환율이 1190원을 넘긴 것은 지난 10월 10일 이후 처음이다.
환율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은 미·중 간의 무역분쟁이다. 양국간 무역협상이 기대와 달리 연내 타결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에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불확실성은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대한 선호를 높인 것이다.
전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런던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과의 무역합의가 내년 11월 미 대선 이후로 연기될 수도 있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중국에서도 부정적인 발언이 나왔다. 중국 관영 언론 글로벌타임스는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미국이 무역협상에서 뒷걸음질 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중국은 최악의 시나리오도 오랫동안 대비하온 만큼 중국의 스탠스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연내 무역합의 기대를 낮추는 발언이 관련 불확실성을 재부각시키며 위험회피성향을 강화시켰다"며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무역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며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2019-12-04 15:35:55
-
臺증시,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경계에 0.18% 반락 마감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대만 타이베이 증시는 4일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우려로 소폭 반락 마감했다. 자취안(加權) 지수는 이날 전일 대비 21.11 포인트, 0.18% 밀려난 1만1510.47로 폐장했다. 1만1511.82로 시작한 지수는 1만1457.43~1만1513.83 사이를 오르내렸다. 금융주를 제외한 지수는 9724.49로 19.14 포인트 밀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미중 무역협상 합의를 미룰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글로벌 경기 감속에 대한 경계감이 확산했다. 주요 8대 업종 가운데 시멘트-요업주는 0.07%, 식품주 0.28%, 방직주 0.425%, 전자기기주 0.22%, 금융주 0.10% 각각 하락했다. 하지만 제지주는 0.02%, 석유화학주가 0.09% 상승했으며 건설주는 전일과 같았다. 지수 구성 종목 중 437개는 내리고 332개가 올랐으며 174개는 보합으로 끝났다. 시가 총액 상위의 반도체 위탁생산 TSMC(대만적체전로제조)와 전자기기 위탁제조 훙하이 정밀이 하락했다. 광학렌즈주 다리광전도 매물에 밀렸다. 대형 은행주 궈타이 금융과 식품주 퉁이기업 역시 약세를 면치 못했다. 야더커(亞德客)-KY, 커펑(科風), 번멍(本盟), 자허(佳和), 잉한(穎漢)은 크게 떨어졌다. 반면 철강주 중국강철은 견조한 모습을 나타냈다. 반도체 개발설계주 롄파과기도 강세를 나타냈다. 룽커(榮科), 다이(大毅), 리밍(力銘), 화관(華冠), 정펑신(正峰新)은 대폭 치솟았다. 거래액은 1041억9500만 대만달러(약 4조834억원)를 기록했다. 췬촹광전, 푸방 VIX, 왕훙전자, 롄화전자, 위안다 후선(元大滬深) 300정(正)2 거래가 활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4 15:34:18
-
일본 증시, 하락 마감…닛케이지수 1.05%↓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4일 도쿄증시에서 닛케이225지수(닛케이평균주가)는 전일 대비 244.58포인트, 1.05% 하락하며 2만 3135.23에 장을 마감했다. JPX 닛케이 인덱스 400지수는 전일 대비 50.03포인트, 0.33% 내린 1만 5211.21에 장을 마쳤다. 토픽스(TOPIX)지수는 전일 대비 3.46포인트, 0.20% 하락한 1703.27에 시장을 마무리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하락과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엔화 가치 상승이 매도를 촉구했다. 3일 뉴욕증시는 중국과 무역 합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에 하락 마감했다. 이날 미국 하원이 신장 위구르족의 등을 둘러싸고 중국의 신장위구르 무슬림 인권탄압을 비난하는 법안을 통과시키자,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미중 무역협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일본 증시를 하락하게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19-12-04 15:23:54
-
돌파구 없는 무역갈등...가파른 中경제둔화
[파이낸셜뉴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돌파구를 찾지 못한 채 신경전을 이어가면서 내년 중국경제 둔화의 속도가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중 양국의 1차 무역합의가 당초 11월 말에서 기한 없이 연기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선거 후 무역합의’ 발언과 중국의 ‘장기대응 전략’까지 겹치면서 이 같은 주장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미중 무역갈등의 불확실성은 중국을 포함한 세계경제의 공통된 핵심 리스크 요인이다. 여기다 중국은 현재 민간기업과 은행, 부동산 등에서 상당한 침체기를 겪고 있다. 이대로라면 중국은 5% 후반대의 경제성장도 장담할 수 없게 된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4일 주요 외신과 거시경제·산업 정보업체 CEIC,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주요 실물지표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앞으론 6%대의 경제성장률도 유지하기에 어렵다는 평가가 늘고 있다.
이미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나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과 무역갈등, 중국 내부 구조조정 등을 근거로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5.8%로 예상했다. 또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경제전문가 설문조사에서 5.9%를 전망으로 제시했다.
중국 안에서도 평가는 회의적이다.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중국 정부 관련 싱크탱크 중 처음으로 6%대를 아래인 5.8%로 내년 경제를 내다봤다. 중국 인민대는 이보다 0.1%포인트 높긴 하지만 역시 6%대 아래인 5.9%로 전망했다.
미중 관계의 관심은 지난 10월 워싱턴DC의 1단계 구두 무역합의에 대한 서명이 언제 이뤄지는지 여부였다. 그러나 시점은 당초 11월 말에서 연말로 미뤄졌고 최근엔 “내년 대선 이후”, “장기대응 전략” 등의 발언이 쏟아지면서 신경전이 다시 가열되는 양상이다.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론의 다른 근거는 내부 기초여건의 부실이다. 미국 블룸버그통신과 IMF에 따르면 중국 기업의 수익성이 민간을 중심으로 크게 떨어지면서 채무불이행 기업 수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기업이 보유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2010년 5%대 초반에서 2018년 3% 초반으로 추락했고 채무불이행기업 수는 2017년 50만여개에서 2018년 150만여개 이상 급증한 뒤 올해 1분기에만 40만개를 넘어섰다. 이 가운데 90% 이상은 민간 기업이다.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이자보상배율의 경우 100% 미만인 기업이 20%를 육박했으며 적자기업 비중은 2017년 8~9%대에서 1년 만에 2배 수준인 16%까지 올라왔다.
중국 민간기업의 자금난은 은행 건전성 약화에서도 찾을 수 있다. CEIC자료를 보면 중국 은행의 부실채권 규모는 2016년 1조4000억위안 대에서 해마다 늘어나 2019년 2조3000억위안 수준까지 치솟은 반면 순이자수익율은 2%대 초반까지 하락했다. 은행이 어려우니 기업에게 대출할 수 있는 여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베이징 등 중국 대도시의 부동산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폭등하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을 2008년 18.0%에서 2018년 50.3%로 3배 가까이 확대시켰다. 하지만 작년부터 부동산경기가 얼어붙으며 가계와 기업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2018년 기준 GDP 대비 기업부채비율은 165%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경제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으며 기업과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면서 “또 지방은행들의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속속들이 나오면서 중국 경제 곳곳에서 이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미중 간 관세부과의 영향이 점차 확대되면서 실물경제 활동을 크게 제약하고 있다”면서 “기업 수익성 악화 등 취약한 기초여건이 상당 기간 하방위험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2019-12-04 15: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