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라인·카카오톡, 중국서 영원히 사라질 위기..왜?

박지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7.27 17:25

수정 2014.10.24 21:28

모바일 메신저 라인과 카카오가 중국에서 영원히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지난 1일부터 중국에서 갑작스레 서비스가 차단된 라인과 카카오의 일부 서비스는 26일이 지난 현재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처음 2주간은 '왜' 차단이 됐는지조차 알지 못하다가 이제는 중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차단한 것임을 알게 됐다. 하지만 우리 정부와 업계는 적절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시장을 빼앗길 처지에 놓였다.

■중국정부 의도적 서비스 차단

27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중국에서 라인은 메시지 송수신이 모두 차단됐으며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메신저 송수신을 제외한 회원가입 등 부가서비스와 카카오스토리 서비스가 차단된 상태다.

해당 문제는 2주 넘게 명확한 원인 판단이 되지 않았다.

우선 기업 내 기술적 결함 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라인 및 카카오 관계자는 "회사 서버나 시스템상 문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국내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강제적으로 서비스 차단에 들어간 것이란 추측이 제기됐다. 실제로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최근 미래창조과학부가 확보한 중국 정부의 답변에는 신장위구르 유혈사태 5주년인 지난 5일을 전후해 테러에 대한 우려로 라인과 카카오톡, 야후 플리커 등을 포함한 해외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들을 차단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하지만 이 역시 미래부 측의 공식 입장은 아니라 단정짓기 어렵다.

최원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실 관계자는 "최 의원이 지난 11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미래부 제1차관에게 중국 내 라인·카톡 먹통 현상에 대해 중국 정부에 의견을 요청했느냐고 물었다"며 "이후 미래부가 중국 측에 요청을 했고 중국으로부터 답변을 들었지만 중국 측은 보안상 답변 내용을 발표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시장 中 빼앗기나

업계에서는 이번 서비스 차단이 중국 정부가 테러 예방을 위한 목적 외에도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였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우선 카카오톡의 경우 송수신이 되는 데 반해 라인은 송수신 자체가 안돼 이용자 이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구글플레이나 애플 앱스토어와 같은 오픈마켓에서 라인과 카카오톡을 다운받을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진출 시점은 의미가 없다.

다만 최근 중국 내에서 라인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위챗의 6억명 이용자층 중 젊은 층을 중심으로 라인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중국 내 이용자 수는 라인과 카카오톡 모두 공개하지 않고 있다.

라인은 중국에서 간접광고가 포함된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방영되면서 인기가 급상승 중이었다. 서울 명동의 라인프렌즈숍에서 만난 중국인 런런(30)은 "중국에서 10~30대의 젊은 층은 주로 라인을 사용하고 그 윗세대는 위챗을 사용한다"며 "라인은 재미있는 스티커가 많아 젊은 층을 사로잡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이어서 유독 라인에만 메신저의 기본 기능인 송수신을 차단시키는 견제에 들어간 것이란 분석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지난해 6월 베트남에서 라인과 카카오톡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적이 있다. 당시 라인과 카카오톡은 베트남시장에 한류 아이돌을 앞세우며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던 차였다. 이 시기 카카오는 매달 60만명, 라인은 50만명씩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였지만 갑작스러운 서비스 장애로 베트남인들은 토종 메신저인 '잘로'로 이탈하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카카오톡과 라인의 경쟁상대가 아니었던 잘로는 올해 초 700만 회원 수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중국 모바일 메신저 위챗은 글로벌 2위의 위상을 떨치고 있지만 사실상 내수 서비스나 다름없다. 위챗 6억명 이용자 중 90% 이상이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라인이 내수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입하자 위협을 느낀 중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라인 견제에 들어간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 이유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아직까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15일 이후부터 중국에서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이뤄질 것"이라는 답변은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후속 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