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제15회 서울국제금융포럼] “美 양적완화 100억弗씩 축소.. 3년내 금리 인상 없을 것”

김현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4.23 17:46

수정 2014.10.28 04:28

23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서울국제금융포럼'에서 제2세션 참석자들이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아베노믹스의 영향'을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 회장(좌장), 리처드 쿠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 짐 워커 아시아노믹스 설립자 겸 수석이코노미스트, 바바 나오히코 골드만삭스 일본 수석이코노미스트,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 특별취재팀
23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서울국제금융포럼'에서 제2세션 참석자들이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아베노믹스의 영향'을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 회장(좌장), 리처드 쿠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 짐 워커 아시아노믹스 설립자 겸 수석이코노미스트, 바바 나오히코 골드만삭스 일본 수석이코노미스트, 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장. 특별취재팀

"미국 실업률이 5%대로 떨어질 때까지 양적완화를 유지하겠다는 것은 앞으로 3년 동안은 금리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말과 같다. 현재 시장과 경제학자들은 미국의 양적완화가 유지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다. 미국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자사주 매입을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칫 버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 서울 소공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서울국제금융포럼' 두 번째 세션 주제인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아베노믹스의 영향' 패널토론에서 글로벌 석학과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의 양적완화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난 2001년 미국의 정보통신(IT) 버블이 꺼졌을 때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그랬듯이 현재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도 금리인상에 대해 미국의 기업 회복에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베노믹스에 대해서는 "일단 엔화약세를 유지하되 에너지 수입량에 따라 조정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美 금리인상, 3년 안에는 없을 듯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이 엇갈렸다. 양적완화 축소가 신흥국에 부도 수준까지 몰고 갈 정도로 부정적인 반면 기업들의 버블을 막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으로 천천히 양적완화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패널토론의 좌장으로 나선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전 세계의 신흥국들에 충격이었다. 일부 신흥시장은 부도직전까지 몰렸다"며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얼마나 속도를 낼지 아닐지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리처드 쿠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계속 100억달러씩 일정 수준을 유지하면서 자산을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의 기업 회복 속도에 맞출 것이다"라며 "현재 양적완화 축소는 지난 2001년 IT버블이 꺼졌을 때 금리를 크게 인하한 후 계속 회복했던 것과 상황이 같다"고 말했다.

미국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1%대였던 금리를 4%까지 꾸준히 인상했다. 하지만 장기금리는 60bp(1bp=0.01%포인트)만 올랐다. 기준금리가 450bp 오른 것과 비교하면 거의 오르지 않은 것. 쿠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그린스펀의 금리 정책은 장기금리가 크게 오르지 않아 대성공이었다. 그때와 같다"며 "다만 미국의 실업률을 5%대로 낮출 때까지 금리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점을 본다면 3년 안에는 금리 인상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학회장도 이에 대해 동감했다. 그는 "미국의 실업률이 떨어지려면 1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신흥국에 있어서는 미국의 실업률 감소 시기가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실장은 미국의 양적완화 유지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의 경제가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가 관건인데 현재의 최저금리 수준은 부정적이다"라며 "이달에 나온 미국 재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이 자금차입으로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는데 이를 버블의 징조라고 지적했다"고 설명했다.

■"아베노믹스, 에너지 수입 조정"

전문가들은 일본의 양적완화, 이른바 아베노믹스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다만 일본 대지진 이후 원자력 활용이 중단되면서 에너지 수입이 늘고 있어 엔화가 계속 약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쿠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아베노믹스에 대해 주요 7개국(G7) 등 선진국들이 가만히 있는 이유는 2008년부터 시작된 환율전쟁에 일본이 개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당시 서로 환율전쟁을 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양적완화로 우회적인 환율전쟁을 진행했다"며 "당시 일본 총리였던 아소 다로 전 총리는 '순채권국가가 순부채국가를 따라하면 안된다'며 환율전쟁에 따른 엔화 강세를 묵인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아베 신조 총리가 엔화 약세를 강조할 때 아무도 반박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아베노믹스가 수출경쟁력을 얻은 대신 에너지 수입가격이 높아지고 있어 더 이상 추진되기 어렵다는 의견도 내놨다.

짐 워커 아시아노믹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일본 도쿄에 다녀왔는데 일본 정부가 더 이상 엔화를 절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며 "일본 내부적으로도 시끄러웠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