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선진한국으로 가는 길을 묻다] “연말 달러환율 1000원 이하” 50%.. “정부 개입 필요” 66%

안승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6.22 17:00

수정 2014.06.22 17:00

[선진한국으로 가는 길을 묻다] “연말 달러환율 1000원 이하” 50%.. “정부 개입 필요” 66%

국내 주요 기업 경영진은 환율 문제에 대해 정부의 사전대비책 마련과 적성 수준의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위안화 절상이나 원.달러 환율의 향방이 국내 기업들의 수출 및 원가 상승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칼을 빼든 공직개혁과 공기업 부실 개선 문제에 대해서도 투명성을 최우선으로 내세워 과감한 손실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현재 외환시장에서는 두 달 넘게 원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원.엔 환율은 이미 1000원 선이 깨진 바 있으며 원.달러 환율도 1000원 언저리에서 간신히 버티고 있다. 이대로라면 원.달러와 원.엔 환율의 세자릿수 시대가 연내에 도래할지도 모른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 창간 14주년 기획·연재 기사보기

■기업하기 좋은 환율 달러당 1050원

설문에 응답한 국내 주요 기업 경영진은 '현재 1020원 정도로 내려온 원.달러 환율이 연말에는 얼마가 될 것인지?'라는 질문에 대해 '1000원'이라는 응답이 37.9%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1050원'(27.6%), '1020원'(22.4%), '980원'(11.2%), '950원'(0.9%) 순이었다. 응답자 전체 평균은 1015.6원이었다.

기업 입장에서 볼 때 '수익을 낼 수 있는 적정한 원·달러 환율은 얼마인지'라는 질문에는 '1050원'(44.0%)이 가장 많았다. 또 '1100원'(30.2%), '1000원'(12.9%), '1020원'(12.1%), '980원'(0.0%), '950원'(0.9%)으로 응답했다. 응답자 전체 평균은 1054.1원으로 조사됐다.

기업을 위한 적정 환율과 연말 예상환율이 50원의 큰 격차를 보여 환율이 올 하반기 경영전략을 세우는 데 큰 변수가 될 것으로 예고됐다.

중국 위안화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절하를 멈추고 횡보할 것이란 의견과 계속 절하될 것이라는 전망이 팽팽했다. 설문 응답자들은 '위안화 절하가 멈추고 횡보할 것이다'(50.4%), '절하가 계속될 것이다'(42.9%), '절상으로 돌아설 것이다'(6.7%) 순으로 답했다. '위안화 절하가 국내경제 및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 정도일까?'라는 질문에 대해 '약간 있을 것이다'는 응답이 56.4%로서 '매우 클 것이다'(36.8%)보다 많았다. 별로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6.8%에 그쳤다.

기업체들은 환율시장이 파동을 칠 경우에 대비해 정부의 적절한 개입을 원하고 있었다. 또 미국의 금리 인상 움직임이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금리 인상 의견과 인상이 필요 없다는 의견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의 환율전쟁 움직임이 있는데, 향후 우리의 환율시장 정책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라는 질문에 대해 '시의적절한 환율시장 개입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66.4%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부의 환율시장 개입은 최소화해야 한다'는 답변은 29.4%, '시장에 개입하지 않고 자율변동하게 해야 한다'는 응답은 4.2%였다.

금리와 관련한 우리의 정책에 대해서는 '금리 인상 등 대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47.0%, '외부충격이 있더라도 금리를 조정할 필요는 없다'는 응답이 40.2%로 나타났다. '외부충격이 미미해 금리변동 요인은 없을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2.8%였다.

■공무원 재량권 축소 등 시급

정부가 야심차게 밀어붙이고 있는 공직개혁과 공기업 정상화 등 일련의 작업에 대해서는 대체로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이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투명성과 과단성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경유착 근절 등 공직개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투명한 법집행과 공무원의 재량권 축소'(41.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낙하산 및 전관예우 금지 강화'도 30.8%를 차지해 큰 비중을 보였다. '전문성 강화와 순환보직 최소화'는 19.7%, '공무원 채용방식 다양화'는 8.5%로 나타났다.

'관료들의 협회 및 민간기업 진출에 대한 견해'에 대해 질문한 결과 '낙하산 인사를 과감히 없애야 한다'는 답변 비율이 71.6%로 매우 높았다. '낙하산 불가피한 측면 있어'라는 의견은 11.2%에 불과해 관피아로 대변되는 관료 출신들이 퇴임 이후 민간기업이나 정부 유관기관의 책임자로 내려오는 인사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낙하산의 실효성 별로 없어(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라는 의견도 17.2%나 있었다.

공기업 개혁의 성과 평가에 대해 '어느 정도 있다'는 응답이 36.8%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보통이다'(30.8%), '별로 성과 없다'(26.5%)도 큰 비중을 차지 했다. '상당한 성과가 있다'는 응답은 0.9%, '전혀 없다'(5.1%)는 응답보다 낮았다.


'공기업 개혁과 관련,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공기업 부채 축소'(56.9%), '민간과의 업무중복 해소'(17.2%), '과도한 복리후생 삭감'(13.9%), '노조의 경영개입 금지'(6.9%), '예금보험료 면제 등 공기업만의 특혜 해소'(5.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ahnman@fnnews.com 안승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