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현장클릭] 존재하지 않는 ‘광대역 LTE-A’

이설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9.04 03:24

수정 2014.11.03 16:18

[현장클릭] 존재하지 않는 ‘광대역 LTE-A’

이동통신 시장의 마케팅 경쟁이 도를 넘었다. 보조금이나 광고비 등으로 대변되는 마케팅비는 이동통신사들의 가입자 확보를 위해 불가피하게 쓸 수밖에 없지만, 사실과 다르거나 과대 포장된 선전 문구가 이용자들의 혼란만 초래해 문제로 지적된다.

최근의 이동통신사들의 마케팅 경쟁은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로 촉발됐다. 이동통신사들은 지난 2011년 LTE 서비스를 상용화한 뒤 이를 내세운 각종 마케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실제보다 더 부풀려진 과장광고 경쟁이 펼쳐지기도 한다.

KT는 지난 2일 광대역 LTE 서비스 계획을 밝히며 '광대역 LTE-A'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KT가 말한 '광대역 LTE-A'란 광대역 주파수(35㎒)에다 다른 대역에 있는 추가 주파수 20㎒를 인위적으로 붙이는 기술을 적용했다는 뜻인데, 현재 KT의 광대역LTE는 그저 광대역 주파수를 이용한 LTE 서비스다.

설사 KT가 광대역 주파수에 추가 주파수를 붙여 서비스를 한다고 해도 이를 '광대역 LTE-A'라고 부르는 것은 무리다. 이른바 '광대역 LTE-A'라는 용어는 세상에 존재하지도 않을 뿐더러 기술표준도 없기 때문이다.

KT의 이런 행태는 현재 LTE 시장이 SK텔레콤과 LG U +가 제공하고 있는 LTE-A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광대역LTE'라는 용어만으로는 시장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기 어려우니, 여기에 LTE-A라는 용어를 덧붙여 '경쟁사보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경쟁사에 비해 자사 서비스를 부각시키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부각시킬 수는 있지만 이것이 사실과 다를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것은 당연히 소비자다.
이동통신사들이 내세우는 문구에만 현혹될 경우 더 비싼 요금을 물고도 제대로 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

전 국민이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에 있어 '마케팅'은 없어서는 안 될 수단이다.
그러나 이 수단이 선량한 소비자를 현혹시키는 순간 이동통신 서비스 자체에 대한 신뢰에 금이 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동통신사들은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설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