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연초부터 방향성 잃은 한·중·일 환율

김영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1.26 17:47

수정 2014.10.30 03:16

한국, 중국, 일본 3국 환율이 연초부터 심상찮게 움직이면서 외환당국과 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에다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 재정위기가 겹치면서 환율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면서 국내 산업과 수출전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4일 원·달러 환율은 5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1080.4원으로 마감해 4개월여 만에 1080대마저 올라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추가 자산 매입 결정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부각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여기에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 급락 등 신흥국 위기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부각됐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지속적인 달러화 약세에 1050원 붕괴를 두고 등락하던 상황과는 대조적이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테이퍼링 이슈와 함께 신흥국 재정위기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향후 원·달러 환율의 방향 및 변동폭이 정해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내 6위안 붕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는 위안·달러 환율도 사정은 비슷하다. 중국 인민은행의 24일 현재 위안·달러 고시환율은 6.1035위안으로 전날의 6.1107위안보다 가치가 0.12% 하락(환율 상승)했다. 위안·달러 환율의 경우 인민은행의 고시환율에서 1%를 벗어날 수 없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장기적으로 중국 정부가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현재의 1%대 내외에서 2~3%대 내외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시기의 문제일 뿐 지속적인 위안화 강세로 6위안대가 붕괴될 것으로 보고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HSBC(홍콩상하이은행)는 중국 당국이 자금유입 압박으로 위안화 추가 절상을 용인할 것으로 판단했고 씨티는 중국 당국이 경제개혁에 진지하게 임하고 있어 일일변동폭 확대, 개인투자 허용, 해외송금 제한 완화 등의 조치를 취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신흥국 불안에 따른 최근 위안화 가치 하락은 이 같은 전망을 빗나가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엔화는 일본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기조 유지 발표에도 도리어 가치가 상승(환율 하락)하고 있다.

24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102.24엔에 거래돼 전 거래일(103.10엔) 보다 0.86엔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초 이후 최저 수준으로 장중 한때 102엔 밑으로 떨어지기도 했다.

지난 22일 일본 중앙은행은 본원통화량을 현재의 연간 60조∼70조엔(약 615조∼718조원) 늘리는 기존 정책을 계속 시행하기로 했다.

통상적으로 통화량이 늘면 엔화 가치는 하락하게 된다. 그럼에도 신흥국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자 엔화 수요가 증가하면서 엔화 강세를 이끌었다는 설명이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최근 환율이 신흥국 재정위기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연초 예상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장기적인 흐름에도 변화를 줄 수 있는지 시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