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줄기세포 연구지원 '기초냐 산업화냐' 팽팽

홍석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05.24 15:24

수정 2012.05.24 15:24

줄기세포 연구는 희귀·난치성 질환과 재생의료 분야에서 새로운 활로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줄기세포 R&D 협의체'를 구성하고 줄기세포 인프라 구축과 연구역량 확충을 위해 총 1004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부처간 역할 분담 미흡으로 지원에 병목 현상이 생기고 기초에서 임상까지 전분야에 걸친 지원으로 효율성면에서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특히 원천기술확보와 산업화 중 어디로 지원이 집중되어야 할지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주최로 24일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줄기세포 R&D 한마당 FAIR'에서도 양측의 주장은 평행선을 그렸다.

■ 원천기술이 글로벌 주도권 핵심

국가 R&D 투자로 연구역량은 세계 8위권 수준이지만 핵심기술력에서는 최고기술보유국과 3.5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글로벌 주도권 싸움에서 우위에 설려면 핵심 원천기술 확보가 필수요건이라는 주장이다.

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 손영숙 교수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으로 향후 원천기술의 기술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면서 "추격형 기술개발을 탈피하고 융복합연구 등 핵심 원천기술에 R&D 투자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조이숙 책임연구원은 "줄기세포 R&D 분야에서 원천기술 보유는 세계적 경쟁 우위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요건"이라고 강조했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욱 교수는 "세포치료제 개발에서 한계는 응용기술이 아닌 원천기술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원천기술 투자 필요성을 역설했다.

■ 가능성 확인 산업화 가속도 붙여야

산업계에서는 1세대 줄기세포치료제의 가능성이 확인된 만큼 산업화에 가속도를 붙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메디포스트 양윤선 대표는 "제약, 바이오 산업경쟁력이 취약했던 우리나라에서 줄기세포 만큼 경쟁력을 보여준 것이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줄기세포치료제의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만큼 산업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강경선 교수도 "시장선점을 위한 핵심원천기술 분야와 함께 줄기세포치료제 수요 증가세를 감안해 산업화 투자가 본격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바이오앤디오스텍 정형민 사장은 "줄기세포 분야는 향후 5~10년 후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연구개발 초기부터 철저한 타탕성 및 향후 산업화을 고려한 연구개발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부처별 연구 역할 분담 최적화

국과위는 이날 범부처 줄기세포 R&D 상세기획안을 소개했다.


계획안의 골자는 각부처별 연구 역할 분담을 최적화하는 것. 지식경제부가 줄기세포치료제 시설 등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보건복지부는 중기세포 중개·임상시험 등 실용화 연구에 지원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줄기세포 산업화 기반 기술 등 기초·원천기술 연구에 중점한다.


국과위 생명복지조정과 이용석 과장은 "줄기세포 R&D 상세기획은 부처별 계획안을 골자로 마련된 것"이라면서 "이를 기반으로 부처간 논의를 거치고 학계와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국가적 로드맵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