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서비스산업 1단계 대책] 콘텐츠산업 진흥계획 주요 내용은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7.04 09:00

수정 2014.11.05 12:24

[서비스산업 1단계 대책] 콘텐츠산업 진흥계획 주요 내용은

박근혜정부가 4일 발표한 '서비스산업 정책추진 방향과 1단계 대책'의 핵심은 콘텐츠산업 집중 육성을 통한 국민소득 향상과 일자리창출에 있다.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수출입은행에서 발표된 내용을 자세히 보면 정부는 창조경제 견인을 위해 콘텐츠산업 육성으로 2017년까지 수출 100억달러(약 11조4250억원), 매출 120조원, 일자리 8만개를 창출해 국민소득 3만달러(3427만원)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다. 이날 함께 발표된 '콘텐츠산업 진흥계획'에서도 박근혜정부가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서비스산업, 그중에서도 콘텐츠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강력하게 담겨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콘텐츠 육성안 첫 발표

이번 진흥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17년까지 콘텐츠 분야에 펀드 9000억원을 추가 조성하는 등 5대 추진전략과 12개 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5대 추진전략은 △창조기반 조성 △창업 활성화·창의인재 양성 △글로벌 콘텐츠 육성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 △콘텐츠 육성 거버넌스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창작과 창업의 공간인 '콘텐츠코리아 랩' 23개소를 2017년까지 설립하기 위해 하반기 시범사업에 착수하고 콘텐츠 업체, 1인 창조기업 등에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가 이처럼 콘텐츠산업의 활성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이 분야의 성장가능성이 그 어느 분야보다도 크기 때문이다. 경제위기 속에서도 콘텐츠산업 매출은 2012년 88조원, 수출 48억달러(5조4800억원), 종사자 규모 60만5000명으로 각각 연평균 8.6%, 19.7%, 2.5% 성장했다. 음악.게임 등 수출 확대로 콘텐츠 수출입 흑자는 2012년 30억달러(3조4200억원)를 기록했다. 디지털콘텐츠 규모는 2011년 23조6000억원으로 연평균 20.2%의 급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외형과 달리 콘텐츠업계에는 여전히 중소·영세업체가 많다. 매출 10억원 미만이 94.2%, 종사자 수 9인 이하가 94.5%에 달하며 자금조달·판로 확보가 어렵고 근무여건이 취약하다. 발상을 전환해보면 그만큼 성장할 여지가 크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 중국·일본·동남아 등 아시아권 수출 비중이 70% 이상이며 게임산업이 전체 콘텐츠 수출의 58%(28억달러.3조1900억원)를 차지한다는 점도 체계적인 지원이 받쳐줄 경우 수출지역과 장르의 다변화를 통한 시장확대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 관련 펀드 추가 조성

콘텐츠산업 진흥계획은 모태펀드를 활용한 투·융자 재원을 2012년 9200억원에서 2017년 1조82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문체부는 문화콘텐츠 장르, 인문예술 융합콘텐츠 등의 제작단계별 및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위풍당당 콘텐츠코리아펀드'를 5000억원 조성한다.

미래부는 방송통신콘텐츠, 정보통신기술(ICT) 연계형 디지털콘텐츠 등의 제작 및 창업을 지원하는 '디지털콘텐츠코리아 펀드'를 4000억원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한류콘텐츠 등 완성될 작품을 담보로 융자를 받을 수 있도록 완성보증 규모를 올 5월 기준 855억원에서 연말 1200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금융권의 콘텐츠 융자지원과 연계해 연간 3000억원 규모를 조성한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