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하나의 콘텐츠로 스마트폰·TV·PC 연동 서비스정책 필요

이구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0.09.01 17:45

수정 2010.09.01 17:45

스마트폰에 이어 스마트TV까지 스마트 시대를 이끌어갈 국내 콘텐츠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태블릿PC-스마트TV에서 모두 연동할 수 있는 'N스크린형' 콘텐츠 정책과 산업 생태계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국내 콘텐츠 제작 역량 자체가 해외에 밀리는 것도 문제지만 정부나 대기업의 콘텐츠 개발 및 중소 콘텐츠 업체 지원정책이 스마트폰이나 TV등 특정기기에 집중돼 콘텐츠 하나로 여러 기기에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 콘텐츠 부족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콘텐츠만 상한가

삼성·LG전자를 비롯한 제조사들과 이동통신사들이 지난해부터 집중적으로 스마트폰용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개발 계획을 내놓고 있다. 각종 공모전을 열고 개발자를 지원하는 등 콘텐츠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정부도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온갖 정책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은 그야말로 상한가를 달리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TV나 태블릿PC에서도 쓸 수 있도록 개발하는 데는 정부나 대기업의 관심이 미치지 못해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게 현실이다.

KT 미디어사업본부 박동수 콘텐츠사업담당 상무는 "하나의 콘텐츠가 물 흐르듯 다양한 화면의 디지털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해야 콘텐츠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며 "최근 세계적으로 여러 개의 화면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끊김 없이 볼 수 있게 하는 'N스크린' 전략을 세우느라 여념이 없는데 국내에서는 정부나 기업들의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방통위-문화부 밥그릇 싸움도

게다가 방통위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산업 활성화에 나서자 문화체육관광부는 방송 콘텐츠 제작지원 권한을 가져가겠다며 영역 다툼까지 벌이고 있다. 방송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방송 콘텐츠 진흥정책의 관할을 둘러싸고 방통위와 문화부 간 신경전이 지속되면서 방송 콘텐츠 정책의 갈피를 잡기가 어렵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업계에서는 "스마트폰과 방송 등 기기별로 콘텐츠 정책에 칸막이를 쳐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다 보면 시장이 협소해지는 것은 물론, 기기와 통신기술은 N스크린에 맞춰 발전하는데 콘텐츠가 따라가지 못하는 부조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걱정하고 있다.

■한발 앞선 미국…한국선 첫걸음

미국 최대 케이블방송 사업자 컴캐스트는 TV용 콘텐츠를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팬캐스트 서비스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팬캐스트의 누적 콘텐츠 내려받기 건수는 150억건을 넘어섰다. 덕분에 컴캐스트는 올해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100% 이상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 방송사업자들은 콘텐츠를 태블릿PC와 스마트폰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N스크린 서비스에 속속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KT 등 일부 국내 업체들도 스마트폰의 콘텐츠를 TV 대형화면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관련 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지만 이제 첫발을 내딛는 수준이다. KT 한 관계자는 "콘텐츠 강국 미국에서는 방송사업자와 영화제작사 등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극장과 TV, PC, 스마트폰 등에서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본격화되고 있어 국내 업체들이 한 발 늦기는 했지만 지금이라도 첫걸음을 뗐다는 의미가 있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윤부근 사장은 최근 "올해 안에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을 TV에서, TV의 콘텐츠를 스마트폰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기기 간 양방향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도 적극 나설 것"이라며 "기기별 플랫폼 통합과 해상도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과제"라고 밝혔다.

한편 N스크린 환경에 적극 대응하되 콘텐츠 보호와 제값 받기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는 조언도 함께 나오고 있다.
한양대학교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박승권 교수는 "각종 기기와 호환할 수 있는 통합형 콘텐츠 제작 지원과 함께 해당 콘텐츠들이 불법복제 없이 제값을 받는 체계를 구축해야 우수한 콘텐츠가 끊임없이 양산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cafe9@fnnews.com이구순 권해주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