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미래과학부-게임업체-문화부 애증의 삼각관계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1.27 17:02

수정 2013.01.27 17:02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문화체육관광부의 디지털콘텐츠 업무를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한다고 밝힌 가운데 디지털콘텐츠 중 가장 알짜인 게임산업의 향방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게임산업은 지난해 전체 콘텐츠 수출액 48억달러 중 27억달러(58.2%)에 이르는 효자 산업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게임산업 진흥에 소홀했던 문화부가 뒤늦게 게임산업을 잡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고, 게임업계는 대체로 미래창조과학부가 맡아 산업진흥에 나서주길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인수위가 밝힌 디지털콘텐츠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명확하지 않아 게임 등 디지털콘텐츠의 주무부처가 모호한 상황이다.

게임산업 주무부처와 관련, 게임 업계는 게임산업 진흥에 제대로 나서지 못한 기존 문화부보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전담하는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게임산업은 연관없는 부처로부터 천덕꾸러기 취급받는데도 문화부는 팔짱만 끼고 지켜보다 새 정부의 정부조직법개정안에 디지털콘텐츠 업무가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자 뒤늦게 밥그릇 챙기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또 대부분 전문가들은 산업을 길게 보고 장기적인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부처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적합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 온라인게임사 관계자는 "MB정부의 문화부는 담당 공무원이 자주 바뀌어 비전문화되고, 진흥 예산이 줄어드는 등 업계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면서 "게임 비전문 부처인 여성가족부의 규제 이슈에도 제대로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 "게임은 소프트웨어(SW)산업이어서 성격상 정보통신기술(ICT)업계로 분류되는데 음악, 미술, 공연 등을 주로 다루는 문화부와 맞지 않다"면서 "게임 개발자는 보안, 포털 등 다른 SW업계 인력과 순환이 되고 공과대 출신의 전문가가 있는 ICT분야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반면 문화부는 이전부터 게임산업의 주무부처였고 인수위도 문화부의 손을 들어줬다는 입장이다.

문화부 관계자는 "게임은 문화콘텐츠이고 예전부터 문화부에서 담당해 왔다"면서 "문화콘텐츠 진흥에 힘쓰는 문화부가 주무부처를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정부에서는 정보통신부와 문화부가 게임산업의 SW와 콘텐츠 분야를 각각 담당한 바 있다.


게임산업 주무부처가 어디로 가든 장기적인 시각으로 산업의 진흥을 위한 정책을 내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모바일게임사 한 관계자는 "문화부, 미래창조과학부 중 어디가 좋다기보다 대승적으로 게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정부가 단편적인 시각으로 가정의 부모의 역할을 직접 하려기보다는 장기적으로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연구와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게임사 관계자도 "게임이 어느 부처로 가든 담당 공무원이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며 "게임을 제대로 이해하는 부처가 올바른 정책을 내놓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