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단체

신문사 방송진출 ‘산넘어 산’

권해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9.07.23 22:14

수정 2009.07.23 22:14



신문법과 방송법의 국회 통과로 신문사가 방송을 소유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헤쳐 나갈 장벽이 만만찮은 것으로 파악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연내 1∼2개의 종합편성방송, 보도전문방송을 승인한다고 하지만 '무한경쟁'을 요구하는 현재 유료방송 시장에서 살아남는다는 보장이 없는 상태다.

23일 방통위와 케이블TV 업계에 따르면 신문사, 대기업이 종편·보도전문방송에 진출하는 데 있어 의무송출, 채널배치 등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현행 방송법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나 위성방송사업자는 보도전문채널 2개, 공공채널 3개, 종교채널 3개 등 17개 채널을 의무적으로 송출토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도전문채널 YTN과 MBN, 공공채널인 KBS1과 EBS 등이 모든 케이블 및 위성방송에서 자리를 꿰차고 있다.

신문사 독자적으로 또는 대기업과 연대해 보도전문방송을 만든다고 하면 이미 공고히 자리를 잡고 있는 YTN·MBN과 경쟁이 불가피한 상태다.
초기 단계에 종합적인 보도를 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해야 하는 신문사들이 의무송출채널에 들지 못하면 전국 단위로 흩어져 있는 SO들과 계약을 하며 적잖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

신설되는 보도전문방송이 YTN·MBN 외에도 경제·교양전문 방송으로 승인을 얻어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방송을 하는 한국경제TV, 비즈니스앤, MTN, 이데일리TV 등과 경쟁해야 하는 건 물론이다.

종편방송으로 승인을 얻으면 무조건 의무송출 대상에 포함된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종편방송으로 승인을 얻은 곳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다만 지상파방송 중 KBS와 EBS는 의무송출된다. 그러나 KBS2, MBC, SBS는 의무송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이들 방송도 경쟁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새로운 종편방송 역시 높은 '채널의 장벽'을 넘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케이블이나 위성방송 등에선 기존 지상파방송과 비슷한 5∼12번과 그 주변부 채널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방불케 할 정도로 경쟁이 심하다. SO들은 소비자 민원 등을 이유로 지상파방송 3사를 앞쪽에 배치하고 수익성이 높은 홈쇼핑 채널을 사이사이에 끼워넣고 있기 때문에 새로 생기는 종편방송이 이른바 '황금채널'에 들어가긴 불가능에 가까운 상태다.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는 민영미디어렙이 도입되면 방송광고 시장의 경쟁 역시 더 치열해진다. 공영방송에 속하지 않는 지상파방송이 민영미디어렙과 함께 자체 영업에 나서면 이들이 광고시장에서 가져가는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블TV협회에 따르면 이미 지상파 및 지상파방송 계열의 프로그램제작업체(PP)는 유료방송 광고시장에서 80%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나라당이 신문사와 대기업의 방송진출을 허용하는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지만 여당과 정부가 방송산업의 경쟁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새로운 방송의 출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방통위 방송정책국 관계자는 "의무송출 채널은 경쟁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시행령을 개정해 대상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채널번호 부여는 방송플랫폼 사업자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는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결국 새로 방송에 진출하는 신문사, 대기업은 대규모 투자와 양질의 콘텐츠로 스스로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postman@fnnews.com 권해주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