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SO 지키느라 주파수-개인정보보호 내준 미래부..출발부터 ‘한숨’

이구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3.17 18:35

수정 2013.03.17 18:35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업무 분장으로 난항을 겪던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여야 합의가 이뤄졌지만, 정치권은 이번 합의에서 미래부에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관련 정책을 넘기는 대가로 정작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추진할 미래부의 핵심업무 대부분을 양보했다는 비판을 받게 됐다.

17일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지도부는 정부조직개편안 협상을 통해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핵심 먹거리가 될 주파수 정책을 미래부와 방통위, 국무총리실로 3분할하기로 합의한데다, 인터넷 정책의 핵심인 개인정보보호 정책도 방통위에 남아 미래부의 인터넷 정책은 절름발이가 될 수 밖에 없게 됐다.

여기다 이미 정부 부처간 조직개편 협의에서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주요 정책인 게임산업과 콘텐츠 산업 정책은 문화체육관광부에 남게 됐고, 소프트웨어(SW) 정책 가운데 미래형 SW산업인 임베디드SW도 지식경제부에 남았다.

이 때문에 미래창조과학부가 앞으로 핵심업무인 창조경제 활성화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주요 정부부처간 협의를 주도할 수 있는 법률적, 조직적 방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700㎒ 방송용으로? 주파수 갈라파고스 우려

전 세계적으로 주파수 정책은 단일 전문기관이 관장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나 아시아, 유럽 모든 국가들이 마찬가지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는 당장 세계적인 무선인터넷 황금주파수로 인정받고 있는 700㎒ 주파수를 무선인터넷용으로 할당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이미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 전세계가 급증하는 무선인터넷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아날로그 방송용으로 쓰던 주파수를 무선인터넷용으로 전환했지만 이번 정부조직 개편 합의에서 정치권은 700㎒를 방송용 주파수로 규정하고, 이를 방통위의 관리로 남겨뒀다. 세계적인 황금주파수 활용에서 우리나라만 빠져 자칫 우리나라가 '주파수 갈라파고스'가 될 위험에 놓인 셈이다. 여기다 앞으로 신규 개발되는 주파수 할당은 국무총리실에서 부처간 합의를 주도하기로 했다. 결국 주파수 정책이 부처간 합의를 이뤄내느라 적절한 활용시간을 놓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인터넷정책도 부처간 엇박자 '걱정'

인터넷 정책의 핵심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다. 개인정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설계하느냐가 인터넷 정책 규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인터넷 산업 진흥부처인 미래부와 규제부처인 방통위가 엇박자를 낼 경우 인터넷 정책도 글로벌 경쟁에서 뒤질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다 SW관련 정책이나 게임·콘텐츠 정책도 부처간 협의를 거쳐와 완성될 수 있는 구조다.

■부처간 업무 협의 시스템 법률화해야

그동안 정문가들은 각 부처로 흩어진 업무에 대해 이견을 조정하고 협의를 이끌어내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 때문에 ICT 컨트롤타워 필요성을 주장해 왔다.
그러나 미래부의 ICT 업무는 기존 정보통신부나 방통위 때 보다 더 많은 부처로 흩어졌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 때문에 미래부와 가장 긴밀하게 ICT 업무가 관련된 방통위 부터 정책협의체를 구성·운영할 수 있도록 법률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방통위 한 고위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 시절에도 이미 방통위와 문화부 사이에 방송콘텐츠 및 방송광고 관련 양 기관이 협의하도록 방송통신발전기본법 규정을 뒀었던 만큼 정부 부처간 정책의 중복·갈등이 발생할 때 조정과 협의를 명시한 법률적 기반을 갖추는게 흩어진 ICT 정부 기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선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afe9@fnnews.com 이구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