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위기의 아르헨티나..전면 디폴트 가능성은 적지만

김유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7.28 15:41

수정 2014.10.24 21:03

채무조정 기한이 오는 30일(이하 현지시간)로 다가오는 가운데 아르헨티나가 13년만에 또 다시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봉착했다. 채권단인 미국 헤지펀드들과 아르헨티나 정부 사이의 채무조정 협상에 별다른 진전이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만기였던 30일까지 15억달러의 원리금을 전액 상환하라는 게 채권단의 입장인 반면 아르헨티나 정부는 만기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양측 모두 미 연방대법원이 지정한 중재자와 만나 추가 협상을 일정도 잡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디폴트 우려가 더욱 고조되고 있다고 27일 AP통신 등이 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그러나 아르헨티나 정부가 실제로 전면적인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은 적으며, 한다 해도 시장에 미치는 여파가 2001년 디폴트만큼 크진 않을 것이란 게 시장의 전망이라고 전했다.

사실상 아르헨티나가 지난 2001년 이후 버려진 시장이라는 점에서다.
FT는 지난 2009년엔 모간스탠리 신흥국 지수(MSCI)에서 제외됐으며, 신흥국 채권지수 내에서도 비중이 과거 1∼2위에서 15위로 추락했다고 지적했다. FT는 또 아르헨티나 채권단이라고 해봤자 소수의 헤지펀드이며 설령 디폴트가 초래돼도 다른 신흥국으로도 전염될 우려도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제프리스의 라틴아메리카 투자전략가인 시오반 모덴은 FT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아르헨티나가 특수한 투자처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며 "(아르헨티나 디폴트 발생으로 인해) 광범위한 전염이 초래될 것이란 우려는 없다"고 말했다.

FT는 그럼에도 일부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들이 아르헨티나 정부의 디폴트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정부가 자발적으로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은 적지만 수년째 지속된 경기침체 탓에 아르헨티나 정부의 채무 상환력을 장담할 수는 없다는 우려에서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미국이 양적완화 축소를 시작하면서 아르헨티나의 외환보유액까지 지속감소하고 있다는 점도 그 배경으로 지목됐다.
지난 6월 이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아르헨티나의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한 이후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아르헨티나 정부의 채무 상환력에 대한 의구심을 키우는 부분으로 지목된다.

한편 미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아르헨티나 정부는 오는 30일까지 원리금을 포함, 15억달러(약 1조3350억원) 전액을 상환해야 한다.
미 대법원은 지난달 30일이 만기였던 부채의 100% 상환을 요구하는 NML캐피털 등 미 헤지펀드에 대해 협상 기간을 늘려달라는 아르헨티나 정부의 소송을 기각하고 헤지펀드의 손을 들어줬다. nol317@fnnews.com 김유진 기자

fnSurvey